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산업화에 따른 직종변화
The Outlook for Job Changes Based on Knowledge·Information Industry in Korea and Policy Implications
- 저자
- 장창원 이상준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9-1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9.12.31
- 등록일
- 1999.12.31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내용 2 II. 지식·정보산업화의 이론적 배경과 정의 및 특성 5 1. 지식·정보산업의 이론적 배경 5 2. 지식의 정의 및 분류 10 3. 지식산업의 정의 및 분류 11 4. 지식·정보산업의 주요 특성 15 III. 우리 나라 지식기반산업의 환경변화 및 현황 19 1. 환경의 변화 19 2. 우리 경제의 지식기반 현황 21 IV. 지식·정보산업의 선정방법 27 1.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 27 2. 본 연구의 선정 기준 29 3. 산업연관표 투입계수 선정결과 29 4.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보고서」고임금 업종 추정결과 37 V. 지식기반산업에서의 직종선정 및 직종변화 47 1. 선정방법 및 특징 47 2. 직업선정 기준 56 3. 지식정보산업화에 따른 직업 선정결과 60 VI. 지식산업 성장추이, 노동시장여건 변화 및 대응방향 95 1.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추이 95 2. 노동시장의 요구변화 104 3. 지식기반 경제 이행의 전제조건 109 4. 지식기반산업화에 따른 인력정책방향 112 VII. 지식·정보 산업화에 따른 정책과제 123 1. 지식중심산업 환경변화 대응과제 123 2. 인력수급 대응과제 129 3. 인력개발 대응과제 131 4. 노동시장 정보인프라 대응과제 139 5. 법·제도적 개선 과제 140 참고문헌 145 ABSTRACT 151
본 연구는 지식 정보 산업화 진전에 따른 지식기반산업으로 이행하는데 따른 인력수요변화를 기반으로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산업 및 직업변화를 살펴보고 전망을 추정하여 제시하는데 1차 목적이 있으며, 향후 지식기반산업화에 따른 인적자본양성과 직업교육훈련정책은 경쟁력을 겸비한 고부가가치 전문기술인력의 시의 적절한 양성을 위한 산업인력 시스템 구축방향을 일조 하는데 2차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식·정보 산업화를 전제로 교육훈련공급자와 수요자에게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시장 상황에 맞추어 필요한 직종변화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여 정책입안자 및 교육공급자가 산업인력 수급균형 및 양성 방향을 단기, 중장기적으로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할 것이다.
The central focus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explore the forecasting change of occupation based on knowledge·information industries through R&D ratio estimating methods and wage level comparison in the labor market. The final goal of this report is to give the principal reference of industrial manpower and vocational training policies for government sector. 1) This study considers the linking of traditional economic theories to economic theories based on knowledge society. Specially this paper explained F. A. Hayek's view on market, competition and knowledge. He thought knowledg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creation of national wealth. 2) This report includes the circumstance and present condition of the switching over procedure from the modernized traditional industries to knowledge industries. 3)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ecasting results of knowledge industries and jobs in 21st century labor market based on I-O raw data and the microeconomic earnings data. It specifies a related theory, methodology and a rising high added value industries and according to based on knowledge industry. 4)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knowledge jobs based on the empirical forecasting results of knowledge industries. In this process, this study used empirical results through R&D ratio of total production cost, market wage level and job expert debating meeting for suggestions. 5) This study finally suggests policy directions and issues according to the forecasting results. In this process, we used through macro-economic indicator trends which estimating knowledge industries played a role in production, employment, export etc, in Korea economy since 1980 and future labor market outlook. ...
<표 II- 1> 우리 나라 생산요소별 경제성장 기여도 추정 9 <표 II- 2> Machlup의 용도에 따른 지식의 분류 11 <표 II- 3> Machlup의 지식산업 분류 13 <표 II- 4> Porat의 지식 분류 13 <표 II- 5> 한국형 지식기반산업 14 <표 II- 6> 투입 사용의 강도에 따른 캐나다의 고용 성장(1984~1991) 17 <표 III-1>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20 <표 III-2> 지식투입지표의 현황 22 <표 III-3> 지식성과지표의 현황 22 <표 III-4> 선진국과 비교한 핵심기술 수준 23 <표 III-5> 정보화지표 현황 (1997년 기준) 23 <표 III-6> 직종별 인력부족 현황 24 <표 III-7> 직종별 취업구조 국제비교 25 <표 IV-1> 지식창출 및 전달 서비스업 31 <표 IV-2> 지식활용도가 높은 산업 35 <표 IV-3> 1993년 고임금 소 분류별 제조업 38 <표 IV-4> 1997년 고임금 소 분류별 제조업 38 <표 IV-5> 1993년 소 분류별 고임금 서비스업 39 <표 IV-6> 1997년 소 분류별 고임금 서비스업 40 <표 IV-7> 새롭게 등장한 고임금 산업(1997) 41 <표 IV-8> 고임금 그룹에서 퇴장한 산업(1997) 42 <표 V- 1> 기본부문의 통합중분류로 통합과정의 예 48 <표 V- 2> 24개 통합 중분류의 선정결과 48 <표 V- 3> ??산업별 직업분류표?? 에 대별 시켜 선정된 산업명 50 <표 V- 4> 연도별 고임금 소 분류별 직업(1993, 1997) 52 <표 V- 5> 세세 분류별 고 임금 소 분류별 직업(1993, 1997) 55 <표 V- 6> 지식기반 유망산업에서의 직종 및 새로운 직종 89 <표 VI-1> 지식기반서비스 산출액 비중 추이 96 <표 VI-2> 총산출액중 지식기반 산업의 비중 추이 97 <표 VI-3> 지식기반서비스 종사자수 98 <표 VI-4> 지식산업서비스 종사자수 비중 변동추이 99 <표 VI-5> 지식기반산업의 수출추이 100 <표 VI-6> 지식기반산업의 수출비중 추이 101 <표 VI-7> 지식기반산업의 제조업부문으로 중간투입규모 102 <표 VI-8> 제조업산업부문에 대한 지식기반산업의 중간투입비율 103 <표 VI-9> 학력별, 성별, 인적자본 투자수익률(1996) 105 <표 VI-10> 산업별 전문지식 취업자 추이 105 <표 VI-11> 직무의 변화 109 <표 VI-12> 기존경제와 지식기반경제의 비교 114 [그림 VII-1] 네트워크 조직 125 [그림 VII-2] 인력 및 교육계획 입안자가 갖추어야 할 공통능력 14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지식·정보 산업화에 따른 직종변화 | 1999.02.01~199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