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실용영어 인증방안 연구(Ⅰ) : 실용영어 평가도구 모형 설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Certification Methods for Practical English with a Focus on Model Development
저자
조은상 신명훈 정태화 김수원 박동열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22-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 내용 	6
   3. 연구 방법	8

II. 실용영어 평가도구의 현황	15
   1. 의사 소통과 실용영어의 개념	17
   2. 미국의 실용영어 평가도구 및 운영 현황	31
   3. 영국의 실용영어 평가도구 운영 현황	56
   4. 일본의 실용영어 평가도구 운영 현황	97
   5. 한국의 실용영어 평가도구 운영 현황	119

III. 실용영어 평가도구 모형개발의 방향 	131
   1. 수행평가시 고려사항	133
   2. 각 영역별 문제의 모형	138

IV. 실용영어 인증 방안	183
  1. 외국의 실용영어 인증 현황	185
  2. 한국의 실용영어 인증 방안	206
  3. 실용영어 인증에 대한 제안	218

V. 결론 및 제언	223

참고문헌	229

ABSTRCT	237

부   록	239
  본 연구에서는 실용영어의 개념을 고찰하고 영국, 미국, 일본 및 국내의 실용영어 평가도구를 살펴보고, 실무자와 교육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용영어 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고, 이에 더하여 실용영어 평가 도구 모형개발의 방향과 인증 방안을 제시하였다.
  As a method to save foreign currency under IMF, it has been raised to replace imported English competency evaluation tools with a domestic evaluation tool. Currently, domestic researchers are engaged in developing practical English evaluation tools in order to replace TOEIC(The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developed by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
  Recognizing the fact that TOEIC does not evaluat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n real business, especially speaking ability, researchers examined a variety of English evaluation tools, carried out a need analysis and model development for practical English, in addition to studying how to certify English evaluation tools. According to the need analysis for 900 practitioners in business and industry, a new focus on evaluation should be placed on writing and speaking, as well as listening and reading which has been emphasized by the predominant tool in Korean market.
...
<표 Ⅰ- 1- 1> 설문 조사의 내용(교육담당자)	10
<표 Ⅰ- 1 -2> 설문 조사의 내용(실무자/교육생)	12
<표 Ⅱ- 1- 1> TOEIC의 구성 및 내용	33
<표 Ⅱ- 2- 1> 개정 이전의 평가도구 내용	35
<표 Ⅱ- 2- 2> 개정 이후의 평가도구 내용 	35
<표 Ⅱ- 3- 1> 전반적인 이해력에 관한 채점	53
<표 Ⅱ- 3- 2> 발음에 관한 채점	54
<표 Ⅱ- 3- 3> 유창성에 관한 채점	54
<표 Ⅱ- 3- 4> 문법에 관한 채점	54
<표 Ⅱ- 3- 5> TSE 평가 결과	55
<표 Ⅱ- 3- 6> CPE의 점수 기준	70
<표 Ⅱ- 3- 7> IELTS의 성적결과 보고표	86
<표 Ⅱ- 4- 1> 연도별 응시현황	99
<표 Ⅱ- 4- 2> ’97년 영검 응시현황	99
<표 Ⅱ- 4- 3> 일본영검의 심사기준	100
<표 Ⅱ- 4- 4> 일본영검의 시험내용	101
<표 Ⅱ- 4- 6> 공업영어검정의 급별 정도 및 내용	107
<표 Ⅱ- 4- 7> 통역안내업 시험의 절차, 방법 및 내용	109
<표 Ⅱ- 4- 8> 문제의 구성	114
<표 Ⅱ- 4- 9> BEST의 평가기준	115
<표 Ⅱ- 4-10> ‘96년도 상업영검 실적	116
<표 Ⅱ- 4-11> 상업영검의 시험과목. 제한시간, 정도	117
<표 Ⅱ- 5- 1> 서울대학교 영어능력검정시험(TEPS) 검정기준표	120
<표 Ⅱ- 5- 2> TEPS 운영 관련 기관의 역할 분담	122
<표 III- 1- 1> 역할 카드 예시	158
<표 III- 1- 2> 대화를 통한 상호 정보 교환 활동(Information-Gap Activity) 채점 기준표 (통합적)	160
<표 III- 1- 3> 구두보고 자기 평가표 예시	161
<표 III- 1- 4> 분석적 채점 기준표 (말하기 평가의 경우)	162
<표 III- 1- 5> 통합적 채점 기준표 (말하기 평가의 경우)	164
<표 IV- 1- 1> 국가언어표준(National Language Standard) - 듣기 	194
<표 IV- 1- 2> 국가언어표준(National Language Standard) - 말하기	195
<표 IV- 1- 3> 국가언어표준(National Language Standard) - 읽기 	196
<표 IV- 1- 4> 국가언어표준(National Language Standard) - 쓰기 	197
<표 IV- 1- 5> 국가직업자격(NVQs)/일반국가직업자격(GNVQs)과 국가  언어표준(NLS)간의 비교	198
<표 IV- 1- 6> 학위, 직업자격 그리고 국가언어표준(NLS)간의 관계	199
<표 IV- 1- 7> EDexcel의 자격, GNVQs, NVQs, 실용영어능력간의 관계	200
<표 IV- 1- 8> 일본 문부성의 언어관련 기능심사인정제도의 운영 현황      	203
<표 IV- 1- 9> 한국의 국가공인 민간자격과 실용영어 인정기준간의 비교	204

[그림 Ⅱ- 1] 실용영어능력의 개념	30
[그림 Ⅱ- 2] BEC와 Cambridge 수준과의 관계	77
[그림 Ⅱ- 3] 등급별 기본구도(Framework of Levels)	82
[그림 Ⅱ- 4] IELTS시험의 구성과 진행	85
[그림 IV- 1] LCCI Examinations Board 실용영어자격과 다른 자격 및 학위와의 연계 형태	20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실용영어 인증 방안 연구 1998.05.01~199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