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인증제도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f core job ability certification in the technological field
저자
김미숙 김현수 박종성 박윤희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1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연구 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2
	가.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인증 배경과 관련 기구	3
	나. 기초 직업능력 영역	3
	다. 기초 직업능력 인증과 타 제도와의 연계 및 평가 인증 방법	3
	라. 우리나라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인증 방안	4
  3. 연구 방법	4
	가.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4
	나. 설문 조사  	5
	다. 면담 조사 	5
	라. 전문가 협의회	5
  4. 용어 정의	6
	가. 직업능력인증제	6
	나. 기술분야	6
	다.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6

Ⅱ.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인증제도 배경	7
  1. 개념 정의	7
	가. 직업능력인증제 	7
	나. 기술분야 	9
	다.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12
  2.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인증제도 배경	13

Ⅲ. 기초 직업능력 도입과 관련 기구	18
  1. 미국	18
  2. 영국	28
  3. 호주	39
  4. 뉴질랜드	50
  5. 종합 및 시사점	56

Ⅳ. 기초 직업능력 영역	59
  1. 미국	59
	가. 기초 직업능력(workplace know-how) 영역의 분류 방법	59
	나. 기초 직업능력의 영역	68
  2. 영국	89
	가. 기초 직업능력(key skills) 영역의 분류 방법	89
	나. 기초 직업능력의 영역	90
  3. 호주	102
	가. 기초 직업능력(key competencies)의 설정 원칙	102
	나. 기초 직업능력의 영역	104
  4. 뉴질랜드	123
	가. 기초 직업능력(essential skills) 영역의 분류 방법	123
	나. 기초 직업능력의 영역	125
  5. 종합 및 시사점	136

Ⅴ. 기초 직업능력 인증과 타제도와의 연계	140
  1. 미국	140
  2. 영국	146
  3. 호주	155
  4. 뉴질랜드	160
  5. 종합 및 시사점	164

Ⅵ. 기술 분야 기초 직업능력 평가인증 방법	168
  1. 미국	168
	가. 평가인정(Accreditation)과 자격인증(Certification)	168
	나. NSSB 평가와 자격인증	172
	다. ACT의 인증 방법	178
  2. 영국	185
	가. 기초 직업능력 평가를 위한 증거	187
	나. 기초 직업능력의 평가	191
	다. 외부 검증	200
  3. 호주	204
	가. 기초 직업능력 평가의 원리	204
	나. 기초 직업능력 평가의 시범운영(Pilot Project) 	206
	다. 능력중심 평가(competency-based assessment)	213
  4. 뉴질랜드	220
	가. 평가 정책 	220
	나. 평가방법	225
	다. 평가정보의 기록	236
	라. 평가결과의 보고	239
  5. 종합 및 시사점	244

Ⅶ. 우리나라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인증에 대한 조사	246
  1. 영역 추출	247
  2. 인증방법에 대한 조사	264

Ⅷ.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인증 방안	280
  1. 인증영역	280
  2. 인증 대상	281
  3. 인증 방안	281
	가. 국가자격내 인증방안	283
	나. 민간자격내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인증 방안	284
	다.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인증제도 정착화 방안	289

Ⅸ. 결론 및 제언	302
  1. 결론	302
  2. 제언 	309

참고문헌	310

ABSTRACT	324

부록	326
  본 연구에서는 지식산업 사회의 도래와 함께 국가 경제의 혁신적 발전을 이룩하고 기술 향상을 통한 국가경쟁력을 고취시키기 위해 기초 직업능력 중에서 기술적 특성을 지닌 직업능력은 무엇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평가하여 인증해 줄 수 있는 기초 직업능력 영역은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이를 단계적으로 인증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job ability among the core job abilities, (2) to review core job ability area to evaluate and certify, and (3) to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 to certificate core job ability in technological field.

