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계 사립고교에서의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Education in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s
- 저자
- 김용호 변은희 장동원 김숙이 김선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9-1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9.12.31
- 등록일
- 1999.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Ⅱ. 실업계 사립고교 직업교육의 의의 및 역할 9 1. 실업계 사립고교 직업교육의 의의 9 2. 실업계 사립고교 직업교육의 역할 및 기능 10 3. 주요국 직업교육의 최근 동향 21 Ⅲ. 실업계 사립고교 직업교육의 운영 실태 및 과제 31 1. 직업교육의 교육과정 31 2. 직업교육의 교육방법 47 3. 직업교육의 교원 관리 62 4. 직업교육의 행·재정적 지원 71 5. 실업계 고교와 다른 기관과의 연계 체제 79 6.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마케팅 응용 86 Ⅳ. 조사 결과 및 해석 95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5 2. 일반적 실태 조사 98 3. 행ㆍ재정적 지원 130 4. 교육과정 운영 141 5. 교원관리 161 6. 산학협동 및 연계 187 7. 실업계 고교 발전 방안 215 Ⅴ. 실업계 사립고교 직업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실천 방안 235 1.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한 실천 방안 235 2. 교육방법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실천 방안 238 3. 효율적인 교원관리를 위한 실천 방안 240 4. 행 · 재정 지원상의 실천 방안 241 5. 다른 기관과의 연계 체제 구축을 위한 실천 방안 243 6.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244 Ⅵ. 결론 및 제언 247 참고문헌 251 ABSTRACT 257 부 록 261
본 연구는 실업계 사립고교의 직업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여러 각도에서 모색해 봄으로써, 이들 학교가 우리 나라 전체 직업교육 체제의 발전과 효율화 증대에 기여해 나가도록 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실업계 사립고교에서의 직업교육의 의의 및 역할에 관해 고찰한다. 둘째, 우리 나라 실업계 사립고교의 직업교육 실태를 고찰한다. 셋째, 주요국 직업교육의 최근 동향을 고찰한다. 넷째, 실업계 사립고교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요구를 조사, 분석한다. 다섯째, 실업계 사립고교의 직업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Over the past several years many changes have emerg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Especially, even though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 made a critical role of improving competition of the global market, they has faced many problems. For example, the number of entering students has diminished, useful curricula which industry wants for the job opening has been insufficient, and social and governmental support has been on the decline. Those problems of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 were caused by not responding and catching up industrial changes. Therefore,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 has difficulties to produce well-skilled and qualified worker who ever ending industrial society needs. In this regard, it is time for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 to reform for improving the quality. The efforts of continuous improvement to produce well-skilled workers to prepare the 21st century will revitalize the concept of vocational education in the private high school. ...
<표 Ⅰ-1> 시도별 설문 회수 현황 6 <표 Ⅰ-2> 학교 설립 유형별 설문 회수 현황 7 <표 Ⅰ-3> 설문의 구성 내용 7 <표 Ⅱ-1> 우리 나라 고교 교육의 현황 14 <표 Ⅱ-2> 실업계 고교의 현황 15 <표 Ⅱ-3> 연도별 실업계 사학의 의존도 15 <표 Ⅱ-4> 중등교육의 사학 비중 비교 18 <표 Ⅲ-1> 학급 경영 목표 41 <표 Ⅲ-2> 서울시 고교의 전화 및 컴퓨터 확보 현황 51 <표 Ⅲ-3> 실업계 고교 교원의 출신별 자격증 65 <표 Ⅲ-4> 실업계 고교 소지 자격별 연수 이수 교원수 68 <표 Ⅲ-5> 공사립 학생 1인당 교육비 차이 비교표 74 <표 Ⅲ-6> 사립고교 교육비 지출 구조 75 <표 Ⅲ-7> 실업계 고교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 현황 76 <표 Ⅲ-8> 방과 후 교육활동 지원금의 공?사학 집행 비교 78 <표 Ⅳ-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6 <표 Ⅳ-2> 실업계 고교의 문제점 101 <표 Ⅳ-3> 바람직한 직업교육 시작 단계 106 <표 Ⅳ-4> 계열 분리 운영체제에 대한 찬반 여부 111 <표 Ⅳ-5> 교과 수업에 대한 관심도 116 <표 Ⅳ-6> 학생들이 교과 수업에 무관심한 이유 122 <표 Ⅳ-7> 산업인력 수요에 대한 부응 여부 127 <표 Ⅳ-8> 재정 수요 확보 방법 132 <표 Ⅳ-9> 시급한 지원 분야 138 <표 Ⅳ-10> 현 교육과정의 적절성 여부 143 <표 Ⅳ-11> 전문?인문 교과 비율의 적절성 148 <표 Ⅳ-12> 기초 학력 부진의 해결방안 153 <표 Ⅳ-13>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 158 <표 Ⅳ-14> 교직 만족도 163 <표 Ⅳ-15> 교직에 대한 불만족 이유 169 <표 Ⅳ-16> 학생지도시 가장 부담스럽게 생각하는 문제 174 <표 Ⅳ-17>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고양책 179 <표 Ⅳ-18> 교사 처우 개선 방안 184 <표 Ⅳ-19>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188 <표 Ⅳ-20> 교육과정 연계가 불필요한 이유 192 <표 Ⅳ-21> 바람직한 교육과정 연계 대상 197 <표 Ⅳ-22> 현장 실습의 목적 202 <표 Ⅳ-23> 현장 실습의 문제점 207 <표 Ⅳ-24> 현장 실습의 활성화 방안 212 <표 Ⅳ-25> 실업계 고교 개선 방안 217 <표 Ⅳ-26> 우수학생 유치 방안 222 <표 Ⅳ-27> 통합형 고교 방안의 도입에 대한 찬반 여부 227 <표 Ⅳ-28> 실업계 고교의 존속 이유 23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탁 | 실업계 사립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 | 1999.05.01~199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