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 법인경영체 인력 실태 조사·연구
Analysis on Human Resources Status in Agricultural and Fishery Corporations
- 저자
- 주휘정 옥준필 유기웅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2-2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10.31
- 등록일
- 2013.01.21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선행연구 검토 5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농어업 법인경영체 현황 및 인력 문제 진단_23 제1절 농어업 법인경영체 관련 제도 및 정책 25 제2절 농어업 법인경영체 현황 35 제3절 농어업 법인경영체 인력 문제 진단 46 제3장 농어업 법인경영체 인력 및 교육·훈련 실태 정량적 분석_55 제1절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57 제2절 인력의 구성 및 운영 실태 분석 60 제3절 교육․훈련 실태 분석 69 제4절 인력 및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 분석 77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82 제4장 농어업 법인체 인력 및 교육·훈련 실태 정성적 분석_85 제1절 연구의 설계 및 조사 방법 87 제2절 도출된 개념 및 범주화 90 제3절 농어업 법인체 인력 구성 및 교육․훈련 과정 분석 93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24 제5장 연구 결과의 대조 및 상호보완적 해석_133 제1절 인력의 구성 및 운영 136 제2절 교육․훈련 참여 및 방법 138 제3절 인력 및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 140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42 제6장 농어업 법인경영체 인력 정책의 방향 및 제언_147 제1절 농어업 법인경영체 인력 정책의 방향 149 제2절 제언 160 SUMMARY_165 참고문헌_171 부 록_175 1. 농어업 법인체 설문지 177 2. 사례조사 설문지 182
본 연구는 세계 무역시장 개방화 시대를 맞아 경쟁력 있는 농어업 법인경영체의 핵심 자원인 인력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인 실태 자료를 확보하는 데 연구의 1차적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농어업 법인경영체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As opening agricultural, fishery and food market to the world after the EU-Korea, U.S.-Korea FTA agreement, it become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domestic capability to cope with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The more competitive a market is, the more demand of capital increases. Especially in the era of knowledge based economy society, human capital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orm of resources. Thus,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describe the exact status of human resources in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corporations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globally competitive agricultural and fishery corporations.
<표 1-1> 농어업 경영체 인력에 관한 선행연구 12 <표 2-1> 영농조합법인과 농업회사법인 비교 30 <표 2-2> 농업법인에 대한 세제지원 현황 33 <표 2-3> 2012년 농림수산식품부의 농업 인력 지원 정책 개요 34 <표 2-4> 설립 유형별 법인 현황 37 <표 2-5> 사업 유형별 법인 수 39 <표 2-6> 매출액 및 영업이익 규모별 법인 수 41 <표 2-7> 농업법인의 외국인 종사자 현황 44 <표 2-8> 농업법인에 대한 정부지원금 현황 45 <표 2-9> 연령별 농업종사자 분포 변화 50 <표 2-10> 영농승계자를 보유한 농가 수 변화 50 <표 2-11> 농업인 학습 참여 장애 요인 53 <표 3-1> 응답 법인의 설립 유형 58 <표 3-2> 설립 유형별 정규직 수 62 <표 3-3> 설립 유형별 일용직 수 63 <표 3-4> 설립 유형별 외국인 근로자 수 63 <표 3-5> 설립 유형별 학력 구성 64 <표 4-1> 조사 대상에 포함된 법인 현황(A-D) 88 <표 4-2> 조사 대상에 포함된 법인 현황(E-H) 89 <표 4-3> 조사 대상에 포함된 법인 현황(I-L) 89 <표 4-4> 도출된 개념 및 범주화 90 <표 5-1> 자료의 상호대조표 145 [그림 1-1] 선행연구에 나타난 농어업 인력 실태 조사의 범위 및 내용 11 [그림 1-2] 연구의 절차, 내용 및 방법 개요 18 [그림 1-3] 혼합연구의 조사 대상, 표본 추출, 조사 방법 21 [그림 2-1] 농어업 조직의 설립 형태에 따른 구분 27 [그림 2-2] 설립 유형별 법인 수 현황 37 [그림 2-3] 사업 유형별 법인 수 현황 38 [그림 2-4] 매출액 규모별 영농조합법인 현황 40 [그림 2-5] 매출액 규모별 농업회사법인 현황 40 [그림 2-6] 농업 법인의 종사자 규모별 분포 43 [그림 2-7] 법인당 정부보조금 현황 44 [그림 2-8] 법인당 정부융자금 현황 45 [그림 3-1] 응답 법인의 사업 유형 59 [그림 3-2] 응답 법인의 지역별 분포 59 [그림 3-3] 설립 유형별 인력 규모 61 [그림 3-4] 사업 유형별 인력 규모 61 [그림 3-5] 설립 유형별 정규직 채용경로 66 [그림 3-6] 사업 유형별 정규직 채용경로 66 [그림 3-7] 인력 규모별 정규직 채용경로 67 [그림 3-8] 설립 유형별 외국인 채용경로(영농조합) 68 [그림 3-9] 설립 유형별 외국인 채용경로(농업회사) 68 [그림 3-10] 사업 유형별 외국인 채용경로 69 [그림 3-11] 설립 유형별 교육․훈련 시간(영농조합) 70 [그림 3-12] 설립 유형별 교육․훈련 시간(농업회사) 70 [그림 3-13] 사업 유형별 교육․훈련 시간 71 [그림 3-14] 매출 규모별 교육․훈련 시간 72 [그림 3-15] 설립 유형별 교육․훈련 내용 차이 73 [그림 3-16] 사업 유형별 교육․훈련 내용 차이 74 [그림 3-17] 매출 규모별 교육․훈련 내용 차이 74 [그림 3-18] 설립 유형별 교육․훈련 비실시 이유(영농조합) 75 [그림 3-19] 설립 유형별 교육․훈련 비실시 이유(농업회사) 76 [그림 3-20] 사업 유형별 교육․훈련 비실시 이유 76 [그림 3-21] 설립 유형별 인력 부족 원인에 대한 인식 77 [그림 3-22] 사업 유형별 인력 부족 원인에 대한 인식 78 [그림 3-23] 지역별 인력 부족 원인에 대한 인식 79 [그림 3-24] 설립 유형별 인력 고용 지원에 대한 요구 80 [그림 3-25] 매출 규모별 인력 고용 지원에 대한 요구 80 [그림 3-26] 지역별 인력 고용지원에 대한 요구 81 [그림 3-27]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 사항 82 [그림 4-1] 농어업 법인경영체 직무 분야 및 업무 프로세스 94 [그림 4-2] E 법인의 이직률 개선 과정 106 [그림 4-3] D 법인의 교육․훈련 체계 108 [그림 6-1] 학습조직의 활성화를 통한 농어업 법인 경영체의 규모화․조직화 방향 15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농어업 법인경영체 인력 실태 조사·연구 | 2012.01.01~2012.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