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Ⅰ): 고등학교 단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the World of Work
저자
장원섭 옥준필 김형만
분류정보
기본연구(1999-2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9.12.31
등록일
1999.12.31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3. 연구의 범위 	10

Ⅱ.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개념 및 이론적 틀	13
	1.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개념적 틀	13
	2.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이론적 틀	16
	3. 학교-직업세계 이행 준비와 방법	23

Ⅲ. 학교-직업세계 이행 현황	33
	1. 학교-직업세계 이행 개관	33
	2. 학교-직업세계 이행 실태와 문제점	34
	3. 학교-직업세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55

Ⅳ. 학교-직업세계 이행 조사 결과	61
	1. 면담 조사 결과	61
	2. 설문 조사 결과	69
	3. 논 의	109

V. 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113
	1.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유형	113
	2. 미국과 일본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118
	3. 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 제안	123
	4. 논 의	127

VI. 결론 및 제언	129
	1. 결 론	129
	2. 제 언	130

참 고  문 헌	139

ABSTRACT	145

부        록	149
  본 연구는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개념적·이론적 틀을 확립하고 우리 나라 고등학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종합적인 실태를 파악하여 교육과 직업세계간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이행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및 현장 개선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rameworks of school-to-work transition and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high school-to-work transition. Also this study intended to improve the school-to-work transition policies and practices by constructing effective transition systems. 
  In this study, we used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s follows. First, we reviewed prior studies and reports to establish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oundations of school-to-work transition. Second, we analyzed various statistical data to show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high school-to-work transition. Third, scholars and experts from various fields were advised and consulted to make this study reasonable. Fourth, we interviewed high school teachers and employers to understand the realities and problems of school-to-work transition. Fifth, we surveyed 15 to 29-year-old youths by questionnaire. Sixth, we examined the foreign examples of school-to-work transition.
...
<표 Ⅰ- 1> 조사 대상의 인구 통계학적 배경	7
<표 Ⅰ- 2> 조사 도구의 구성 및 내용	9
<표 Ⅱ- 1> 일 중심 학습(work-based learning)의 유형	24
<표 Ⅱ- 2> 교육과 일 경험의 시차에 따른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 유형	26
<표 Ⅲ- 1>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36
<표 Ⅲ- 2> 연령계층별 실업 추이	37
<표 Ⅲ- 3> 학력별 실업 추이	37
<표 Ⅲ- 4> 주요 국가의 학력별 실업률 (1995)	38
<표 Ⅲ- 5> 현장실습의 본래 교육목표 기여도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40
<표 Ⅲ- 6> 고등학생들의 시간제 취업 경험 여부	40
<표 Ⅲ- 7> 일반계 고교 직업반 학생수 현황 	41
<표 Ⅲ- 8>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	42
<표 Ⅲ- 9> 청년층(15세-24세) 경제활동 참가율의 국제비교 (1997)	43
<표 Ⅲ-10> 대학정원과 진학률	45
<표 Ⅲ-11> 18세~25세 인구의 고등교육 참여율 (1996)	45
<표 Ⅲ-12> 25세 이상 인구 중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수와 비율	46
<표 Ⅲ-13> 고등학교 졸업자의 취업 경로	48
<표 Ⅲ-14> 입직경로별 비중	49
<표 Ⅲ-15> 학력별 전공과 직업의 일치도 (1996)	51
<표 Ⅲ-16> 29세 이하 연령층의 연도별?학력별 이직자수 및 이직률	51
<표 Ⅲ-17> 사업체규모별, 근속연수별 이직자수 비중	52
<표 Ⅲ-18> 학력별 노동이동 희망률 (1997)	54
<표 Ⅲ-19> 학력별 업종별 이직률	54
<표 Ⅳ- 1> 고교 재학 중 취업 준비 여부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70
<표 Ⅳ- 2> 취업 준비 방법의 고교 유형에 따른 차이	71
<표 Ⅳ- 3> 고교 재학 중 자격증 취득 준비 교육 경험 여부 차이	73
<표 Ⅳ- 4> 자격 취득 준비 방법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74
<표 Ⅳ- 5> 자격취득 준비자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자격취득 여부의 차이	76
<표 Ⅳ- 6> 개인적 배경에 따른 취득 자격의 전공 관련 정도 차이	77
<표 Ⅳ- 7> 고교 재학 중 취업 경험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78
<표 Ⅳ- 8> 고교 유형별?연령별 고교 졸업 후 진로	81
<표 Ⅳ- 9> 고교 유형별?성별 고교 졸업 후 진로	81
<표 Ⅳ-10> 고교 유형별?고교 성적별 고교 졸업 후 진로	82
<표 Ⅳ-11> 고교 졸업자의 진로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84
<표 Ⅳ-12> 구인 정보 취득원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87
<표 Ⅳ-13> 입사 방법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89
<표 Ⅳ-14> 입사 시기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91
<표 Ⅳ-15> 입사 전, 후 훈련기간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94
<표 Ⅳ-16> 학력에 따른 첫 직장 특성 차이	96
<표 Ⅳ-17> 첫 직장 특성의 성별에 따른 차이	97
<표 Ⅳ-18> 개인적 배경, 학교에서의 준비와 이행 과정 특징에 따른 첫 직장 소득의 차이	98
<표 Ⅳ-19> 업무와 전공의 일치 정도에 대한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100
<표 Ⅳ-20> 업무와 학력의 일치 정도에 대한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101
<표 Ⅳ-21> 이직 여부에 따른 구직 및 첫 직장 특성 차이	105
<표 Ⅳ-22> 구직 과정과 첫 직장 특성에 따른 이직 경험자의 첫 직장 근속 기간	106
<표 Ⅳ-23> 첫 직장을 그만둔 이유	108
<표 Ⅴ- 1>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두 가지 유형	114