  To achieve this aims, we made a theoretical study on the foreign countries such as America, England, Australia, and New Zealand. We studied background and related organizations of core job ability certification in technological field, area of core job ability, linking core job ability certification and other institution, and the way of core job ability certification. 
  And then we took a survey on the core job ability certification in Korea. At last, we suggested some policy implications in the core job ability certification in Korea.  ...
<표 Ⅱ- 1> 국가기술자격제도, 직업능력인증제, 민간자격 비교	8
<표 Ⅱ- 2> 각국의 기초 직업능력 관련 용어	16
<표 Ⅱ- 3>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인증의 기대 효과	17
<표 Ⅲ- 1> 기술기준 체계 개발 목적	21
<표 Ⅲ- 2> 호주 국가 산업훈련자문기구(ITABs)	48
<표 Ⅲ- 3> 뉴질랜드자격원(NZQA)의 제공 서비스	53
<표 Ⅲ- 4> 각국의 기초 직업능력 도입 배경 및 관련 기구	57
<표 Ⅳ- 1> 기술 개념에 따른 2차원적 통합 방법	65
<표 Ⅳ- 2> 기본 기술	70
<표 Ⅳ- 3> 기초 직업능력	71
<표 Ⅳ- 4> 기초 직업능력의 등급	77
<표 Ⅳ- 5> 기초 직업능력 요소 체계도	81
<표 Ⅳ- 6> 기초 직업능력 요소	82
<표 Ⅳ- 7> 5개 경제 분야별 50개 직무 명칭	85
<표 Ⅳ- 8> 전체 직업에서의 능력 중요도	86
<표 Ⅳ- 9> SCANS와 ACT의 기초 직업능력 영역 비교	88
<표 Ⅳ-10> NVQ/SVQ에서 검토중인 기초 직업능력  	101
<표 Ⅳ-11> QCA와 SQA의 기초 직업능력 영역 비교	102
<표 Ⅳ-12> 기초 직업능력의 성취 수준	105
<표 Ⅳ-13> 정보의 수집?분석 및 조직화 능력	108
<표 Ⅳ-14> 아이디어와 정보의 의사교환 능력 	111
<표 Ⅳ-15> 직무활동의 기획 및 조직화 능력	113
<표 Ⅳ-16> 팀 내에서 타인과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능력 	115
<표 Ⅳ-17> 수리적인 아이디어와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117
<표 Ⅳ-18> 문제해결 능력	119
<표 Ⅳ-19> 기술활용 능력	121
<표 Ⅳ-20> 호주의 기초 직업능력	122
<표 Ⅳ-21> 1998년 3월 인정된 새로운 단위자격기준(example)	133
<표 Ⅳ-22> 뉴질랜드의 기초 직업능력	134
<표 Ⅳ-23> 각국의 기초 직업능력 비교	138
<표 Ⅳ-24>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의 세부항목들 	139
<표 Ⅴ- 1> 학위와 NLS와의 관계	151
<표 Ⅴ- 2> 각국의 기초 직업능력과 타제도와의 연계 비교	167
<표 Ⅵ- 1> ACT 비용(플로리다주의 경우)	180
<표 Ⅵ- 2> 수의 적용능력의 수행기준	196
<표 Ⅵ- 3> 의사소통능력의 수행기준	197
<표 Ⅵ- 4> 정보기술능력의 수행기준	198
<표 Ⅵ- 5> 문제해결능력의 수행기준	199
<표 Ⅵ- 6> 교육평가(Educational Assessment) 모형의 비교	208
<표 Ⅵ- 7> 능력중심의 평가 방법	214
<표 Ⅵ- 8> 능력기준기관(Comptency Standards Bodies)	217
<표 Ⅵ- 9> 평가의 목적과 방법	228
<표 Ⅵ-10> 각국의 평가방법	244
<표 Ⅶ-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47
<표 Ⅶ- 2> 직업형태별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존재 여부 	248
<표 Ⅶ- 3> 연령별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존재 여부	249
<표 Ⅶ- 4> 직업형태별 가장 먼저 인증되어야 할 능력	250
<표 Ⅶ- 5> 연령별 가장 먼저 인증되어야 할 능력	250
<표 Ⅶ- 6> 응답자들의 기초 직업능력 수준	251
<표 Ⅶ- 7> 정보화능력 수준에 대한 인식	253
<표 Ⅶ- 8> 기술활용능력 수준에 대한 인식	254
<표 Ⅶ- 9> 수리능력에 대한 인식	255
<표 Ⅶ-10>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의 필요성	256
<표 Ⅶ-11> 정보화 능력의 필요성 정도	257
<표 Ⅶ-12> 기술활용 능력의 필요성 정도	259
<표 Ⅶ-13> 수리 능력의 필요성 정도	260
<표 Ⅶ-14> 기초 직업능력에 대한 교육 필요성	262
<표 Ⅶ-15> 인증시 산업체에서의 활용 정도	264
<표 Ⅶ-16> 평가결과 제시 방법	265
<표 Ⅶ-17> 인증방법	267
<표 Ⅶ-18> 인증 주체 	268
<표 Ⅶ-19> 학력제한 여부	268
<표 Ⅶ-20> 문제 출제 형태	270
<표 Ⅶ-21> 인증 횟수	271
<표 Ⅶ-22>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교육의 시작 시기 및 가르치는 장소	272
<표 Ⅶ-23> 인증 비용	274
<표 Ⅶ-24> 인증후 사후 관리의 필요성 및 관리 주기	275
<표 Ⅶ-25>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인정 여부 	276
<표 Ⅶ-26> 상급 학교 입학 전형 자료로의 활용 여부	277
<표 Ⅶ-27> 산업체 취업시 활용 여부	278
<표 Ⅷ- 1>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의 하위요소	280
<표 Ⅷ- 2>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을 공인제도로 시행할 경우의 장?단점	288
<표 Ⅸ- 1> 자격제도와 인증제도 비교	304
<표 Ⅸ- 2> 관련제도 특성 비교	305

