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운영 방안

A Study on Strategies for Self-Regulated Managemen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a
저자
장명희 강경종 김선태 김종우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1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연 구 요 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가. 연구의 내용	3
	나. 연구의 방법	3
	다. 조사 대상 및 내용	5
	라. 자료의 분석	8

II.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의 도입 배경	9
  1. 외국의 직업교육과정의 운영 동향	9
	가. 미국	12
	나. 일본	17
	다. 유럽 	22
	라. 시사점	25
  2. 직업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 자율 운영 도입	28
	가. 직업교육과정의 운영 방향	28
	나.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의 필요성	29
	다. 교육과정 자율 운영 관련 법규 및 제한점	36
	라. 교육과정 자율 운영의 기본 전제 및 모형	43

Ⅲ.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53
  1. 시·도 교육청의 편성 운영 지침 분석	53
	가. 편성·운영 지침의 일반적 특성	53
	나. 직업교육과정 이수 모형의 종류	55
	다. 전공 계열별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구성	57
	라. 기준 학과 및 편제 	59
  2. 학교 직업교육과정의 분석	63
	가. 분석 자료의 일반적 특성	64
	나. 학교 교육목표 및 특색사업	65
	다.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편제	66
	라. 지역간, 지역내의 교과 편제 비교	68

Ⅳ.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자율 운영에 대한 요구	71
  1.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 운영 사례	71
	가.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체제 및 특징	72
	나. 교육청 지원 관련 사항	78
  2. 교육과정 자율 운영에 대한 요구	79
	가. 학교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요구	80
	나. 학교 경영목표와 선호하는 교육과정 운영 모형	82
	다.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반에 대한 요구	88
	라.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요구	98
	마. 교육과정 자율 운영 요구에 대한 시사점	100

Ⅴ.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 방안	103
  1. 교육과정 자율 운영 체제	103
  2. 수평적 통합교육과정	106
	가. 수평적 통합교육과정의 개념	106
	나. 교과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운영 방안	107
	다. 단일 학교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운영 방안	111
	라. 지역 단위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운영 방안	116
  3. 수직적 통합교육과정	121
	가. 수직적 통합교육과정의 개념	121
	나. 수직적 통합교육과정의 유형	121
	다. 수직적 통합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122
  4. 특성화 교육과정	128
	가. 특성화 교육과정의 개념 및 유형	128
	나. 특성화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129
  5. 코스제	132
  6. 현장실습 운영의 다양화	135

Ⅵ.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방안 및 제언	145
  1. 행·재정적 지원 방안	145
	가. 행정적 지원	145
	나. 재정적 지원	148
  2. 제 언	148
	가. 직업교육체제 강화를 위한 정책적 건의	149
	나.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제언	152

