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 시설·설비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Strategies for Efficient Operation of Experiment-Practice Facilities and Equipment
저자
강종훈 변숙영 이수경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1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연 구 요 약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의 내용 
    나. 연구의 방법 
    다. 조사 대상 및 내용 
    라. 자료의 분석 
 
II.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의 도입 배경 
   1. 외국의 직업교육과정의 운영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유럽 
    라. 시사점 
   2. 직업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 자율 운영 도입 
    가. 직업교육과정의 운영 방향 
    나.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의 필요성 
    다. 교육과정 자율 운영 관련 법규 및 제한점 
    라. 교육과정 자율 운영의 기본 전제 및 모형 
 
Ⅲ.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1. 시·도 교육청의 편성 운영 지침 분석 
    가. 편성·운영 지침의 일반적 특성 
    나. 직업교육과정 이수 모형의 종류 
    다. 전공 계열별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구성 
    라. 기준 학과 및 편제 
   2. 학교 직업교육과정의 분석 
    가. 분석 자료의 일반적 특성 
    나. 학교 교육목표 및 특색사업 
    다.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편제 
    라. 지역간, 지역내의 교과 편제 비교 
 
Ⅳ.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자율 운영에 대한 요구 
   1.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 운영 사례 
    가.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체제 및 특징 
    나. 교육청 지원 관련 사항 
   2. 교육과정 자율 운영에 대한 요구 
    가. 학교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요구 
    나. 학교 경영목표와 선호하는 교육과정 운영 모형 
    다.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반에 대한 요구 
    라.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요구 
    마. 교육과정 자율 운영 요구에 대한 시사점 
 
Ⅴ.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 방안 
   1. 교육과정 자율 운영 체제 
   2. 수평적 통합교육과정 
    가. 수평적 통합교육과정의 개념 
    나. 교과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운영 방안 
    다. 단일 학교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운영 방안 
    라. 지역 단위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운영 방안 
   3. 수직적 통합교육과정 
    가. 수직적 통합교육과정의 개념 
    나. 수직적 통합교육과정의 유형 
    다. 수직적 통합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4. 특성화 교육과정 
    가. 특성화 교육과정의 개념 및 유형 
    나. 특성화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5. 코스제 
   6. 현장실습 운영의 다양화 
 
Ⅵ.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방안 및 제 언 
   1. 행·재정적 지원 방안 
    가. 행정적 지원 
    나. 재정적 지원 
   2. 제 언 
    가. 직업교육체제 강화를 위한 정책적 건의 
    나.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학교용 설문지 
<부록 2> 면접조사지 
<부록 3>『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실험학교 운영』세부 계획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직업교육훈련 실험 ·실습 시설·설비 운영에 관한 실태와 직업교육훈련기관 현장의 요구를 분석하여, 직업교육훈련 실험·실습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설·설비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The prim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xperiment-practice facilities and equipments in selecte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nd to provide the effective operational strategies for them. For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 concept of experiment-practice facilities and equipments and related laws and ordinances wer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operating experiment-practice facilities and equipments were investigated from the total of 12 selected technical high schools, junior colleges and polytechnic college, and finally the effective operating strategies and improvement plans were provided.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field interview, and experts meeting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
<표 Ⅰ- 1> 현장 면담 조사 내용	   8
<표 Ⅱ- 1> 기준 유형별 실험?실습 설비 기준 원칙의 평가 	  21
<표 Ⅱ- 2> 학교 시설?설비 기준 개정 연혁	  27
<표 Ⅱ- 3> 전문대학 시설?설비 관련 법령의 변천	  30
<표 Ⅲ- 1> 공고 A정밀기계과 실험?실습 교과목	  38
<표 Ⅲ- 2> 공고 A정밀기계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40
<표 Ⅲ- 3> 공고 B기계과 실험?실습 교과목	  42
<표 Ⅲ- 4> 공고 B기계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45
<표 Ⅲ- 5> 기능대학 A생산기계기술학과 실험?실습 교과목	  47
<표 Ⅲ- 6> 기능대학 A생산기계기술학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50
<표 Ⅲ- 7> 전문대 A기계과 실험?실습 교과목	  51
<표 Ⅲ- 8> 전문대 A기계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53
<표 Ⅲ- 9> 상고 A정보처리과 실험?실습 교과목	  54
<표 Ⅲ-10> 상고 A정보처리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55
<표 Ⅲ-11> 상고 B정보처리과 실험?실습 교과목	  57
<표 Ⅲ-12> 상고 B정보처리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58
<표 Ⅲ-13> 전문대 A전산정보처리과 실험?실습 교과목	  60
<표 Ⅲ-14> 전문대 A전산정보처리과 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66
<표 Ⅲ-15> 농고 A원예과 실험?실습 교과목	  68
<표 Ⅲ-16> 농고 A원예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71
<표 Ⅲ-17> 전문대 A원예과 실험?실습 교과목	  73
<표 Ⅲ-18> 전문대 A원예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76
<표 Ⅲ-19> 실고 A의상과 실험?실습 교과목	  77
<표 Ⅲ-20> 실고 A의상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79
<표 Ⅲ-21> 전문대 A의상과 실험?실습 교과목	  82
<표 Ⅲ-22> 전문대 A의상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89
<표 Ⅲ-23> 실고 A동력기계과 실험?실습 교과목	  91
<표 Ⅲ-24> 실고 A동력기계과 실험?실습 시설?설비 개선 요구	  92
 
[그림 Ⅰ-1] 연구의 접근 절차	 10
[그림 Ⅱ-1] 학교 시설의 분류	 17
[그림 Ⅱ-2] 학교 시설 설비법의 구성 요소	 2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 시설·설비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1998.05.01~199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