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평생학습센터의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ifelong Learning Centers
저자
송병국
분류정보
기본연구(1999-2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9.12.31
등록일
1999.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Ⅱ. 연구내용·방법   5
    1. 연구내용 5
    2. 연구방법 7
    3. 설문지 구성  10
 
Ⅲ. 평생교육센터(평생학습관)설립의 배경 15
    1. 평생교육센터로서 평생학습관의 개념   15
    2. 증대되는 평생학습의 요구 20
    3. 평생교육센터(평생학습관)설립의 필요성    26
 
Ⅳ. 일본의 평생학습관 설치·운영 사례    33
    1. 일본의 평생학습 추진체계 33
    2. 공민관의 운영 실태 분석  43
 
Ⅴ. 평생학습관 운영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57
    1.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57
    2. 조사대상자의 평생학습 관련 특성  58
    3. 변인별 평생교육 사업에의 자부심  60
    4. 변인별 평생교육 분야 계속 종사 여부  63
    5. 지역 평생학습관의 역할과 기능    67
    6. 지역 평생학습관에 꼭 수행해야 할 기능    69
    7. 지역 평생학습관 시범운영 실태 분석   71
    8. 지역 평생학습관 운영시 애로사항  77
    9. 조사결과 요약    82
 
Ⅵ. 중앙 평생교육센터와 지역 평생 학습관 설치·운영 방안 85
    1. 중앙 평생 교육센터의 설치·운영   85
    2. 지역 평생 학습관의 설치·운영 방안    89
    3. 지역 평생 학습관의 활성화 전략   97
 
Ⅶ. 결론 및 제언    107
 
참고문헌    110
 
ABSTRACT    112
 
부 록   115 
  본 연구는 평생교육법이 제정과 더불어, 이 법에 따라 평생학습기관을 중앙과 각 지방에서 설치 · 운영하려 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해 중앙의 평생교육센터와 지역 평생학습관의 운영 모델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tes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Life-long Learning Center(LLC)'.  Also, this study intended to give the politic suggestions for life-long education and learning to the government.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were used.  First, related prior studies and reports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need and validity of LLC.  Second, to obtain the concrete idea needed to establish life-long learning system in Korea,  Japanese life-long education system executed after 1990  was investigated as a case study.  Specially, Public Learning Center(Gongminguan) was examined in detail.  Third,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officers of the local demonstrative life-long learning centers, which have participated in 'governmental life-long learning center project' since 1997, by mailing questionnaire to understand the major roles and problems of that life-long learning center, and effects of that project. Finally, on the basis of the antecedent results, the expert conference was implemented to think out feasible devices for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LLC to be founded according to Life-long Education Law. 
...
<표 Ⅱ- 1> 시?도별 지역중심 평생학습관 시범운영 기관 현황	8
<표 Ⅱ- 2> 설문지의 회수율과 이용율	9
<표 Ⅲ- 1> 학습센터와 정규 학교의 특성 비교	17
<표 Ⅲ- 2> 학습센터 프로그램 유형별 특성	19
<표 Ⅳ- 1> 각 행정 부처의 평생학습 정책의 성격	34
<표 Ⅳ- 2> 평생학습 시설의 현황	40
<표 Ⅳ- 3> 평생학습지도자 배치 현황	41
<표 Ⅳ- 4> 학습정보의 예	42
<표 Ⅴ- 1> 조사대상 평생학습담당자의 개인적 특성	58
<표 Ⅴ- 2> 조사대상 평생학습담당자의 평생학습관련특성	59
<표 Ⅴ- 3> 성별에 따른 평생교육 사업에의 자부심	60
<표 Ⅴ- 4> 연령에 따른 평생교육 사업에의 자부심	60
<표 Ⅴ- 5> 학력에 따른 평생교육사업에의 자부심	61
<표 Ⅴ- 6> 근무경력에 따른 평생교육사업에의 자부심	61
<표 Ⅴ- 7>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평생교육사업에의 자부심	62
<표 Ⅴ- 8> 자격증 취득유무에 따른 평생교육사업에의 자부심	63
<표 Ⅴ- 9> 성별에 따른 평생교육관련직 계속 종사 여부	63
<표 Ⅴ-10> 연령에 따른 평생교육관련직 계속 종사 여부	64
<표 Ⅴ-11> 학력에 따른 평생교육관련직 계속 종사 여부	64
<표 Ⅴ-12> 근무경력에 따른 평생교육관련직 계속 종사 여부	65
<표 Ⅴ-13>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평생교육관련직 계속 종사 여부	66
<표 Ⅴ-14> 자격증 취득유무에 따른 평생교육관련직 계속 종사 여부	66
<표 Ⅴ-15> 지역평생학습관의 역할과 기능의 중요도 분포	68
<표 Ⅴ-16> 지역평생학습관의 역할과 기능의 중요도 분포	69
<표 Ⅴ-17> 지역평생학습관이 꼭 수행해야 할 역할과 기능	70
<표 Ⅴ-18> 지역평생학습관 역할 및 기능 수행에 대한 반응 결과	73
<표 Ⅴ-19> 지역평생학습관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반응 점수	74
<표 Ⅴ-20> 평생학습관련 교육경험유무에 따른 평생학습관 역할과 기능 효과 분석	75
<표 Ⅴ-21> 근무경력에 따른 평생학습관 역할과 기능에 대한 효과 분석	76
<표 Ⅴ-22> 자부심 정도에 따른 평생학습관 역학과 기능의 효과 분석	76
<표 Ⅴ-23> 평생학습직에 계속 종사할 의향에 따른 시범운영사업 효과 분석	77
<표 Ⅴ-24>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 및 이해 정도	78
<표 Ⅴ-25> 전문적 지식과 기술 수준	79
<표 Ⅴ-26> 강의실 및 실습실 상태	80
<표 Ⅴ-27> 강의실 및 실습실 수	80
<표 Ⅴ-28> 평생학습관의 운영자금 상태 및 기자재 보유 정도	81
<표 Ⅴ-29> 교수요원 확보의 용이성	81
<표 Ⅴ-30> 정보화 설비 확보 정도	82

[그림 Ⅲ-1]  지역사회와 개인 발전을 위한 학습센터의 개념	16
[그림 Ⅵ-1]  중앙 평생교육센터 모델	85
[그림 Ⅵ-2]  지역 평생교육정보센터의 운영	94
[그림 Ⅵ-3]  지역 평생학습관 운영 모델	9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탁 평생학습센터설치 운영 방안 연구 1999.02.01~199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