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 학사운영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Junior College Education in Korea
저자
강성원 홍익표 박동열 이길순 오태훈 김경우 김성태
분류정보
기본연구(1999-2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9.12.31
등록일
1999.12.31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절차	4
  3. 연구의 범위	9

II. 고등교육의 환경변화와 전문대학의 역할 	11
  1. 전문대학 교육환경의 변화	11
  2. 전문대학의 역할	18

Ⅲ. 외국 전문대학의 학사운영	27
  1. 미국의 전문대학	27
  2. 일본의 단기대학	41

Ⅳ. 전문대학의 학사운영 실태	61
  1. 학사운영 실태	61
  2. 교육과정 운영 실태(개혁동향)	150

V. 전문대학의 학사운영 개선방안	173
  1. 기본방향	173
  2. 개선방안	177

Ⅵ. 결론 및 제언	207

참 고 문 헌	209

ABSTRACT	217

부  록	221
  본 연구 목적은 우선 전문대학 교육환경 변화와 전문대학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특성화된 전문대학 나름의 사명과 역할을 설정하여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전문대학의 역할을 정립해 보고자 한다. 
  전문대학의 위상과 사회의 요구에 맞는 학사운영체제를 모색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수준의 외국의 학사운영체제를 분석하여 우리 나라 전문대학 학사운영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한다. 셋째 성인들의 계속교육 요구를 실현하는데 장애가 되는 현행 학사운영체제의 실태를 분석하여 전문대학이 열린 학사운영체제를 구현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산업사회가 필요로 하는 양질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실태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Junior Colleges in Korea are two or three year post-secondary institutes with emphasis o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There are 161 junior colleges, 145 private and 16 national/public, with approximately 600,000 students attending, as of 1999.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college education programs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urrounding environment, educational practices, and the problems of the college education system in all its aspects. 
  This study is also to provide individual colleges with concrete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reforming their educational systems and programs.
...
<표Ⅰ- 1> 설문 문항 	5
<표Ⅱ- 1> 연령계층별 인구구조 전망 	14
<표Ⅱ- 2> 학령인구 변동추이 	14
<표Ⅱ- 3> ’99년도 전문대학 지역별 입시지원 현황	17
<표Ⅱ- 4> 고등교육기관 진학희망자와 입학정원	18
<표Ⅲ- 1> 미국 전문대학의 현황	28
<표Ⅲ- 2> 미국의 주별 전문대학 현황 	29
<표Ⅲ- 3> 전문대학의 등록생 현황	30
<표Ⅲ- 4> 미국 전문대학의 상위 10위 준학사 및 자격증 분야	33
<표Ⅲ- 5> 일본의 고등교육기관으로 진학률 추이	43
<표Ⅲ- 6> 일본의 단기대학 현황	44
<표Ⅲ- 7> 일본 단기대학의 입학생 선발	46
<표Ⅲ- 8> 일본 단기대학의 분야별 전공학과 현황	48
<표Ⅳ- 1> 학사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62
<표Ⅳ- 2> 정원 내 전형별 정원변화	67
<표Ⅳ- 3> 자격증 소지자를 평가하기 위한 전형기준	70
<표Ⅳ- 4> 자격증 소지 등급화 	70
<표Ⅳ- 5> ‘98~’99학년도 전문대학 지역별 미충원 인원 현황	71
<표Ⅳ- 6> 전문대학에서의 수학의향 	72
<표Ⅳ- 7> 98학년도 정원조정 결과 	74
<표Ⅳ- 8> 정원 외 전형별 지원자 변화 	76
<표Ⅳ- 9> 수업연한에 대한 전문대학 재학생의 선호도	84
<표Ⅳ-10> 직위별 전문대학의 수업연한에 대한 의견	85
<표Ⅳ-11> 계열별 전문대학의 수업연한에 대한 의견	86
<표Ⅳ-12> 2학기제와 다학기제의 대비표	93
<표Ⅳ-13> 대구보건대학의 학사일정	96
<표Ⅳ-14> 전문대학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바람직한 수업주수와 학기	97
<표Ⅳ-15> 학기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97
<표Ⅳ-16> 계열화와 세부 전공제를 운영하는 목적	102
<표Ⅳ-17> 계열화와 세부 전공제의 기대효과	106
<표Ⅳ-18> 계열화의 장단점	108
<표Ⅳ-19> 계열화와 세부 전공제 추진을 위한 선결과제	109
<표Ⅳ-20> 복수전공제 도입	114
<표Ⅳ-21> 복수전공 신청의향	115
<표Ⅳ-22> 복수전공을 신청하려는 이유	115
<표Ⅳ-23> 복수 전공제 이수유형	116
<표Ⅳ-24> 전문대학에서 복수 전공제를 도입할 경우 예상되는 영향	117
<표Ⅳ-25> 복수 전공제 이수유형	118
<표Ⅳ-26> 출판미디어과의 진출분야에 따른 복수 전공학과	121
<표Ⅳ-27> 전문대학의 부전공제 도입	123
<표Ⅳ-28> 부전공제를 도입할 경우 예상되는 영향	124
<표Ⅳ-29> 부전공 신청의향	125
<표Ⅳ-30> 입학전형별 전공심화과정 대한 관심도	128
<표Ⅳ-31> 전공심화과정을 하려는 이유	129
<표Ⅳ-32> 학점은행제 평가인정기관 및 학습과목	132
<표Ⅳ-33> 등록형태	135
<표Ⅳ-34> 교과목의 이수형태	136
<표Ⅳ-35> 자격증을 소지한 입학생의 학점인정 방안	141
<표Ⅳ-36> 졸업학점을 이수한 학생의 조기졸업 허용의사	142
<표Ⅳ-37> 지원신청 대학의 주문식 교육 추진현황	152
<표Ⅳ-38> 주문식 교육의 유형	154
<표Ⅳ-39> 시범전문대학별 교육과정 연계운영 특성 	167
<표Ⅴ- 1> 1년 3학기제의 운영	185
<표Ⅴ- 2> 현행 2학기제와 3학기제의 비교	187

[그림 Ⅰ-1] 연구의 수행 절차	8
[그림 Ⅲ-1] 일본의 교육제도	42
[그림 Ⅲ-2] 단기대학의 계열별 학생 비율	45
[그림 Ⅳ-1] 전공심화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	130
[그림 Ⅴ-1] 전문대학학사 운영의 개선방향	17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전문대학 학사운영 개선 방안 연구 1999.02.01~1999.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