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진로유형에 따른 진로교육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 Career Education Model Based on Korean
- 저자
- 이지연 진미석 정윤경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8-2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8.12.31
- 등록일
- 1998.12.31
연구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가. 연구내용 3 나. 연구방법 4 3. 용어의 정의 4 가. 진로유형(Career Pattern)의 개념 4 나. 진로교육모형의 개념 5 4. 연구의 제한 5 II. 진로유형과 진로교육모형 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1. 진로유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가. 진로유형 관련 선행 연구 7 나. 진로선택 및 개발 이론 연구 10 다. 사회학습이론에 의한 진로경로와 진로교육의 함의 28 2. 진로교육모형개발 연구 34 가. 한국의 진로교육 현황 34 나. 진로교육모형 연구 41 다. 21세기 진로교육모형의 시사점 58 III. 한국인의 진로유형과 진로교육모형개발 60 1. 한국인의 진로 유형 60 가. 한국인의 진로경로 (Career Path) 67 나. 진로경로단계의 집단별특징 77 다. 진로경로단계와 진로교육의 시사점 105 라. 진로선택 · 수정 · 전환의 과정 113 2. 한국인의 진로유형에 따른 진로 교육 모형 128 가. 진로교육의 새로운 비젼 129 나. 진로교육의 목표와 교육내용 132 다. 실천 방안 135 라. 가정·학교·산업체·정부의 연계 137 IV. 요약 및 제언 139 1. 요약 139 2. 제언 143 참고문헌 144 ABSTRACT 14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진로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형식 · 비형식 교육에서 진로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새로운 비젼과 목표 및 내용을 설정하고, 그 실천을 위한 활용체제를 포함하는 진로 교육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Today's world of work is much different than yesterday's. Change and uncertainty is the norm. It is most likely that Korean will change their jobs more than 5 times in workplace. This idea suggests that Korean needs to simultaneously pursue career education and employment from birth to death. There is the question that "How ?", and "With what the direction career education should be ? ". The answer is to look at Korean's career pattern. From the conceptual framework of Korean's career pattern through general career path of school to work, and work and work transition stages, one important fact was discovered. To expect a path of formal education followed by one career in an establish discipline, and followed by retirement, is no longer realistic. Therefore, there is very strong need for developing a new Career Education Model based on Korean's career pattern. For this study, in-depth literature review regarding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theory, and committee meetings with persons in charge of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higher education level were utilized. In addition, recent data from the study on the Korean Vocational Consciousness were utilized to describe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each career patterns.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8.0 for windows. To describe the power of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iminant function, eigenvalue and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statistics were used to assess and describe the discriminating power of the discriminant function. ...
