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디자인 교육의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esign Education
- 저자
- 이수경 정향진 변숙영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8-2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8.12.31
- 등록일
- 1998.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II. 국내외 디자인 교육의 이론적 고찰 1. 디자인의 개념 2. 디자인의 분류 3. 디자인 교육의 역할 4. 우리 나라 디자인 교육의 변천 5. 외국 디자인 교육의 변천 III. 디자인 교육의 현황 1. 학교 디자인 교육의 현황 2. 사설 교육기관의 디자인 교육 현황 3. 디자인 관련 산업체 현황 Ⅳ. 디자인 교육의 실태 및 요구 분석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교육과정 3. 교 원 4. 교재 및 시설·설비 5. 현장 실습 및 산학 협동 6. 취업 및 진학 7. 자격증 및 공모전 Ⅴ. 요약 및 제언 1. 요 약 2. 제 언 참고문헌 ABSTRACT 부 록
본 연구는 현재의 국내외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 배출을 위한 체계적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내 디자인 교육의 실태를 다각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디자인 교육의 현황에 관한 종합적이고 신뢰성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디자인 교육의 중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제반 인적 ·물적 자원 및 교육과정, 진로, 자격증 등에 대한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기초 자료에 근거하여 디자인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esign education regarding various personnel resources, physical resources, training courses, job careers and job certificates and (2)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mid to long-term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design education. To accomplish the stated objectives, this research resorted to utilizing and employing the following methods. First, both domestic and foreign design educat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Second, a mail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esign education institutions, teachers, students, job careers and certificates. Third, the study reviewed the operational issues of education institutes and industrial companies related to design education. Fourth, via a questionnaire survey the opinions and demands of teachers regarding training courses, training for teachers, training materials and equipment, job careers or advancement to higher education and certificates were identified. Lastly, the study sought out new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design education through a committee of experts. ...
<표 Ⅰ- 1> 현황 조사 현황 6 <표 Ⅰ- 2> 설문 조사 현황 7 <표 Ⅰ- 3> 디자인 교육 실태 조사 연구에 관한 설문 문항 분석표 8 <표 Ⅱ- 1> 디자인 전공 영역별 학과 분류 13 <표 Ⅱ- 2> 5, 6, 7차 미술 교육과정 비교 26 <표 Ⅱ- 3> 교육 요소의 시대별 변천사 39 <표 Ⅱ- 4> 파슨스디자인대학 (Parsons School of Design) 45 <표 Ⅱ- 5> 패션기술학교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46 <표 Ⅱ- 6> 아트센터디자인대학 (Art Center College of Design) 46 <표 Ⅱ- 7> 아트컬리지아카데미 (The Academy of Art College) 46 <표 Ⅱ- 8> 링글링예술?