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 개발

Training Program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저자
이남철
분류정보
기본사업(1999-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9.12.31
등록일
1999.12.31
Ⅰ. 서  론	1
   1.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	1
   2. 프로그램개발의 내용	4
   3. 프로그램개발의 방법 및 절차	6
   4. 프로그램개발 한계점	10

II. 직업교육훈련 교원 연수 현황 및 문제점	11
   1. 국내 직업교육훈련 연수	11
   2. 국제연수 프로그램	22

Ⅲ. 국제연수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 사례분석	25
   1. 한국국제협력단의 국제연수 프로그램	25
   2.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국제연수 프로그램	27
   3. 한국교육개발원의 국제연수 프로그램	30
   4. CPSC(Colombo Plan Staff College for Technical Education)연수 프로그램	33
   5. 국제연수 수요 조사지 분석 결과	38

Ⅳ. 직업교육훈련 국내연수 프로그램 모형(안) 개발	47
   1. 직업교육훈련과 경제발전	49
   2. 직업훈련과 노동시장	53
   3.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단계에 있어서 직업교육	61
   4. 직업교육훈련 교사 및 기능대학 교원연수 프로그램	80
   5.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87
   6. 실업계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단계에 있어서 자격제도	97
   7. 직업교육훈련 평가 분야 종사자를 위한 평가훈련	103
   8.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교원을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	115

Ⅴ.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모형(안) 개발	123
   1. 국제연수 프로그램의 유형 및 구성	124
   2. 국제연수 프로그램 모형(안) 개발	128
   A.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olicies in a Changing Economy	128
   B. Labor Market Analysis for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129
   C. Vocational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at Junior College Level	132
   D. Training Program for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Polytechnic College Professors	134
   E.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Competence of Vocational Education 	136
   F. Training Program for Qualification System	139
   G. Training Program for Evaluation : Methodology A Practitioner's Guide	141
   H. Training Program on Career Education for High School Teachers and Junior College Professors	143

Ⅵ. 제  언	147

참 고 문 헌	151

Abstract	153

별첨 1 : History & Mission	163

부  록
1. 수요조사 질문지	165
  직업교육훈련 국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은 국내 직업교육훈련 담당자들의 다양한 연수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의 내실화와 21세기 지식정보사회시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직업교육훈련 담당 교원들에게 평생학습 기회를 부여하여 삶의 질 향상과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이고 교원들에게 현장적합성 증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프로그램 개발은 개발도상국의 인적자원개발사업을 지원함으로써 연수 참가국의 발전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도모하고, 개발도상국 국가발전의 기초가 되는 직업교육훈련 발전전략 등의 기본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정책 방안을 지원한다. 우리 나라의 개발경험을 전수하고 우리 나라의 협력파트너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의 이해를 증진시켜 우리 나라는 물론 본원의 위상강화 및 역할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방향을 아·태 지역의 개발도상국을 중점적으로 연수를 실시할 목적으로 국제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is required to allow trainees to  develop vocational competence  not only to adapt to industrialization caused b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drastic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situation but also to become leaders in society.  As such,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is under transformation from the previous routine manpower training system to a multi-skilled or highly-skilled training system.  Such changes in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systems to meet the needs of the future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major tasks at the present time.
  Various elements need to be effectively integrated to implement such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olicies.  Such elements include the three classic elements of education, i. e., students, curriculum, and teachers, and they may be directly applied in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A successful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system always has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educators playing a large part.  To enhance the quality of present educators, their professionalism must be consistently enhanced through strict competence management activities including training and research programs.  Since it is incumbent upon all of us to develop a society of lifelong learning,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must be renovated.  High-quality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s are impossible of the past the simple routines or temporary systems.  The recognition of problems, along with answers to solve task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must accompany programs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educators.  Just like other fields of training, the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field requires more international co-operation than ever.  Advanced countries are increasing both the exchange of personnel and information. They exchange to improve thei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s, and are also making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systems more efficient by co-developing training programs and exchanging data.
...
<표Ⅰ- 1> 조사대상국가 및 수요조사지 회수 현황 9
<표Ⅱ- 1> 계열별 실업계 고등학교 연수기관 12
<표Ⅱ- 2> 중등교원의 연수 참여 현황( 98. 3- 99. 2) 13
<표Ⅱ- 3> 실업계 고등학교 교과목별 교원 재교육 현황 14
<표Ⅱ- 4> 중등 자격연수 교육과정 교과 편성 지침 15
<표Ⅱ- 5> 일반연수 교육과정 교과편성 (60시간 이상 기준) 지침 16
<표Ⅱ- 6> 1999년도 전문대학교원 연수 프로그램 20
<표Ⅲ- 1> 지역별 연수실적 26
<표Ⅲ- 2> 직업교육훈련과 관련된 연수 프로그램 27
<표Ⅲ- 3> 훈련과정 및 훈련직종 28
<표Ⅲ- 4> 개발도상국 기술연수생 훈련 실적 29
<표Ⅲ- 5> 국제연수 실적 30
<표Ⅲ- 6> 한국교육개발원 국제연수 프로그램(1992- 1996년) 31
<표Ⅲ- 7> CPSC 연수프로그램(1998- 1999) 35
<표Ⅲ- 8> 국가별 프로그램 37
<표Ⅲ- 9>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분야별 참여 회수 38
<표Ⅲ- 10> 1990년 이래 국제 직업교육훈련에 참가한 프로그램 39
<표Ⅲ- 11> 1990년 이래 국제 직업교육훈련을 제공한 기관 39
<표Ⅲ- 12> 1990년 이래 국제직업교육훈련을 제공한 국가 40
<표Ⅲ- 13> 1990년 이래 국제 직업교육훈련에 참가한 연도 40
<표Ⅲ- 14> 국제 직업교육훈련에 필요한 자금지원 41
<표Ⅲ- 15> 향후 5년내 참가 예정인 국제직업교육훈련 41
<표Ⅲ- 16> 주최 국가별 향후 5년내 국제 직업교육훈련 41
<표Ⅲ- 17> 향후 5년내 국제 직업교육훈련 훈련기간 42
<표Ⅲ- 18>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별 대상 그룹 42
<표Ⅲ- 19> 훈련 프로그램별 훈련기간 43
<표Ⅲ- 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프로그램을 주최할 경우 프로그램 참가 우선 순위 44
<표Ⅲ- 21>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주최할 경우 국제연수에 참가의사 여부 44
<표Ⅲ- 22> 국제연수에 참가하지 못하는 이유 45
<표Ⅲ- 23> 수요조사 응답자 유형 45

<그림Ⅳ- 1> 연수 체계도 104
<그림Ⅳ- 2> 평가의 대분류 105
<그림Ⅴ-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국제연수 프로그램 종류 125
<그림Ⅴ- 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국제연수 프로그램 운영과정 12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 개발 1999.02.01~199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