직업교육훈련 교원제도 개선 방안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in Training and Management of Vocational and Technical Teachers
- 저자
- 오영훈 신익현 김기홍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8-0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8.12.31
- 등록일
- 1998.12.31
연구요약 Ⅰ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의 내용 6 3. 연구방법 7 4.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12 Ⅱ . 2 1세기 산업여건의 변화와 직업교육훈련교원 13 1. 기술혁신과 직업교육훈련 15 2.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역할과 자질 21 Ⅲ . 직업훈련교원 양성과 연수 현황 및 문제점 39 1. 자격기준 41 2. 양성과정 45 3. 양성 및 재직자 현황 53 4. 연수 현황과 과제 58 Ⅳ . 직업교육교원 양성과 연수 현황 및 문제점 65 1.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양성 67 2.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 연수 80 3. 대학교원 임용과 연수 91 Ⅴ . 외국의 직업교육훈련교원 양성 및 연수 정책 99 1. 미국 101 2. 프랑스 107 3. 독일 114 4. 일본 120 5. 우리 나라 직업교육훈련교원 양성 및 관리정책에의 시사점 127 Ⅵ.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전문성 및 현장성에 대한 조사분석 135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7 2. 교원 양성 정책 143 3. 직업교육훈련 교원의 임용 150 4. 교원 연수 정책 153 5.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160 Ⅶ .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양성 및 관리 개선 방안 165 1. 정책 개선 방향 167 2. 개선 방안 180 3. 제언 192 참 고 문 헌 195 ABSTRACT 201 부 록 205
<연구의 필요성> 다가오는 세계화·정보화 시대에는 지적능력과 창의력에 바탕을 둔 직업의 종류가 더욱 다양하게 증가하고, 그 생성 소멸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교육은 이처럼 급변하는 직업세계에 각 개인이 유연하게 적응하는 능력을 키우는 핵심적인 수단이 되며 이러한 능력은 전 생애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길이 다양하게 열려 있을 때 비로소 향상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부응해야 하는 직업교육훈련의 실현에는 교원의 양성 및 관리의 질적 개혁 등을 바탕으로 한 교원의 전문성의 제고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현재의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양성 및 관리는 기본적으로 교육부와 노동부에 의한 이원화 운영과 함께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직업교육훈련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의 운영이 산업현장의 기술력을 겸비한 직업교육훈련교원으로서의 전문성을 갖추는데 미흡하다. 둘째, 교원관리에 있어 교원자격기준의 체계 미흡, 임용시험제도의 미비점, 교원승진 규정의 불합리성, 전보·전직 제도의 공정성 부족 등 교원의 임용, 승진체계의 불합리한 점이 가장 큰 불평불만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교원관리 중심의 하나가 되는 교원연수는 교직현장과 산업현장 중심의 재교육 성격을 강조하기보다는 상위 자격증 취득 위주로 운영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연수 내용 또한 교수현장 및 산업현장에의 적합성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는 직업교육훈련 교원의 역할 재인식 및 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전문성 확보 및 자질 향상을 위한 종합적 관리조정 기능이 강조되어야 한다.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자질과 역할을 재조명하고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전문성 확보 및 자질 향상을 위한 직업교육훈련 교원의 양성 및 관리의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 - 직업교육훈련 교원상의 제시 -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양성정책 및 양성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 직업교육훈련교원 관리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주요 선진국의 직업교육훈련 교원 양성 및 관리제도 분석 -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양성 및 관리에 대한 요구 - 직업교육훈련교원 양성 및 관리 개선을 위한 기본방안 모색 <연구의 방법> - 관련 문헌 및 자료의 검토·분석 - 면담조사 및 우편 설문조사 - 자문회의 개최 및 세미나 개최 <연구 결과> - 직업교육훈련교원에 대한 교원상의 제시를 통하여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양성과 관리의 기본적인 정책방향을 얻을 수 있다. - 직업교육훈련 교원의 전문성 제고를 통하여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산업인력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The study was to review qualifications and roles of vocational and technical teachers and to propose comprehensive and developmental points by which policies would be established to promote their expertism as a teaching staff, especially and simultaneously emphasizing their relations to the world of work. The study team proposed first a profile of an ideal vocational and technical teacher