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1년3학기제 운영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One-Year Trimester School System in Acknowledged Schools for Social Education
저자
박태준 정향진 이재경
분류정보
기본연구(1999-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9.09.30
등록일
1999.09.30
연구 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방법	4

Ⅱ.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배경 및 현황	9
   1.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역사	9
   2.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사회교육적 의미	13
   3.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현황	22
   4.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문제점	32
   5. 요약 및 시사점	34

Ⅲ.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1년3학기제의 의의	37
   1.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1년3학기제의 정의	37
   2.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1년3학기제의 법적 검토	39
   3. 요약 및 시사점	42


Ⅳ. 실험학교 운영 사례	45
   1. 신성여자중학교 사례	45
   2. 경일경영정보고등학교 사례	48
   3. 목포제일정보중·고등학교 사례	51
   4. 요약 및 시사점	54

Ⅴ. 1년3학기제에 대한 요구	57
   1. 사회교육시설의 목적	57
   2. 1년3학기제 시행	59
   3. 1년3학기제 교육과정	67
   4. 요약 및 시사점	82

Ⅵ. 1년3학기제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안	85
   1. 1년3학기제 교육과정 개발의 개관	85
   2. 1년3학기제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104

Ⅶ. 1년3학기제 운영 지원 방안	117

참고문헌 	121

ABSTRACT 	123

부 록 	127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1년3학기제 운영 방안을 구안하여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에 1년3학기제를 확대 실시하는데 필요한 교육과정 및 운영지침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1년3학기제 의미 및 법적 근거를 살펴봄으로써 1년3학기제 실시의 배경을 밝히고 1년3학기제 실시의 당위성을 밝힌다. 
  둘째,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1년3학기제에 대한 구성원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1년3학기제 교육과정 편성에 필요한 요소들을 점검하고 교육과정 시안을 마련한다.
  셋째, 1년3학기제 운영에 필요한 제반 사항을 점검하여 1년3학기제 실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추출하고 그에 대한 대비 방안을 강구하여 제시한다.
  Since students at a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 would have not received formal school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y could be so short of basic learning skills that they might not complete academic programs based on those of regular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large experience and varied occupational careers so that they might not need develop further on those areas. Moreover, since what they need most i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hich are pertinent to their own jobs, designing and managing school programs should be appropriate to individual students' condit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appropriate curriculum for a trimester school system that could be utilized at acknowledged schools for social education, to design a management model for a trimester school system, and finally, to premeditate difficulties which might be accompanied with a trimester school system and to prepare necessary preventive measures on them.    
...
<표Ⅰ-1> 설문지 배부 및 회수 현황	6
<표Ⅱ-1>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역사적 변천	12
<표Ⅱ-2> 사회교육의 개념	14
<표Ⅱ-3> 전국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분포현황	22
<표Ⅱ-4> 전국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학생구성현황	23
<표Ⅱ-5> 전국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학생연령분포	24
<표Ⅱ-6> 학교생활에 흥미여부	25
<표Ⅱ-7> 전국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교사현황	26
<표Ⅱ-8> 교사들의 만족도	27
<표Ⅱ-9> 학생들의 학습동기 수준	28
<표Ⅱ-10> 학생들의 기초학력수준	29
<표Ⅱ-11> 학생들의 수업태도 	30
<표Ⅱ-12> 현재의 수업수준에 대한 학생의견	31
<표Ⅱ-13> 학력인정사회교육시설의 문제점	32
<표Ⅳ-1> 신성여자 중학교의 학급편성	46
<표Ⅴ-1>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목표	58
<표Ⅴ-2> 1년3학기제에 대한 찬반의견	59
<표Ⅴ-3> 1년3학기제의 장점 	61
<표Ⅴ-4> 1년3학기제의 단점	62
<표Ⅴ-5> 1년3학기제도입시 시급한 과제	63
<표Ⅴ-6> 1년3학기제 운영방식	64
<표Ⅴ-7> 학기별 수업일수	65
<표Ⅴ-8> 학기별 방학일수	66
<표Ⅴ-9> 교과의 성격-중학교	67
<표Ⅴ-10> 교과의 성격-고등학교 	68
<표Ⅴ-11> 교과목수	69
<표Ⅴ-12> 필요한 과목 우선순위	70
<표Ⅴ-13> 불필요한 과목 우선순위	71
<표Ⅴ-14> 학생들이 배우고 싶어하는 과목	72
<표Ⅴ-15> 교과수준	73
<표Ⅴ-16> 정보화교과 포함여부-중학교	73
<표Ⅴ-17> 정보화교과 포함여부-고등학교	74
<표Ⅴ-18> 선택교과 활용분야	75
<표Ⅴ-19> 선택교과 필요성	76
<표Ⅴ-20> 선택교과 시간 비율	77
<표Ⅴ-21> 필수과목과 선택과목 시간비율	78
<표Ⅴ-22> 특별활동시간	78
<표Ⅴ-23> 재량활동시간	79
<표Ⅴ-24> 총 수업시수	80
<표Ⅴ-25> 총 이수단위-주간	80
<표Ⅴ-26> 총 이수단위-야간	81
<표Ⅴ-27> 자유세미나 시간	82
<표Ⅵ-1> 구성주의와 객관주의 인식론의 비교	90
<표Ⅵ-2>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역할 분담 체제	98
<표Ⅵ-3> 1년3학기제 중학교 교육과정 (시안)	107
<표Ⅵ-4> 1년3학기제 고등학교 <공통 필수> 교육과정 (시안)	110
<표Ⅵ-5> 연간 수업 및 방학 일(주)수-중학교	112
<표Ⅵ-6> 연간 수업 및 방학 일(주)수-고등학교	113

[그림Ⅱ-1] 교육제도내의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위치	9
[그림Ⅱ-2] 교사들의 만족도	27
[그림Ⅱ-3] 학생들의 수업태도	30
[그림Ⅱ-4]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문제점	33
[그림Ⅲ-1]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1년3학기제의 의미	39
[그림Ⅴ-1]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목표-중학교	58
[그림Ⅴ-2]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의 목표-고등학교	58
[그림Ⅴ-3] 1년3학기제에 대한 찬반의견-교사	60
[그림Ⅴ-4] 1년3학기제에 대한 찬반의견-학생	60
[그림Ⅴ-5] 1년3학기제 도입시 시급한 문제	63
[그림Ⅴ-6] 학기별 수업 일수	65
[그림Ⅴ-7] 학기별 방학 일수	66
[그림Ⅴ-8] 선택교과 활용분야-학생	75
[그림Ⅴ-9] 선택교과 활용분야-교사	76
[그림Ⅴ-10] 총 이수단위	81
[그림Ⅵ-1] 1년3학기제 교육과정의 구성도	85
[그림Ⅵ-2] 1년3학기제 교육과정의 관련 요소	86
[그림Ⅵ-3]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 구성주의적 학습	9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학력인정사회 교육시설 1년3학기제 운영방안 연구 1999.02.01~1999.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