<표 II-1> 진로유형차트 8 <표 II-2> 생애관련 진로유형분류 시도 9 <표 II-3> 생애기간을 통한 발달과업의 순환 23 <표 II-4> ‘97년도 진로교육 연구?시범학교 운영 및 진로상담 교사 연수실적 37 <표 II-5> ‘97년도 진로의 날 운영 및 진로교육 자료 보급 현황 38 <표 II-6> 7차 교육과정에 반영된 진로교육 관련 내용 39 <표 II-7>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진로와 직업 교과〕의 목표 및 내용 체계 40 <표 II-8> 미국의 학교중심 진로교육모형의 개발 절차 47 <표 II-9> 미국의 고용중심 진로교육모형의 개발 절차 50 <표 II-10> 미국의 가정중심 진로교육모형의 개발 절차 51 <표 II-11> 미국의 SCAN보고서에 의한 능력 57 <표 III- 1> 학교급 연차별 진학률 69 <표 III- 2> 학력 연차별 취업률 74 <표 III- 3> 학교급별 학생들의 연차별, 시도별 탈락률 76 <표 III- 4> 장애인률 77 <표 III- 5> 한국인 진로교육모형개발을 위한 진로경로(Career Path)단계별 특징 파악을 위한 지표 78 <표 III- 6> 교육기회의 충족도 및 미충족이유 82 <표 III- 7> 학교교육의 효과 - 지식.기술습득 84 <표 III- 8> 학교교육의 효과 - 인격형성(덕) 85 <표 III- 9> 학교교육의 효과 - 국가관 및 사회관 정립 86 <표 III-10> 학교교육의 효과 - 생활?직업에 활용 87 <표 III-11>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88 <표 III-12> 상급학교진학 진로 유형 89 <표 III-13> 상급학교 진학 진로 선택 목적 90 <표 III-14> 전공선택 결정 - 결정한 사람 90 <표 III-15> 전공선택 결정 - 상담 상대 91 <표 III-16> 전공과 직업의 일치도 93 <표 III-17> 직업별 직업이동 96 <표 III-18> 교육참여자들의 교육이수일수 99 <표 III-19> 특수교육 현황 102 <표 III-20> 고령 취업자 비율 103 <표 III-21> 1995년 고령 취업자의 외국과 비교 104 <표 III-22> 한국인 진로경로를 통하여 살펴본 진로교육과정의 시사점 106 <표Ⅲ-23> 직업유무별 여성의 진로유형 113 <표Ⅲ-24> 직무만족도별 여성의 진로유형 114 <표Ⅲ-25> 일하기 원하는 연령별 여성의 진로유형 114 <표Ⅲ-26> 학력별 여성의 진로유형 115 <표Ⅲ-27> 연령대별 여성의 진로유형 115 <표Ⅲ-28> 혼인여부별 여성의 진로유형 116 <표Ⅲ-29> 직업군별 여성 진로유형 116 <표Ⅲ-30> 직업 유무별 남자진로유형 117 <표Ⅲ-31> 직무만족도별 남자 진로유형 118 <표Ⅲ-32> 일하기 원하는 연령별 남자진로유형 119 <표Ⅲ-33> 학력별 남자진로유형 119 <표Ⅲ-34> 연령대별 남자 진로유형 120 <표Ⅲ-35> 직업군별 남자진로유형 분포 120 <표Ⅲ-36> 남성의 진로유형 판별분석 요약 121 <표Ⅲ-37> 여성 진로유형에 대한 판별분석 요약 122 <표Ⅲ-38> 우리나라에 소개된 진로교육모형과 개발된 모형과의 비교 131 <표Ⅲ-39 > 형식과 비형식 교육의 진로개발교육 목표 133 〔그림 Ⅱ- 1〕 사회학습이론에 의한 진로선택 영향변인과 개발요소 19 〔그림 Ⅱ- 2〕 사회학습이론에서 본 Diane과 JY의 진로선택 경로 32 〔그림 Ⅱ- 3〕 진로교육의 개념구조모형(1985, 한국교육개발원) 42 〔그림 Ⅱ- 4〕 김충기의 진로교육모형(1985) 43 〔그림 Ⅱ- 5〕 평생진로교육모형(1997, 진로교육학회) 45 〔그림 III- 1〕 한국인 진로유형의 개념적 접근 62 〔그림 III- 2〕 여자의 진로유형 63 〔그림 III- 3〕 남자의 진로유형 64 〔그림 III- 4〕 한국인 생애기간동안에 교육/직업 활동의 진로경로 65 〔그림 III- 5〕 한국인 진로경로단계의 양적 측정 및 기타 가능한 진로경로 73 〔그림 III- 6〕 교육기회의 미충족 이유 79 〔그림 III- 7〕 학력별 직업선택 94 〔그림 III- 8〕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난 상황도 100 〔그림 III- 9〕 한국의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취학률 비교 101 〔그림 III-10〕한국인 진로선택?수정?전환의 모형 123 〔그림 III-11〕진로교육모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130 〔그림 III-12〕진로개발의 8가지 기초 능력 13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한국인 진로유형에 따른 진로교육모형 개발 연구 | 1998.05.01~199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