by which its roles and qualifications are combined with expectation that those features will work as professional in training students to cope well with the ever-changing industrial sectors. And the study stages to identify the realities and issues in vocational and technical teacher training and management came over and, in turn, identifying the component variables of a net star i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anticipating their influx to teaching position, and making a diagnosis on the impediment or underlying causes against efforts to elevate expert skills and gifts as vocational and technical teachers. Next, foreign examples and practices of vocational and technical teacher training and management were reviewed to obtain their lessons and implications on Korean vocational and technical teacher training. Finally, improvement points were gained based on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
<표 Ⅰ- 1> 설문지 내용 9 <표 Ⅰ- 2> 조사대상 기관별 설문지 배부 및 회수 현황 11 <표 Ⅱ- 1> 한국형 지식기반산업 18 <표 Ⅱ- 2> 기술혁신에 따른 직업교육훈련의 변화 20 <표 Ⅱ- 3> 직업교육훈련교원의 교수?활동에서의 역할 27 <표 Ⅲ- 1> 직업훈련교사 훈련과정별 훈련시설, 입학자격 및 훈련기간 46 <표 Ⅲ- 2> 대학간 교육내용 및 수업시간 비교 47 <표 Ⅲ- 3> 면허과정의 교과과정 내용 50 <표 Ⅲ- 4> 연도별 면허과정이수 현황 51 <표 Ⅲ- 5> 연도별 직업훈련교사 양성실적 54 <표 Ⅲ- 6> 직업훈련교사 면허등급별 발급현황 55 <표 Ⅲ- 7> 발급면허대비 재직자수의 비율 56 <표 Ⅲ- 8> 직업훈련기관별 재직교사 현황 57 <표 Ⅲ- 9> 향상훈련 교과과정 내용 59 <표 Ⅲ-10> 향상훈련과정 이수 실태 60 <표 Ⅲ-11> 향상훈련과정을 이수하지 않은 이유 60 <표 Ⅲ-12> 재훈련 교과과정 내용 62 <표 Ⅲ-13> 재직훈련 실적 62 <표 Ⅳ- 1> 중등교원양성기관 67 <표 Ⅳ- 2> 실업계고등학교 교원의 출신별 현황(1997년도) 69 <표 Ⅳ- 3> 교직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표 71 <표 Ⅳ- 4> 실업계와 일반계 고등학교간의 상치교원의 대비 75 <표 Ⅳ- 5> 교원의 자격취득 대비 임용 78 <표 Ⅳ- 6> 계열별 직업교육교원 연수기관 82 <표 Ⅳ- 7> 실업계 고등학교 교과목별 교원 재교육 현황 83 <표 Ⅳ- 8> 실업계 교원 연수과정별 이수년도 84 <표 Ⅳ- 9> 중등 자격연수 교육과정 교과편성지침 86 <표 Ⅳ-10> 일반연수 교육과정 교과편성지침 87 <표 Ⅳ-11>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연수 만족도 88 <표 Ⅳ-12> 학위별 교원수 92 <표 Ⅳ-13> 대학교원의 연수만족도 97 <표 Ⅴ- 1> 일본 직업능력개발대학교의 지도원 훈련 124 <표 Ⅴ- 2> 주요국의 직업교육훈련교원 양성제도 비교 133 <표 Ⅴ- 3> 주요국 직업교육훈련교원의 현직교육 비교분석표 134 <표 Ⅵ- 1> 지역별 분포 137 <표 Ⅵ- 2> 교직경력 138 <표 Ⅵ- 3> 직업훈련기관별 평균 교직경력 138 <표 Ⅵ- 4> 실업계 교원 교사자격증 취득 출신교 139 <표 Ⅵ- 5> 실업계 교원 임용전 직업 139 <표 Ⅵ- 6> 직업훈련원 교원 임용전 직업 140 <표 Ⅵ- 7> 대학 교원의 임용전 직업 141 <표 Ⅵ- 8>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 자격취득증 실태 141 <표 Ⅵ- 9> 직업훈련원 교원 자격증 취득 실태 142 <표 Ⅵ-10> 대학교원 자격증 취득 실태 143 <표 Ⅵ-11> 교원의 전문성, 교육현장성, 산업현장성의 결여에 대한 인식 144 <표 Ⅵ-12>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이 인식하는 결여의 원인 145 <표 Ⅵ-13> 직업훈련원 교원이 인식하는 결여의 원인 146 <표 Ⅵ-14> 대학 교원이 인식하는 결여의 원인 147 <표 Ⅵ-15> 바람직한 교원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 양성체계 147 <표 Ⅵ-16>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내용 순위 148 <표 Ⅵ-17> 실업계 교원 자격취득 방법 149 <표 Ⅵ-18> 직업훈련교사 자격제도 개편의 전제 150 <표 Ⅵ-19> 교원 임용시 우선 고려되어야 할 사항 151 <표 Ⅵ-20> 실업계 교원 임용시험에서 개선해야 할 내용 151 <표 Ⅵ-21>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현장실무능력인정방법 152 <표 Ⅵ-22> 수습교사제도 수습기간 153 <표 Ⅵ-23> 교원의 산업현장 연수 경험 유무 154 <표 Ⅵ-24> 산업현장 연수기간 154 <표 Ⅵ-25> 산업현장연수 제공처 155 <표 Ⅵ-26> 직업훈련원 교원의 향상훈련 및 산업현장연수과정 만족도 155 <표 Ⅵ-27>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연수중점 내용 156 <표 Ⅵ-28> 훈련원 교원의 연수중점 내용 156 <표 Ⅵ-29> 대학 교원의 연수중점 내용 157 <표 Ⅵ-30> 전공관련 연수주기 158 <표 Ⅵ-31> 연수의 전제조건 158 <표 Ⅵ-32> 연수결과의 활용 159 <표 Ⅵ-33>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에 대한 교원의 인식 160 <표 Ⅵ-34>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가능 분야 160 <표 Ⅵ-35> 직업교육과 직업훈련간의 연계 실태 161 [그림 Ⅱ-1]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자질과 능력의 차원(과거) 33 [그림 Ⅱ-2]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자질과 능력의 차원(현재) 3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훈련 교원제도 개선 방안 연구 | 1998.05.01~199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