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민 직업의식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방안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Job Consciousness for Koreans
저자
최지희 권진희 이양구 이영대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2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연구요약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내용	2
	3. 연구방법 및 절차	5

II. 직업의식의 전통적 요소와 사회환경의 변화	9
	1. 직업의식의 전통적 요소	9
	2. 환경의 변화와 가치관의 변화	19
	3. 환경변화의 시사점	39

III. 한국인의 가치관과 직업의식	41
	1. 현대사회에서 직업배분의 원칙의 변화	41
	2.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직업의식 실태	42
	3. 직업의식조사의 시사점	59

IV. 직업의식 교양 프로그램의 실태	61
	1. 청소년 대상 교양교육 프로그램	61
	2. 여성대상 교양교육프로그램 	73
	3. 직장인 대상 교양프로그램	78
	4. 교양프로그램 실태의 시사점 	95

V. 직업의식 함양 프로그램 개발방안 	97
	1. 직업의식 함양 교양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본 원칙과 방향	98
	2. 청소년을 위한 직업의식 함양 프로그램 개발방안	109
	3. 중고령자를 위한 직업의식 함양 프로그램 개발방안	135
	4. 여성을 위한 직업의식 함양 프로그램 개발방안	147
 
VI. 결론 및 제언 	161
	1. 결론	161
	2. 제언	162

참고문헌	165
영문초록	171
부 록	175
  본 연구는 우리 나라 국민의 직업의식의 특징과 문제점을 고찰하고, 사회적 변화 및 의식변화에 맞춰 우리의 직업의식을 어떻게 하면 전통적 가치관과 조화시키면서 올바른 직업의식을 고취시킬 것인가를 연구함으로서 주요 집단별 직업의식 함양 교양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guidance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job consciousness in Korea. In today's world of work which is a lot more advanced and complicated than that of 10 years ago, having the right attitude for work is not only important for one's own success in his career, but has a great impact on the productivity of the workplace. Both people at academia and in industry agree that having the right attitude is the key to the success at the workplace. But, unfortunately, people arrive at work totally unprepared not only in skills but also in attitudes.  So, how do we accomplish preparing people with right tools?
...
<표 II-1> ‘근대인’ 또는 ‘공업인’의 대표적인 특성 	11
<표 II-2> 여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도	21
<표 II-3> 도시가구 가구당 여가 활용비 지출증가추이	21
<표 II-4> 국민평균연령의 증가	24
<표 II-5> 연령별 인구구성비 비교	25
<표 II-6> 인구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5
<표 II-7>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27
<표 II-8> 여성 취업자수의 혼인상태별 구성변화	27
<표 II-9> 여성 전문?관리직 종사자 비율 증가	28
<표 II-10> 여성취업에 대한 시각변화 	29
<표 II-11> 연령별 남아선호사상 비교	30
<표 II-12> 연령별 바람직한 부모유형에 관한 의식 비교 I	31
<표 II-13> 연령별 바람직한 부모유형에 관한 의식 비교 II	32
<표 II-14> 1인당 소득증가	32
<표 II-15> 월 소득계층별 가구분포	33
<표 II-16> 연령계층별 국민 평균 교육 년수	34
<표 II-17> 연도별 졸업생의 진학률 추이	35
<표 II-18> 산업별 취업자 분포 변화	36
<표 II-19> 직업별 취업자분포 변화	37
<표 III-1> 국민의 전통적 가치관과 관련된 직업관	44
<표 III-2> 국민의 일의 가치에 대한 인식	48
<표 III-3> 일에 대한 태도	50
<표 III-4> 직무에 대한 헌신도 	51
<표 III-5> 직장에 대한 헌신도	52
<표 III-6> 직업선택에 관한 태도	53
<표 III-7> 진로에 대해 생각해본 시기	54
<표 III-8> 진로 및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친 사람들	55
<표 III-9>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55
<표 III-10> 직업 선택에 중요한 요인	56
<표 III-11> 직장승진의 장애요인	57
<표 III-12> 여성 취업에 대한 태도 I	57
<표 III-13> 여성취업에 관한 태도 II	58
<표 III-14> 여가활용방법	59
<표 IV-1> 1996년 현재 청소년 대상 직업의식 프로그램(내용별)	62
<표 IV-2> 청소년 직업준비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기관별)	63
<표 IV-3> 대구광역시 청소년 종합상담실 프로그램	67
<표 IV-4> 대구 청소년상담실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내용	69
<표 IV-5> 충북여성회관 프로그램	76
<표 IV-6> 산업체 프로그램의 종류	81
<표 IV-7> 계층별 프로그램의 종류	85
<표 IV-8> 과제별 프로그램의 종류	89
<표 IV-9> 특강프로그램의 종류 (정신 및 소양)	94
<표 V-1> 미국 노동부가 제시한 기초직업능력의 내용	98
<표 V-2> 산업계와 교육자가 파악한 정의적 직업능력의 예	100
<표 V-3> 통계청의 연령집단 분류표	106
<표 V-4> 국민의 전통적 가치관과 관련된 직업관 (성별, 연령별)	111
<표 V-5> 국민의 일의 가치에 대한 인식 (성별, 연령별)	112
<표 V-6> 직무에 대한 헌신도 (성별, 연령별)	113
<표 V-7> 직무만족도 (성별, 연령별)	114
<표 V-8> 직업선택에 관한 태도 (성별, 연령별)	115
<표 V-9> 진로에 대해 생각해본 시기 (성별, 연령별)	116
<표 V-10>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 행위자 (성별, 연령별)	117
<표 V-11> 직업결정의 요소들 (성별, 연령별)	11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민 직업의식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 1998.05.01~199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