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산업의 자격연구: 3년 종합본(2010~2012)
Study on Qualification in Service Industry(III): Compilation of 3 Years Research Papers (2010~2012)
- 저자
- 정향진 김덕기 박종성 조정윤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2-01-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10.31
- 등록일
- 2013.01.24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개인서비스업자격연구서비스산업
제1장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_1 1. 연구의 개요 3 2.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자격 현황 4 3. 주요 연구 결과 4 4. 정책 제언 9 제2장 사업 및 배분서비스업_11 1. 연구의 개요 13 2. 사업 및 배분서비스업 자격 현황 14 3. 주요 연구 결과 14 4. 정책 제언 19 제3장 개인서비스업_21 1. 연구의 개요 23 2. 개인서비스업 자격 현황 24 3. 주요 연구 결과 25 4. 정책 및 추후 과제 제언 29 제4장 3개년 연구 종합_41 1. 서비스산업 업종별 전문가 특성 43 2. 자격의 활용성 및 자격제도의 적절성 45 3. 자격 발굴 및 신설 가능성 49 4. 기존 자격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57 부 록_61 <부록 1>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자격 신설(안) 63 <부록 2>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 자격 신설(안) - 총 28개 65 <부록 3> 개인서비스업 자격 신설(안) - 총 15개 99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 중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자격 실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자격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자격을 발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표 1-1>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자격 수 4 <표 1-2>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자격의 활용성 5 <표 2-1> 사업 및 배분서비스업 자격 수 14 <표 2-2> 사업 및 배분서비스업 자격의 활용성 15 <표 3-1> 개인서비스업 자격 수 24 <표 3-2> 개인서비스업 자격의 활용성 26 <표 4-1> 3개년 서비스산업 업종별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44 <표 4-2> 서비스산업 업종별 자격의 활용성 1 47 <표 4-3> 서비스산업 업종별 신설 자격 발굴 50 <표 4-4> 사업 및 배분서비스업 신설 자격(안) 51 <표 4-5> 개인서비스업 신설 자격(안) 54 <표 4-6> 서비스산업 업종별 기존 자격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59 [그림 3-1] 개인서비스업종별 협의체 및 플랫폼 기관 설치․운영(안) 37 [그림 4-1] 서비스산업 업종별 자격의 활용성 2 47 [그림 4-2] 서비스산업 업종별 자격제도의 적절성 48 [그림 4-3] 서비스산업 업종별 발굴 자격의 신설 가능성 5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서비스 산업의 자격연구(Ⅲ): 개인서비스업을 중심으로 | 2012.01.01~2012.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