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저자
서준호 박태준 조은상 김수원 김헌식 김형식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1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의 범위 

Ⅱ.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환경에 대한 고찰 
   1. 직업교육훈련기관의 평가 
   2. 직업교육훈련기관별 현황 
   3. 기관평가의 기본적 틀 

Ⅲ. 국내·외 기관평가 사례 
   1. 국내 기관평가 
   2. 계속교육 및 훈련 기관 인정 위원회(ACCET)의 직업교육훈련기관 인정 사례 

Ⅳ.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방안 
   1. 개관 
   2. 목적 
   3. 평가대상기관 유형 및 특성 
   4.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항목 
   5. 평가기관 
   6. 평가유형 
   7. 평가절차 
   8. 평가결과의 결정방식 

Ⅴ. 결 론 
   1. 연구결과 
   2.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ABSTRACT 

부 록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훈련시장에서의 발전적이고 건전한 경쟁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직업교육훈련기관들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서 수행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the evaluation system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VET) institutions which is stimulated by Promot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ct(PVETA).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interview with persons in charge of training and evaluation in VET institutions, and focus group meetings were utitized.
To achieve this purpose, we reviewed general factors related to evaluation of VET institution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ccording to their types. We also reviewed the literature regarding several types of institutional evaluation.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review regarding institutional evaluation, legal foundation and general framework of evaluation were examined.
...
<표 Ⅱ- 1> 교육과 훈련에서의 강조점 비교	10
<표 Ⅱ- 2>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특성 비교	11
<표 Ⅱ- 3> 1997년도 직업훈련기관 현황	16
<표 Ⅱ- 4> 산업대학의 현황	21
<표 Ⅱ- 5> 산업대학의 연령별 신?편입 학생수	23
<표 Ⅱ- 6> 산업대학의 직업별 신·편입 학생수	24
<표 Ⅱ- 7> 졸업생 및 취업자 현황	26
<표 Ⅱ- 8> 전문대학의 현황	27
<표 Ⅱ- 9> 지역별 전문대학 분포(1997년도 기준)	28
<표 Ⅱ-10> 전문대학의 입학생 현황	29
<표 Ⅱ-11> 전문대학의 졸업생 및 취업자 현황	29
<표 Ⅱ-12> 연도별 기능대학 분포	31
<표 Ⅱ-13> '97년도 직업교육훈련	32
<표 Ⅱ-14> 전문대학과 기능대학의 교과편성 비교	32
<표 Ⅱ-15> 기능대학 다기능기술자과정 졸업생의 취업실적	33
<표 Ⅱ-16> 기능정도별 직업훈련 인원의 추이	33
<표 Ⅱ-17> 공공 직업훈련의 추이	35
<표 Ⅱ-18> 사업내 직업훈련을 실시하는 사업체수	36
<표 Ⅱ-19> 사업내 직업훈련의 인원 추이	37
<표 Ⅱ-20> 인정직업훈련의 인원 추이	38
<표 Ⅱ-21> 분야별 인정직업훈련 인원 추이	39
<표 Ⅱ-22>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반적 현황	40
<표 Ⅱ-23> 계열별 학교수의 추이	40
<표 Ⅱ-24> 계열별 학생수의 추이	41
<표 Ⅱ-25> 졸업생의 진로현황	42
<표 Ⅱ-26> 계열별 교원수('98. 4. 1. 현재) 	43
<표 Ⅱ-27> ‘97년도 기술계학원 현황	43
<표 Ⅱ-28> ‘97년도 기술계 학원의 이수기간별·직업별 수강자수	44
<표 Ⅱ-29> 기술계 학원에 대한 학원총연합회의 과정분류	45
<표 Ⅱ-30> 경합가치 모형들의 강조점과 유효성 기준	49
<표 Ⅲ- 1> 대학 종합평가 영역 및 부문별 가중치	59
<표 Ⅲ- 2> 전문대학 평가영역 및 부문별 가중치	63
<표 Ⅲ- 3> 전문대학의 평가를 위한 계열분류	63
<표 Ⅲ- 4> 실업계 고등학교의 평가영역 및 부문별 가중치	67
<표 Ⅲ- 5> 기능대학 및 직업전문학교의 평가영역 및 가중치	69
<표 Ⅲ- 6> 인정 과정에 대한 시간계획	75
<표 Ⅲ- 7> ACCET의 인정기준	76
<표 Ⅳ- 1> 직업교육훈련기관 유형별 특성	92
<표 Ⅳ- 2> 기초조사용 기관평가 영역 및 항목	94
<표 Ⅳ- 3> 직업전문학교 조사결과 요약	101
<표 Ⅳ- 4> 평가영역에 대한 평균적 가중치 부여 결과	105
<표 Ⅳ- 5> 직업교육훈련기관평가 평가영역	106
<표 Ⅳ- 6> 교육훈련 목적의 평가항목	111
<표 Ⅳ- 7> 교육훈련 과정의 평가항목	113
<표 Ⅳ- 8> 교원에 대한 평가항목	115
<표 Ⅳ- 9> 교육기관에 따른 산학협동의 내용	116
<표 Ⅳ-10> 참여단위에 의한 산학협동의 내용	116
<표 Ⅳ-11> 산학협동에 대한 평가항목	117
<표 Ⅳ-12> 교육훈련 결과에 대한 평가항목	119
<표 Ⅳ-13> 기관운영(경영)에 대한 평가항목	121
<표 Ⅳ-14> 재정에 대한 평가항목	122
<표 Ⅳ-15> 시설?설비에 대한 평가항목	123
<표 Ⅳ-16> 지역사회 공헌에 대한 평가항목	125
<표 Ⅳ-17> 직업교육훈련기관 유형별 평가항목	126
<표 Ⅳ-18> 기관유형에 따른 평가영역별 평가항목의 수	129
<표 Ⅳ-19> 평가영역의 가중치	130
<표 Ⅳ-20> 평가항목의 가중치	131
<표 Ⅳ-21> 평가영역의 가중치	133
<표 Ⅳ-22> 기관 평가단의 구성 및 평가담당 영역	139
<표 Ⅳ-23> 평가결과의 결정방식	151

[그림 Ⅱ-1] 조직의 경영활동과 외부 환경주체의 활동간의 관계	18
[그림 Ⅱ-2] 기관평가의 기본적 틀	51
[그림 Ⅲ-1] 대학평가인정제의 평가과정	60
[그림 Ⅲ-2] 전문대학 평가과정	64
[그림 Ⅳ-1] 직업교육훈련 기본계획과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의 관계	82
[그림 Ⅳ-2] 평가항목 개발과정	93
[그림 Ⅳ-3]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주요한 이해관계 집단	96
[그림 Ⅳ-4] 산학협동의 유형	109
[그림 Ⅳ-5]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를 위한 조직구조	136
[그림 Ⅳ-6] 사전준비 단계에서 평가기관의 내부적 활동	144
[그림 Ⅳ-7] 사전준비 단계에서 평가기관과 평가대상 기관의 상호작용	146
[그림 Ⅳ-8] 사전 평가 단계에서 평가기관과 평가대상 기관의 상호작용	14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방안 연구 1998.05.01~199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