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자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방안
Specialization of Training Curricula in Each Type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for the Unemployed
- 저자
- 주인중 오영훈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9-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9.12.31
- 등록일
- 1999.12.31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3 3. 연구의 제한점 4 II. 실업자 직업훈련 실태 및 문제점 7 1.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1998년 까지의 교육훈련과정 7 2. 실업자 직업훈련 실태 17 3.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특성 22 4. 실업자 직업훈련 실시상의 문제점 31 III.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분야별 실업자 직업훈련 과정의 실적분석 35 1.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준거 35 2.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분야별 실업자 직업훈련과정의 실적분석 41 가. 농림 · 어업 · 광업분야 41 나. 섬유분야 42 다. 화학제품 및 요업 분야 45 라. 금속분야 46 마. 기계 · 장비분야 48 바. 건설분야 51 사. 전기분야 53 아. 전자분야 55 자. 정보 · 통신분야 58 차. 운송장비제조분야 60 카. 산업응용분야 61 타. 공예분야 63 파. 서비스분야 66 하. 사무관리분야 68 거. 금융 · 보험분야 71 너. 의료분야 73 더. 환경분야 74 IV. 훈련기관 유형별 실업자 훈련과정의 특성화 방안 77 1. 농림 · 어업 · 광업분야 77 2 섬유분야 78 3.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79 4. 금속분야 79 5. 기계 · 장비분야 80 6. 건설분야 82 7. 전기분야 82 8. 전자분야 83 9. 정보 · 통신분야 84 10. 운송장비제조분야 85 11. 산업응용분야 85 12. 공예분야 86 13. 서비스분야 87 14. 사무관리분야 88 15. 금융 · 보험분야 90 16. 의료분야 90 17. 환경분야 91 Ⅴ. 결론 93 참고 문헌 95 Abstract 99 부록 105 1. 전문가 회의 참석자 명단 106 2.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시기관 및 과정 현황 107 3. 실업자 재취직훈련 승인훈련과정 108 4. 훈련분야별 훈련생 학력 및 전직업 116 5. 실업자 재취직훈련 승인인원 현황 127 6. 실업자 재취직훈련 모집인원 현황 129 7. 실업자 재취직 훈련생 모집율 현황 131 8. 실업자 재취직훈련 수료 현황 133 9. 실업자 재취직훈련 취업 현황 135 10.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시여건 점수 137 11. 직업능력개발 훈련기준 직종 139 12. 실업자 직업훈련 권장 훈련과정 140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기관 유형별 실업자 재취직훈련과정 운영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둘째, 훈련기관 유형별 실업자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준거를 구안하여,셋째, 각 훈련기관 유형별로 특성화 훈련과정을 제시한다.
Under the economic crisis since the late 1997, Korean society suffers from large-scale unemployment. Accordingly,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comprehensive plans for the reemployment of the unemployed suggesting vocational training due to the demand for vocational training from the unemployed. However, most of training curricula that have been established leave much to be desired in the sense that they are not capable of making the best of their strengths. Besides, they are mainly operated exactly the same as the previous training curricula. In the similar vein, they are not eligible for serving as substantial help in the reemployment of unemployed. As a consequence,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come up with clear criteria to assess the specialization of training progra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alternative to the plans for current vocational training in order to operate training curricula in more efficient manner. ...
