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여자 중학생용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a Multi-Media CD-ROM Title for Girls
저자
진미석 손유미 정윤경 이지연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1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 

Ⅱ. 연구편 
	1. 여성과 직업 
	2. 여학생의 직업의식 
	3. 중학생의 진로지도의 실태와 진로지도 요구 
	4. 중학생용 진로교육용 프로그램 
	5. 멀티미디어 매체의 교육적 효과 
	6. 진로지도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시사점 

Ⅲ.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편 
	1. CD-ROM 타이틀의 구조 
	2. 멀티미디어 CD-ROM 실행환경 및 개발 환경 
	3. CD-ROM 타이틀 내용 및 구현 방법 

Ⅳ. 활용 방안 
	1. 활용유형 
	2. 활용지침서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들의 진로활동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여학생들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건전한 의식을 제고하고 다양한 일의 세계를 탐색하도록 도와주는 내용으로 구성된, 진로지도용 멀티미디어 CD-ROM타이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Under Korean educational context which has regarded the college entrance as the best and only career for students, it has been  difficult to implement the career guidance program to help students to explore themselves and the world of work. Especially, for girls, it is possible to say that few career education programs have existed because of the strict sex role stereotypes which has defined the role of woman as a home maker. However, in the coming century, the industry must need woman resources badly. Thus, for the Korean economy and for individual students,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the career guidance programs which may enhance girls' career awareness and help girls to search the right careers for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multi-media CD-ROM title for middle high school girls which integrated the divers aspects of career education such as career awareness, self exploration, exploring of the world of work. The CD-ROM was named as 'AHROE' by taking account into the heroine to guide the CD-ROM and the meaning of my ways. Along with the CD-ROM title, we developed a user-guideline for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an easy way to use the CD-title in the class context. The guideline is composed of 5 types of modules.
  As the first Korean multi-media CD-ROM career guidance program, AHROE, is expected to provide the new model for the career education in Korea. For this study, we utilized divers methodologies, such as survey, expert committee, brain-storming, developing career interest test, etc.
...
<표 Ⅰ- 1> 연구의 내용 및 방법	8
<표 Ⅱ- 1> 1997년도 학교별 취학률 	13
<표 Ⅱ- 2> 성, 연령계층별 국민의 평균 교육 년수	14
<표 Ⅱ- 3> 전공분야별 여자 대학생 분포	15
<표 Ⅱ- 4>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16
<표 Ⅱ- 5> 성 및 전공분야별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률	16
<표 Ⅱ- 6> 1997년도 여성취업자의 직종분포	17
<표 Ⅱ- 7> 여성취업자의 사업체규모별 분포	17
<표 Ⅱ- 8> 여성취업 장애요인	19
<표 Ⅱ- 9> 사람들은 왜 직업을 가지는가?	23
<표 Ⅱ-10> 학교공부는 앞으로의 나의 인생에 어떤 도움을 주는가 (단위%)	24
<표 Ⅱ-11> 여성의 직업에 대한 남녀학생별 반응(단위 %)  	24
<표 Ⅱ-12> IMF 상황하의 여성의 우선해고대상에 대한 견해(단위%)	25
<표 Ⅱ-13> 자신의 부인이 직장을 갖는 것 에 대하여 (단위 %, N=525)	26
<표 Ⅱ-14> 여학생이 선호하는 직업	27
<표 Ⅱ-15> 선호직업군별 남녀간의 차이 	31
<표 Ⅱ-16> 자신의 진로에 대한 고민의 대상은 ?  	33
<표 Ⅱ-17> 자신의 소질을 알게 된 방법	35
<표 Ⅱ-18> 나의 진로를 위해 어떤 내용의 교육이 가장 필요한가?	38
<표 Ⅱ-19> 직업에 대하여 알고 싶은 내용은?	38
<표 Ⅱ-20>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방법에 대한 의견	39
<표 Ⅱ-21> 학교 진로지도정보자료 활용 미비 이유인식	40
<표 Ⅱ-22> 멀티미디어의 구성요소 	43
<표 Ⅲ-1> ’97  멀티미디어 교육용 컴퓨터 표준 규격	52
<표 Ⅲ-2> ‘아로’의 개발 환경 	58
<표 Ⅲ-3>  ‘아로’의 내용과 구현 방법	60
<표 Ⅳ-1> 유형 I의 활용 지침 방안	78
<표 Ⅳ-2> 유형 Ⅱ의 활용 지침 방안	79
<표 Ⅳ-3> 유형 Ⅲ의 활용 지침 방안	80
<표 Ⅳ-4> 유형 Ⅳ의 활용 지침 방안	81
<표 Ⅳ-5> 유형 Ⅴ의 활용 지침 방안	82

[그림 Ⅰ- 1] 연구의 흐름도	9
[그림 Ⅱ- 1]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유형 	18
[그림 Ⅱ- 2] 여학생의 장래 직업계획(N=780)	26
[그림 Ⅱ- 3] 학교에서 진로교육의 경험이 있는가?(N=772)	32
[그림 Ⅱ- 4] 무엇에 소질이 있는지 알고 있는가(N=780)   	34
[그림 Ⅱ- 5] 여학생의 고등학교 계열선택계획 (N=777)	36
[그림 Ⅱ- 6] 실업계 선택이유(N=278)	37
[그림 Ⅲ- 1] 아로의 구조도	52
[그림 Ⅲ- 2] 나에게 맞는 직업은? 화면	63
[그림 Ⅲ- 3] 직업흥미검사 화면	64
[그림 Ⅲ- 4] 21세기 유망 직업	66
[그림 Ⅲ- 5] 직업소개 화면 	67
[그림 Ⅲ- 6] 고등학교계열 소개 화면	69
[그림 Ⅲ- 7] 계열별 고등학교 소개 화면	70
[그림 Ⅲ- 8] 내가 꾸며보는 미래 화면	71
[그림 Ⅲ- 9] 알고 싶어요  화면	72
[그림 Ⅲ-10] 알고 싶어요 질문/대답  화면	73
[그림 Ⅲ-11] 직업찾아보기 화면	74
[그림 Ⅳ- 1] ‘아로’의 활용방안의 유형 	7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여자 중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1998.05.01~199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