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훈련 현장실습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Strategies for Effective Operation of Work-Based Practices
- 저자
- 강종훈 김영상 정향진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8-2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8.12.31
- 등록일
- 1998.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과 절차 4. 연구의 제한점 II. 현장실습의 개념 및 외국의 운영 사례 1. 산학협동의 개념 2. 현장실습의 개념 3. 외국의 운영사례 Ⅲ. 직업교육의 발전 방향과 현장실습의 문제점 1. 직업 교육의 실상과 방향 2. 현장실습의 법적 근거 3.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현장 실습의 문제점 Ⅳ. 현장실습의 실태 및 요구 분석 1. 실업계 고등학교 2. 전문대학 3. 산업체 V. 현장실습의 효율적 운영 방안 1. 현장실습 목적의 다양화 2. 현장실습 운영 계획 수립의 내실화 방안 3. 현장실습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체계화 4. 현장실습 평가의 현실화 5. 현장실습 지원 체제 구축 Ⅵ. 제 언 1. 현장실습에 대한 학교 재량권의 과감한 행사 2. 목표 유형별 프로그램 실시 3. 현장실습 내용의 사전 공동 개발 4. 현장실습장의 다양화 5. 현장실습 운영 방법의 다양화 6. 평가 방법의 다양화 및 구체화 7. 행·재정 네트워크에 의한 체계적 관리 지원 8. 통합 전산 관리 시스템의 구축 참고 문헌 ABSTRACT 부 록
본 연구는 현재의 현장실습 운영의 구조적 취약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효율적인 현장실습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실습에 관련된 제 이론 및 관련 법을 검토한다. 둘째, 현장실습 운영에 관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조사·분석한다. 셋째,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실습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진단한다. 넷째, 진단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현장실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본적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work-based experience in technical high school and junior college education in Korea, and to provide the effective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mprehensive problems in management work-based experience. To accomplish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 current problems of management in work-based experience and concepts of work-based experience, management cases of foreign work-based experience, etc. were reviewed through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the legal regulations were also reviewed to get implications for designing the strategi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work-based experience. Furthermore, the survey and interview method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problems and the needs in work-based experience from selected sample of students who had received or had been receiving and work-based experiences, teaching staffs who were in charge of management of work-based experiences in technic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and industrial firms' staffs. ...
<표 Ⅰ- 1> 실업계 고등학교의 표집과 회수율 8 <표 Ⅰ- 2> 전문대학의 표집과 회수율 8 <표 Ⅰ- 3> 산업체 표집 및 회수율 9 <표 Ⅰ- 4> 조사 대상별 설문내용 10 <표 Ⅱ- 1> 조직 특성별 산학협동의 내용 23 <표 Ⅱ- 2> 활동 특성별 산학협동의 내용 24 <표 Ⅱ- 3> 산학협동 참여자들의 책임과 이점 28 <표 Ⅱ- 4> 현장실습의 업무 흐름 37 <표 Ⅱ- 5> 완전한 이원화 모형 39 <표 Ⅱ- 6> 위탁 교육장 활용형 이원화 모형 40 <표 Ⅱ- 7> 직업훈련 기관 활용형 이원화 모형 40 <표 Ⅱ- 8> 5년제 샌드위치 제도 43 <표 Ⅱ- 9> 4년제 샌드위치 제도 44 <표 Ⅱ-10> 3년제 샌드위치 제도 44 <표 Ⅱ-11> 2년제 샌드위치 제도 45 <표 Ⅱ-12> 일 중심 학습의 유형 46 <표 Ⅱ-13> Tech prep 프로그램 이수자의 진로 54 <표 Ⅱ-14> 기업의 인턴 제도 참여 동기 55 <표 Ⅲ- 1> 실업계 고등학교 학교, 학급, 학생 수 현황 66 <표 Ⅲ- 2>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 추이 67 <표 Ⅲ- 3>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기술 