<표 Ⅱ-1> 공공직업훈련기관 훈련과정 9 <표 Ⅱ-2> 인정직업훈련기관 훈련과정 10 <표 Ⅱ-3> 사업내직업훈련기관 훈련과정 11 <표 Ⅱ-4> 1998년도 직업훈련 현황 12 <표 Ⅱ-5> 전문대학 학과 현황 13 <표 Ⅱ-6> 지정 교육훈련기관 현황 14 <표 Ⅱ-7> 1998년도 학원 현황 15 <표 Ⅱ-8> 기술계 학원의 교육훈련과정 15 <표 Ⅱ-9> 1998년도 훈련기관별 교육훈련과정 16 <표 Ⅱ-10> 1998년도 실업대책 직업훈련 유형별 실시현황 17 <표 Ⅱ-11> 1998년도 실업대책 직업훈련의 훈련기관별 훈련현황 18 <표 Ⅱ-12> 학력별 구성 및 훈련직종 선호도 18 <표 Ⅱ-13> 훈련분야별 훈련직종 현황 19 <표 Ⅱ-14> 실업자 재취직훈련 승인 현황 20 <표 Ⅱ-15>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시기관 및 과정 현황 21 <표 Ⅱ-16> 실업자 재취직훈련 훈련분야별 실시 현황 21 <표 Ⅱ-17> 연령별?학력별 훈련생 분포 23 <표 Ⅱ-18> 학력에 따른 남녀별 전직업 현황 24 <표 Ⅱ-19> 훈련기관별 훈련생의 학력 분포 24 <표 Ⅱ-20> 훈련분야별 훈련생의 학력 분포 25 <표 Ⅱ-21> 훈련기관별 훈련생의 전직업 분포 26 <표 Ⅱ-22> 훈련분야별 훈련생의 전직업 분포 27 <표 Ⅱ-23> 훈련기관별 훈련기간 28 <표 Ⅱ-24> 훈련분야별 훈련기간 29 <표 Ⅱ-25> 실제 훈련기간과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훈련기간 30 <표 Ⅱ-26> 훈련생의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31 <표 Ⅲ-1>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 36 <표 Ⅲ-2>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항목 36 <표 Ⅲ-3>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준거 항목 38 <표 Ⅲ-4> 훈련과정의 특성화 준거항목 등급별 부여 점수 40 <표 Ⅲ-5> 농림?어업?광업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41 <표 Ⅲ-6> 농림?어업?광업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42 <표 Ⅲ-7> 섬유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43 <표 Ⅲ-8> 섬유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44 <표 Ⅲ-9>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45 <표 Ⅲ-10>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46 <표 Ⅲ-11> 금속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47 <표 Ⅲ-12> 금속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47 <표 Ⅲ-13> 기계?장비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49 <표 Ⅲ-14> 기계?장비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50 <표 Ⅲ-15> 건설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52 <표 Ⅲ-16> 건설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53 <표 Ⅲ-17> 전기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54 <표 Ⅲ-18> 전기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55 <표 Ⅲ-19> 전자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56 <표 Ⅲ-20> 전자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57 <표 Ⅲ-21> 정보?통신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58 <표 Ⅲ-22> 정보?통신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60 <표 Ⅲ-23> 운송장비제조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61 <표 Ⅲ-24> 산업응용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62 <표 Ⅲ-25> 산업응용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63 <표 Ⅲ-26> 공예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64 <표 Ⅲ-27> 공예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65 <표 Ⅲ-28> 서비스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66 <표 Ⅲ-29> 서비스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68 <표 Ⅲ-30> 사무관리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69 <표 Ⅲ-31> 사무관리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71 <표 Ⅲ-32> 금융?보험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72 <표 Ⅲ-33> 금융?보험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72 <표 Ⅲ-34> 의료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73 <표 Ⅲ-35> 의료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74 <표 Ⅲ-36> 환경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74 <표 Ⅲ-37> 환경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75 <표 Ⅳ-1> 농림?어업?광업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77 <표 Ⅳ-2> 섬유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78 <표 Ⅳ-3>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79 <표 Ⅳ-4> 금속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0 <표 Ⅳ-5> 기계?장비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1 <표 Ⅳ-6> 건설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2 <표 Ⅳ-7> 전기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3 <표 Ⅳ-8> 전자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3 <표 Ⅳ-9> 정보?통신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4 <표 Ⅳ-10> 산업응용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6 <표 Ⅳ-11> 공예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6 <표 Ⅳ-12> 서비스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8 <표 Ⅳ-13> 사무관리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9 <표 Ⅳ-14> 금융?보험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90 <표 Ⅳ-15> 의료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90 <표 Ⅳ-16> 환경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9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실업자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방안 | 1999.02.01~1999.08.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