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n Plan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Evaluation
저자
박태준 김미숙 이정의 김영상 김수원 조은상 서준호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1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방법	5

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의 정의 및 근거	8
  1.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정의	8
  2.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의 근거	16

Ⅲ. 이론적 고찰	28
  1. 프로그램 평가 기준의 설정	28
  2. 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접근법	37
  3. 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모형	41
  4. 연구의 기본 모형	52

Ⅳ.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의 현황 및 시사점	62
  1. 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의 현황	62
  2. 직업교육훈련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시사점	84

Ⅴ.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영역 및 항목 개발	87
  1. 평가 영역 및 항목 개발 절차	87
  2. 조사용 평가 영역 및 항목 설정	97
  3. 평가 영역 및 항목의 타당성 검증	101
  4. 개발된 평가 영역 및 항목	111

Ⅵ.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전략	145
  1. 평가 방향	145
  2. 평가 주체 	146
  3. 평가 대상	147
  4. 평가 운영 조직	148
  5. 평가 절차	149
  6. 평가 비용	152
  7. 평가 시기	153
  8. 평가 결과의 활용	155

Ⅶ. 결어 및 제언	157
  1. 결 어	157
  2. 제 언	159

참 고 문 헌	162

ABSTRACT	166

<부록 1> 현장실사용 설문지	169
<부록 2> 프로그램 평가 전략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	179
  본 연구는 차후의 유형별 프로그램 평가 방안 연구를 위한 기본적 형태의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기본적 형태의 방안 중 특히 평가의 영역 및 항목은 이 연구의 가장 중심되는 부분인데 이는 쇄도하는 평가위탁에 대한 현실적인 대응책이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기본적 평가 영역 및 항목은 평가 편람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이 방안은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질과 운영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수요자들(학생, 근로자, 산업체, 직업교육훈련 기관, 정부 등)에게 큰 기여를 할 것이다.
  As the technological science has advanced and the social economic situations have changed, concerns abou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VETP) are growing by the demands of government and industrial circle to cultivate men of talent and put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and by the demands of individuals to develop their competences to work.

  The evaluation of VETP is useful for the various kinds of users who want for detailed information on the quality and operation of VETP to improve and manage it efficiently coping with the national soci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VETP Evaluation Plan for future classified program evaluation plan study.
...
<표 Ⅱ- 1>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의 특징 비교	 21
<표 Ⅱ- 2> 법령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요구	 31
<표 Ⅲ- 1> 기준활용 여부 점검표	 43
<표 Ⅲ- 2> 프로그램평가 기준 선정(trade-off)을 위한 점검표	 45
<표 Ⅲ- 3> 컬크패트릭 모형	 51
<표 Ⅲ- 4> CIPP 평가 모형	 73
<표 Ⅳ- 1> 실업자 직업훈련 1차 점검?평가의 평가항목	 80
<표 Ⅳ- 2> 전문대학 특성화 프로그램 평가영역별 평가 기준	 84
<표 Ⅳ- 3> 1997년도 대비 1998년도 사업의 주요 특징(전문대)	 86
<표 Ⅳ- 4> ISD 모형의 각 단계별 목적 및 방법	 90
<표 Ⅳ- 5> 학점은행제를 위한 평가인정의 평가영역, 항목 및 지표	 95
<표 Ⅳ- 6> 약학계열 학과의 평가 항목수와 가중치	 98
<표 Ⅳ- 7> 각 평가의 비교	 100
<표 Ⅴ- 1> 학점은행제 시범운영을 위한 ‘학습과정’의 평가 기준	 110
<표 Ⅴ- 2> 공단에서 시행하는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항목	 111
<표 Ⅴ- 3> 대학종합평가인정제의 평가 기준	112
<표 Ⅴ- 4> 전문대학 특성화 프로그램 평가항목	 114
<표 Ⅴ- 5> 1차 기초조사용 설문지	 115
<표 Ⅴ- 6> 회수 설문지 현황 	123
<표 Ⅴ- 7> 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	124
<표 Ⅴ- 8> 재검토 항목들 	128
<표 Ⅴ- 9> 이해당사자의 요구 영역의 하위항목	134
<표 Ⅴ-10> 투입 차원의 영역	136
<표 Ⅴ-11> 교육목표 영역의 하위항목	137
<표 Ⅴ-12> 교육내용 영역의 하위항목	138
<표 Ⅴ-13> 교육시간 영역의 하위항목	141
<표 Ⅴ-14> 시설?설비 및 교육활동 지원 환경 영역의 하위항목	142
<표 Ⅴ-15> 교원 영역의 하위항목	144
<표 Ⅴ-16> 교육훈련생 선발 영역의 하위항목	147
<표 Ⅴ-17> 과정 차원의 영역	149
<표 Ⅴ-18> 수업방법 영역의 하위항목	149
<표 Ⅴ-19> 현장실습의 하위항목	153
<표 Ⅴ-20> 평가 영역의 하위항목	155
<표 Ⅴ-21> 학생관리 및 생활지도 영역의 하위항목	157
<표 Ⅴ-22> 산출 차원의 영역	159
<표 Ⅴ-23> 성취도 영역의 하위항목	160
<표 Ⅴ-24> 자격증 영역의 하위항목	161
<표 Ⅴ-25> 취업 영역의 하위항목	163
<표 Ⅴ-26> 이해당사자의 만족도 영역의 하위항목	165
<표 Ⅴ-27>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	166

[그림 Ⅰ-1] 연구의 개요도	 7
[그림 Ⅱ-1]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과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34
[그림 Ⅲ-1] 타일러 삼각형―교육목표, 학습목표 및 평가과정	47
[그림 Ⅳ-1] ISD 모형 흐름도	89
[그림 Ⅳ-2] 학습과목 평가인정 절차	94
[그림 Ⅳ-3] 학과평가인정제의 운영조직	97
[그림 Ⅴ-1] 프로그램 평가 영역 및 항목 개발 절차	108
[그림 Ⅵ-1] 평가 운영 조직	17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방안 연구 1998.05.01~199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