자격 취득 현황 70 <표 Ⅲ- 4> 실업계 고교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 현황 71 <표 Ⅲ- 5> 연도별 전문대학 모집인원, 지원자수, 지원률 73 <표 Ⅲ- 6>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졸업생의 취업률 74 <표 Ⅲ- 7>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대학, 4년제 대학 졸업생의 전공 분야 진로 현황 75 <표 Ⅲ- 8> 전문대학 예산 현황 77 <표 Ⅲ- 9> 직업교육훈련촉진법 시행령상의 현장실습 이수 기간 83 <표 Ⅳ- 1> 현장실습 운영 조직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04 <표 Ⅳ- 2> 현장실습의 목표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05 <표 Ⅳ- 3> 현장실습산업체 선정 및 파견 기준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06 <표 Ⅳ- 4> 현장실습 파견 사전 준비에 실고 교사의 응답 107 <표 Ⅳ- 5> 현장실습산업체 소재지 제한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08 <표 Ⅳ- 6> 현장실습 기간 및 분할 실습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09 <표 Ⅳ- 7> 학생의 현장실습 적응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12 <표 Ⅳ- 8> 순회 지도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14 <표 Ⅳ- 9> 현장실습 평가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16 <표 Ⅳ-10> 현장실습 수당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17 <표 Ⅳ-11> 현장실습의 경력 인정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18 <표 Ⅳ-12> 응답 학교의 현장실습생 수 현황 118 <표 Ⅳ-13> 학교내 현장학습에 대한 실고 교사의 응답 119 <표 Ⅳ-14> 현장실습의 목표에 대한 실고 학생의 응답 120 <표 Ⅳ-15> 숙식 형태에 대한 실고학생의 응답 121 <표 Ⅳ-16> 산업체에서의 현장실습 운영에 대한 실고 학생의 응답 123 <표 Ⅳ-17> 현장실습 기간 및 분할 실습에 대한 실고 학생의 응답 125 <표 Ⅳ-18> 학교내 현장학습에 대한 실고 학생의 응답 126 <표 Ⅳ-19> 현장실습 운영 조직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28 <표 Ⅳ-20> 현장실습의 목표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29 <표 Ⅳ-21> 현장실습산업체 소재지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30 <표 Ⅳ-22> 현장실습 파견 사전 준비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32 <표 Ⅳ-23> 현장실습산업체 소재지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33 <표 Ⅳ-24> 현장실습 기간 및 분할 실습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34 <표 Ⅳ-25> 학생의 현장실습 적응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35 <표 Ⅳ-26> 순회 지도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37 <표 Ⅳ-27> 현장실습 평가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39 <표 Ⅳ-28> 현장실습 수당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40 <표 Ⅳ-29> 현장실습의 경력 인정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40 <표 Ⅳ-30> 전문대의 현장실습생 수 현황 141 <표 Ⅳ-31> 학교내 현장학습에 대한 전문대 교수의 응답 142 <표 Ⅳ-32> 현장실습의 목표에 대한 전문대 학생의 응답 143 <표 Ⅳ-33> 숙식 형태에 대한 전문대 학생의 응답 144 <표 Ⅳ-34> 산업체에서의 현장실습 운영에 대한 전문대 학생의 응답 146 <표 Ⅳ-35> 현장실습 기간 및 분할 실습에 대한 전문대 학생의 응답 147 <표 Ⅳ-36> 학교내 현장학습에 대한 전문대 학생의 응답 148 <표 Ⅳ-37> 현장실습 운영 조직에 대한 산업체 담당자의 응답 150 <표 Ⅳ-38> 현장실습의 목표에 대한 산업체 담당자의 응답 151 <표 Ⅳ-39> 사전 준비에 대한 산업체 담당자의 응답 152 <표 Ⅳ-40> 현장실습에 대한 산업체 담당자의 응답 154 <표 Ⅳ-41> 현장실습의 분할 실시에 대한 산업체 담당자의 응답 155 <표 Ⅳ-42> 평가에 대한 산업체 담당자의 응답 157 <표 Ⅳ-43> 현장실습 결과의 보상과 활용에 대한 산업체 담당자의 응답 157 <표 Ⅴ- 1> 현장실습의 개념 분석 163 <표 Ⅴ- 2> 실업계 고등학교 현장실습 3단계 운영(안) 184 <표 Ⅴ- 3> 전문대학 현장실습 3단계 운영(안) 184 [그림 Ⅰ-1] 연구의 접근 절차 11 [그림 Ⅴ-1] 현장실습의 운영 체제 161 [그림 Ⅴ-2] 현장실습 운영 계획 수립 절차 169 [그림 Ⅴ-3]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모형 177 [그림 Ⅴ-4] 현장실습 운영을 위한 지원 체제 19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훈련 현장실습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 1998.05.01~199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