참고문헌	157
ABSTRACT	161
<부록 1> 학교용 설문지	167
<부록 2> 면접조사지	179
<부록 3>『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실험학교 운영』세부 계획서	183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의 필요성과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과 관련되는 문제점 및 요구를 파악하여, 단위 학교가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여 학교현장에서 보다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1999년부터 교육부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 실험학교의 운영을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individual vocational high schools of the curriculum management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power of vocational high schools by proposing the strategies for self-regulated curriculum manage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For this study, we utilized the literature review, the secondary analysis of existing data, and a need analysis of teachers, educational administrators. We interviewed administrators of 7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9 schools. W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by mail to 774 vocational high schools for the needs analysis. The response rate was 59.9% from the mail survey. In addition, we had expert meetings for two times in order to collect the opinions of experts about the strategies for self-regulated curriculum manage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
<표  I- 1> 시?도 교육청 및 학교 직업교육과정 수집 현황	5
<표  I- 2> 설문 조사의 표집 대상과 수집 현황	6
<표  I- 3> 학교용 설문지의 주요 내용	7
<표 Ⅱ- 1> 애히메현립 가와노이시 고등학교 교육과정	19
<표 Ⅱ- 2> 실업계 고등학교 학교, 학급, 학생 수, 교원 수 현황	30
<표 Ⅱ- 3> 실업계 고등학교의 설립별 유형에 따른 학교 수	31
<표 Ⅱ- 4>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 추이	32
<표 Ⅱ- 5>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진학률 추이	32
<표 Ⅱ- 6>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42
<표 Ⅲ- 1> 시?도 교육청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구성	54
<표 Ⅲ- 2> 시?도 교육청 고등학교 교육과정 이수 모형의 종류	56
<표 Ⅲ- 3> 직업 교육과정 모형의 계열별 교과 구성 비교	58
<표 Ⅲ- 4> 직업 교육과정 모형에 제시된 기준 학과	60
<표 Ⅲ- 5> 농업계열 학과의 전문교과 편제 비교	61
<표 Ⅲ- 6> 학교 교육과정 분석 자료 현황	63
<표 Ⅲ- 7> 분석 대상학교의 일반적 특성	64
<표 Ⅲ- 8> 상업계 고등학교 지역별?학과별 보통교과 대 전문교과 비율	67
<표 Ⅲ- 9> 상업계 정보처리과 학과 필수 과목 이수 현황	68
<표 Ⅳ- 1> 면접 대상 학교	72
<표 Ⅳ- 2> 설문 응답 학교의 일반적 특성	80
<표 Ⅳ- 3> 학교 교육과정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의 어려운 점	81
<표 Ⅳ- 4> 학교 경영목표	82
<표 Ⅳ- 5> 학교 교육목표에 따른 합리적인 교육과정 운영 모델	83
<표 Ⅳ- 6> 통합교육과정의 운영이 요구될 때 선호하는 유형	84
<표 Ⅳ- 7> 보통교과와 전문교과간에 통합 가능성을 제시한 예	85
<표 Ⅳ- 8> 전문교과와 전문교과간에 통합 가능성을 제시한 예	86
<표 Ⅳ- 9>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연계의 필요성을 느끼는 기관	87
<표 Ⅳ-10> 학생 선발방법	88
<표 Ⅳ-11> 이수기간 조절의 필요성	88
<표 Ⅳ-12> 현행 교육과정에 제시된 이수 단위 및 이수 기준의  적정성	89
<표 Ⅳ-13>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교사 연수방안	90
<표 Ⅳ-14> 교사들이 현재의 연수 프로그램에 가지는 불만 요인	91
<표 Ⅳ-15> 교사 연수 프로그램 운영에 적합한 기관	91
<표 Ⅳ-16> 심화된 분야 실험?실습이 필요할 경우의 대안	92
<표 Ⅳ-17> 교재 및 학습자료 개발 현황	93
<표 Ⅳ-18> 학습 자료 개발 방법 현황 및 앞으로의 방안	94
<표 Ⅳ-19> 현재 학교 경영목표에 따른 현장실습의 기능	94
<표 Ⅳ-20> 앞으로의 현장 실습의 방법과 기간	95
<표 Ⅳ-21> 다양한 현장 경험을 위한 현장실습 방법	96
<표 Ⅳ-22> 현재 학생들에 대한 진로지도 방법과 앞으로의 계획	96
<표 Ⅳ-23> 진로지도 프로그램 운영의 목적	97
<표 Ⅳ-24> 학교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계획 운영시 지원이 필요한 사항	99
<표 Ⅴ- 1> 7개의 전공 영역 및 이수 과목	114
<표 Ⅴ- 2> 3단계 교과목 편성	127
<표 Ⅴ- 3> 금속과 전문교과목과 국가 기술자격 검정 과목 비교	133
<표 Ⅴ- 4> 교육과정 자율 운영 방안 비교	143

[그림 Ⅱ-1] 현행 교육과정과 자율 운영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비교	47
[그림 Ⅱ-2] 교육과정 자율 운영 학교의 운영 형태 및 학교 추진 사항	48
[그림 Ⅱ-3] 교육과정 자율 운영 모델	49
[그림 Ⅴ-1] 지역 단위 직업교육과정 운영 체제	104
[그림 Ⅴ-2] 통합교과 개발 모형	110
[그림 Ⅴ-3] 교육과정 자율 운영 모형	111
[그림 Ⅴ-4] 교육과정 및 교과 선택 신청서	115
[그림 Ⅴ-5] 현장실습 운영 형태 개발 모형	13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운영 방안 연구 1998.05.01~199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