디자인학교 (Ringling School of Art & Design) 47 <표 Ⅱ- 9> 무사시노미술대학 47 <표 Ⅱ-10> CIS예술학교 (CIS College of Art) 48 <표 Ⅱ-11> 도쿄커뮤니케이션아트전문학교 (Tokyo Communication Art) 48 <표 Ⅱ-12> 플리머스대학 (University of Plymouth) 49 <표 Ⅱ-13> 노팅햄트렌트대학 (The Nottingham Trent University) 50 <표 Ⅱ-14> 델프트공과대학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50 <표 Ⅱ-15> 아인트호벤산업디자인아카데미 51 <표 Ⅲ- 1> 디자인학과 개설 학교수 (’98) 56 <표 Ⅲ- 2> 학교급별 디자인 학과수 (’98) 57 <표 Ⅲ- 3> 디자인학과의 전공별 분포 (’98) 59 <표 Ⅲ- 4> 학교급별 신설학과 현황 61 <표 Ⅲ- 5> 전공별 신설학과 현황 62 <표 Ⅲ- 6> 4년제 대학 디자인학과 단대별 분류 (’98) 63 <표 Ⅲ- 7> 4년제 대학 디자인학과 단대별 세부 분류 (’98) 65 <표 Ⅲ- 8>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관련 학과 계열별 분류 (’98) 66 <표 Ⅲ- 9> 디자인학과 교원의 학교급별, 전공별 분포 68 <표 Ⅲ-10>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학과 교원의 교사자격증 현황 69 <표 Ⅲ-11>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사자격증 세부 분류 70 <표 Ⅲ-12> 실업계 고등학교 기타 교사자격증 세부 분류 70 <표 Ⅲ-13>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디자인 관련 자격증 취득 현황 71 <표 Ⅲ-14>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전공별 교사 전공 현황 72 <표 Ⅲ-15> 학교급별 디자인 관련 교사의 산업체 실무 경력 74 <표 Ⅲ-16> 학교급별 디자인학과 재학생수 76 <표 Ⅲ-17> 학교급별 디자인학과 재학생의 남?녀 학생 비율 78 <표 Ⅲ-18> 전공별 디자인학과 재학생수 (’98) 80 <표 Ⅲ-19> 학교급별 디자인학과 재학생의 전공별 학생 분포 81 <표 Ⅲ-20> 학교급별, 전공별 디자인학과 재학생의 남?녀 학생 비율 84 <표 Ⅲ-21> 학년별 디자인학과 재학생수 88 <표 Ⅲ-22> 학교급별 디자인학과 졸업생수 90 <표 Ⅲ-23> 전공별 디자인학과 졸업생수 91 <표 Ⅲ-24> 신입생 출신학교 현황 (전문대, 대학) 91 <표 Ⅲ-25> 실업계 고등학교 출신 신입생의 고등학교 전공 현황 92 <표 Ⅲ-26> 학교급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취업 현황 94 <표 Ⅲ-27> 학교급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취업 분야 95 <표 Ⅲ-28> 전공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취업 현황 96 <표 Ⅲ-29> 전공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취업 분야 97 <표 Ⅲ-30> 학교급별 비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취업 현황 99 <표 Ⅲ-31> 전공별 비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취업 현황 99 <표 Ⅲ-32> 학교급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진학 현황 100 <표 Ⅲ-33> 학교급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진학 분야 101 <표 Ⅲ-34>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전공자의 전문대, 대학으로의 진학 현황 102 <표 Ⅲ-35> 전공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진학 현황 104 <표 Ⅲ-36> 전공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진학 분야 105 <표 Ⅲ-37> 학교급별 디자인 전공자의 자격증 취득 현황 107 <표 Ⅲ-38>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전공자의 자격증 취득 현황 107 <표 Ⅲ-39> 전공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자격증 취득 현황 108 <표 Ⅲ-40> 전공별 비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자격증 취득 현황 109 <표 Ⅲ-41> 디자인계 학원의 변화 추이 114 <표 Ⅲ-42> A 디자인 학원의 교육기간 및 교육과정 116 <표 Ⅲ-43> B 디자인 학원의 교육기간 및 교육과정 119 <표 Ⅲ-44> C 디자인 학원의 교육기간 및 교육과정 120 <표 Ⅲ-45> D 디자인 학원의 교육기간 및 교육과정 122 <표 Ⅲ-46> E 디자인 학원의 교육기간 및 교육과정 124 <표 Ⅳ- 1> 학교급별 분포 151 <표 Ⅳ- 2> 전공별 분포 152 <표 Ⅳ- 3> 학교급별 및 전공별 분포 152 <표 Ⅳ- 4> 학교 소재지별 분포 153 <표 Ⅳ- 5> 교원들의 교직경력 154 <표 Ⅳ- 6> 디자인학과 근무기간 154 <표 Ⅳ- 7> 교육과정 만족도 (학교급별) 155 <표 Ⅳ- 8> 교육과정 만족도 (전공별) 156 <표 Ⅳ- 9> 교육과정 불만족 이유 157 <표 Ⅳ-10> 학교급별 기초교육의 적절성 여부 157 <표 Ⅳ-11> 기초교육의 