[그림 Ⅱ- 1]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체제	14
[그림 Ⅱ- 2] 학교의 관여도와 임금지급에 따른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	25
[그림 Ⅲ- 1] 인구증가율 추이	35
[그림 Ⅳ- 1] 상업계와 공업계 고교에서의 구체적 취업 준비 방법	72
[그림 Ⅳ- 2] 상업계와 공업계 학생의 자격증 취득을 위한 준비 방법	74
[그림 Ⅳ- 3] 고교재학 중 취업경험의 직업생활 도움정도	79
[그림 Ⅳ- 4] 고교 유형에 따른 직업세계 준비	80
[그림 Ⅳ- 5] 학력별 첫 직장 구인 정보원	85
[그림 Ⅳ- 6] 학력별 첫 직장 입사 방법	86
[그림 Ⅳ- 7] 고교 유형에 따른 구직활동 시작시기	90
[그림 Ⅳ- 8] 성별 고교 졸업 후 취업 전까지의 활동	92
[그림 Ⅳ- 9] 성별에 따른 직장 선택 기준	93
[그림 Ⅳ-10] 취업경험여부에 따른 직장 선택 기준	93
[그림 Ⅳ-11] 고교 졸업자의 성별 첫 직장 소득	99
[그림 Ⅳ-12] 고교 교육 내용의 직장 업무 수행에의 도움 정도	102
[그림 Ⅳ-13] 고교 교육과정과 직장 훈련의 직무 수행 도움정도 	103
[그림 Ⅳ-14] 현재 직장 만족도	104
[그림 Ⅳ-15] 구인정보 취득경로에 따른 이직 경험자의 첫 직장 근속 기간	107
[그림 Ⅳ-16] 성별에 따른 첫 직장을 그만두고 한 활동	109
[그림 Ⅳ-17]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실태 분석을 위한 틀	110
[그림 Ⅵ- 1] 지역중심 학교-직업세계 이행 네트워크	13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I): 고등학교 단계를 중심으로 1999.02.01~199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