[그림 Ⅲ- 1] 교육과 기초 직업능력  	19
[그림 Ⅲ- 2] 영국의 자격운영 체계	29
[그림 Ⅲ- 3] 영국 GNVQ에서의 기초 직업능력 단위 구성	34
[그림 Ⅲ- 4] 호주의 직업교육훈련 체계	43
[그림 Ⅳ- 1] 기본기술의 중요성 정도	71
[그림 Ⅳ- 2] 직업핵심요소의 숙련정도와 필요성 비교	80
[그림 Ⅳ- 3] 전체 직업에서의 능력 중요도	87
[그림 Ⅳ- 4] 영국의 기초 직업능력 자격 구성 체계	89
[그림 Ⅳ- 5] QCA의 기초 직업능력 단위의 구성	92
[그림 Ⅳ- 6]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	124
[그림 Ⅳ- 7] 뉴질랜드 국가자격의 체계	130
[그림 Ⅳ- 8] 뉴질랜드의 자격 및 교육체계	130
[그림 Ⅴ- 1] 기초 직업능력 : 직업세계에서 학교에 요구하는 것	142
[그림 Ⅴ- 2] 16세 이후의 자격 취득 경로	149
[그림 Ⅴ- 3] 학위, 국가직업자격, 일반국가직업자격간의 연계	154
[그림 Ⅵ- 1] 영국의 기초 직업능력 인증 과정	186
[그림 Ⅵ- 2] 자격신청자 평가 절차	189
[그림 Ⅵ- 3] 기초 직업능력 증거의 유형	190
[그림 Ⅵ- 4] 영국의 기초 직업능력 평가 관련 기관	193
[그림 Ⅵ- 5] 통합적 평가 모형(a holistic assessment model)의 특징	206
[그림 Ⅵ- 6] 뉴질랜드 초등학교 성적표의 예	243
[그림 Ⅶ- 1] 응답자들의 자기 자신의 기초 직업능력에 대한 평가	252
[그림 Ⅶ- 2]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의 필요성	256
[그림 Ⅶ- 3] 정보화 능력의 필요성 정도	258
[그림 Ⅶ- 4] 기술활용 능력의 필요성 정도	259
[그림 Ⅶ- 5] 수리 능력의 필요성 정도	261
[그림 Ⅶ- 6]기초 직업능력의 교육 필요성	263
[그림 Ⅶ- 7] 평가결과 제시 방법	266
[그림 Ⅶ- 8] 학력제한 여부	269
[그림 Ⅶ- 9] 문제 출제 형태	270
[그림 Ⅶ-10] 인증 횟수	271
[그림 Ⅶ-11]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교육의 시작 시기	273
[그림 Ⅶ-12]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의 교육 장소	273
[그림 Ⅶ-13] 인증 비용	274
[그림 Ⅶ-14] 인증후 사후 관리의 필요성	276
[그림 Ⅶ-15]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인정 여부	277
[그림 Ⅶ-16] 상급 학교 입학 전형 자료로의 활용 여부	278
[그림 Ⅶ-17] 산업체 취업시 활용 여부	279
[그림 Ⅸ- 1] 교육제도, 자격제도, 직업능력인증제의 관계	30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술분야 기초 직업능력 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1998.05.01~199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