적절성 여부 (전공별) 158 <표 Ⅳ-12> 부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기초 교육 영역 (학교급별) 159 <표 Ⅳ-13> 부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기초 교육 영역 (전공별) 159 <표 Ⅳ-14> 비중을 두어 지도하는 영역 (학교급별) 160 <표 Ⅳ-15> 비중을 두어 지도하는 영역 (전공별) 161 <표 Ⅳ-16> 전공에 필요한 인접학문 (학교급별) 162 <표 Ⅳ-17> 전공에 필요한 인접학문 (전공별) 163 <표 Ⅳ-18> 전공과목 지도시 애로점 (학교급별) 164 <표 Ⅳ-19> 전공과목 지도시 애로점 (전공별) 165 <표 Ⅳ-20> 디자인 전공 교사연수 참여 여부 (학교급별) 166 <표 Ⅳ-21> 디자인 전공 교사 연수 참여 여부 (전공별) 166 <표 Ⅳ-22> 교사연수 희망 내용 (학교급별) 167 <표 Ⅳ-23> 교사연수 희망 내용 (전공별) 168 <표 Ⅳ-24> 실업계 교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사 선발시 필요 항목 169 <표 Ⅳ-25> 실업계 교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사 선발시 필요 항목 (전공별) 170 <표 Ⅳ-26> 교재내용 만족도 (학교급별) 171 <표 Ⅳ-27> 교재내용 만족도 (전공별) 171 <표 Ⅳ-28> 교재 불만족 이유 172 <표 Ⅳ-29> 전공별 교재 내용 불만족 이유 173 <표 Ⅳ-30> 시설설비 만족도 (학교급별) 174 <표 Ⅳ-31> 시설설비 만족도 (전공별) 174 <표 Ⅳ-32> 현장실습 실시 여부 (학교급별) 175 <표 Ⅳ-33> 현장실습 실시 여부 (전공별) 176 <표 Ⅳ-34> 현장실습 실시 성과 (학교급별) 176 <표 Ⅳ-35> 현장실습 실시 성과 (전공별) 177 <표 Ⅳ-36> 현장실습 운영 어려움 (학교급별) 178 <표 Ⅳ-37> 현장실습 운영 어려움 (전공별) 179 <표 Ⅳ-38> 산업체 요구 반영도 (학교급별) 179 <표 Ⅳ-39> 산업체 요구 반영도 (전공별) 180 <표 Ⅳ-40> 산업체 연계 필요 분야 (학교급별) 181 <표 Ⅳ-41> 산업체 연계 필요 분야 (전공별) 182 <표 Ⅳ-42> 디자인 전공자의 졸업 후 진로 유형 (학교급별) 183 <표 Ⅳ-43> 디자인 전공자의 졸업 후 진로 유형 (전공별) 184 <표 Ⅳ-44> 졸업생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직무수준 (학교급별) 185 <표 Ⅳ-45> 취업지도시 겪는 어려움 (학교급별) 186 <표 Ⅳ-46> 학생들의 자격증 취득에 관한 견해 (학교급별) 188 <표 Ⅳ-47> 학생들의 자격증 취득에 관한 견해 (전공별) 189 <표 Ⅳ-48> 자격 제도에 관한 견해 (학교급별) 189 <표 Ⅳ-49> 자격 제도에 관한 견해 (전공별) 190 <표 Ⅳ-50> 개설이 요구되는 자격증 종류 (학교급별) 191 <표 Ⅳ-51> 개설이 요구되는 자격증 종류 (전공별) 192 <표 Ⅳ-52> 학생들의 공모전 참가에 대한 견해 (학교급별) 193 <표 Ⅳ-53> 학생들의 공모전 참가에 대한 견해 (전공별) 194 <표 Ⅴ- 1> 학교급별 수준에 적합한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208 [그림 Ⅱ- 1] 총체적인 과정으로서의 디자인 12 [그림 Ⅲ- 1] 학교급별 전공 분포도 60 [그림 Ⅲ- 2] 4년제 대학 디자인 학과의 단대별 분류 (’98) 63 [그림 Ⅲ- 3]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관련 학과 계열별 분포 (’98) 66 [그림 Ⅲ- 4]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학과 교원의 교사자격증 현황 69 [그림 Ⅲ- 5]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전공 분포 73 [그림 Ⅲ- 6] 전공별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전공 분포 73 [그림 Ⅲ- 7] 학교급별 디자인학과 교원의 산업체 경험 현황 75 [그림 Ⅲ- 8] 학교급별 디자인학과 재학생의 남?녀 학생 비율 78 [그림 Ⅲ- 9] 전공별 디자인학과 재학생의 남?녀 학생 비율 80 [그림 Ⅲ-10] 학교급별 디자인학과 재학생의 전공별 학생 분포 82 [그림 Ⅲ-11] 학교급별, 전공별 디자인학과 재학생의 남?녀 학생 비율 85 [그림 Ⅲ-12] 디자인 전공자의 취업 분야 95 [그림 Ⅲ-13] 전공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취업 분야 98 [그림 Ⅲ-14] 학교급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진학 현황 101 [그림 Ⅲ-15] ’97년도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전공자의 진학 현황 103 [그림 Ⅲ-16] ’98년도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전공자의 진학 현황 103 [그림 Ⅲ-17] 전공별 정규 교육기관 디자인 전공자의 진학 분포 10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한국 디자인 교육의 실태 조사 연구 | 1998.05.01~199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