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Job Analysis for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s
- 저자
- 주인중 김종우 김덕기 나현미
- 분류정보
- 기본사업(1998-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8.12.31
- 등록일
- 1998.12.31
요 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가. 연구의 내용 2 나. 연구 방법 3 Ⅱ. 직무분석을 위한 직종분류 체계 및 직종선정 5 1. 직무분석을 위한 직종분류 체계 5 가. 국내·외 직업분류 체계 분석 5 나. 직무분석을 위한 직종분류 체계 11 2. 직무분석 대상 직종 선정 40 가. 직무분석 대상 직종 선정 근거 40 나. 직무분석 대상 직종 49 Ⅲ. 직무분석 지침서 51 1. 직무분석의 목적, 방법 및 절차 51 가. 직무분석의 목적 51 나. 직무분석 관련용어의 정의 51 다. 직무분석 방법 53 라. 직무분석 절차 56 2. 직무분석의 적용 및 작성 양식 57 가. 직무의 흐름도 57 나. 직업 명세서 58 다. 직무 명세서 72 라. 작업 명세서 80 3.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83 가. 직무 작업/ 교육 내용 Matrix 83 나. 직무 작업/ Cour se Matrix 84 다. Cour se Profile 작성 85 라. 교육훈련 Road Map 작성 87 참고문헌 88 ABSTRACT 92 부록 : 직무분석 작성 양식 95
본 연구의 목적은 아래와 같음. 1)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체계를 구안한다. 2)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종분류 체계를 구안한다. 3)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에서 요구되는 주요 분야의 직종을 선정한다. 4) 선정된 직종에 대한 직무를 분석한다. 5) 추출된 직무분석 자료를 토대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국가기술 및 민간 자격 검정, 교재 개발 등의 목적에 따라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design a job analysis system for ensuring a system of job classification and more systematic and standardized information data of job to develop the curriculum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to analyze 20 jobs in which the increase of manpower demand would be predicted. The content s of job analysis accomplished by this project could be utilized in upgrading and cultivating course which were run in education and training in stitutions for laid-offs and be used as the standards of education and training or authorization of certifi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project , theoretical background of job analysis and a system of job classifications were review through related literatures and experts in job analysis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methods utilized for job analysis were DACOM and Comparative Verification. ...
<표 Ⅱ- 1>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단계별 항목수 6 <표 Ⅱ- 2> 한국표준직업분류 예시 7 <표 Ⅱ- 3> DOT 분류체계 예시 9 <표 Ⅱ- 4> 직종분류체계와 학과 및 직업훈련기준과의 연관관계 13 <표 Ⅱ- 5>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종분류 체계 17 <표 Ⅱ- 6> 향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이 큰 직업(미국, 1996∼2006) 40 <표 Ⅱ- 7> 향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이 큰 직업(일본, 1985∼2000) 42 <표 Ⅱ- 8> 직업별 취업자수 및 구성비 전망 43 <표 Ⅱ- 9> 한국의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이 큰 직업(1995∼2010) 44 <표 Ⅱ- 10> 사무직 실업자 유망직업 45 <표 Ⅱ- 11> 여성 직업훈련 프로그램 개발 필요 직종 47 <표 Ⅲ- 1> 자동차 정비 의 책무, 작업, 작업요소 작성 예 51 <표 Ⅲ- 2> 직무분석의 절차 54 <표 Ⅲ- 3> 직업 명세서 56 <표 Ⅲ- 4> 직능수준 59 <표 Ⅲ- 5> 직무별 직업기초능력 67 <표 Ⅲ- 6> 직업기초능력 분석 설문지 68 <표 Ⅲ- 7> 직무 명세서 70 <표 Ⅲ- 8> 교육훈련 적용 방법의 기준 76 <표 Ⅲ- 9> 교육훈련 적용 방법 설문지 77 <표 Ⅲ- 10> 작업 명세서 78 <표 Ⅲ- 11> 직무 작업/ 교육 내용 Matrix 81 <표 Ⅲ- 12> 직무 작업/ Cour se Matrix 83 <표 Ⅲ- 13> Cour se Profile 84 <표 Ⅲ- 14> 교육훈련 Road Map 85 [그림 Ⅲ- 1] 직무, 책무, 작업의 관련성 50 [그림 Ⅲ- 2] 직무, 책무, 작업의 흐름도 55 [그림 Ⅲ- 3] 교육훈련 우선 순위 결정 도구 7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종별 직무분석 | 1998.05.01~199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