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의 취업눈높이 실태 파악을 통한 진로정책 과제

Youth Employment Aspirations and Career Path Policy
저자
오호영 송창용 송경모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2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0.31
등록일
2013.01.2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8
제3절 연구 방법	11
제4절 연구 범위	13
제2장 청년층 취업눈높이 이론과 실태_19
제1절 취업눈높이 이론적 배경	21
제2절 취업눈높이 선행연구	35
제3절 대학재학생 취업눈높이 실태조사	44
제4절 대학재학생 취업눈높이 심층면접	85
제5절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90
제3장 대졸 청년층의 취업실태_95
제1절 청년층 노동시장의 특징	97
제2절 대졸 청년층 취업실태	103
제3절 직장유형과 소득	112
제4절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을 통한 상향이동 가능성	122
제5절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28
제4장 청년층 취업눈높이 결정요인과 노동시장 성과_131
제1절 취업눈높이 결정요인 실증분석	133
제2절 취업눈높이와 취업성과	157
제3절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63
제5장 취업눈높이 지수 설계_169
제1절 요인분석을 이용한 취업눈높이 지수의 설계	171
제2절 진화적 연산을 이용한 취업눈높이와 취업성과 분석	196
제3절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206
제6장 진로정책 과제_209
제1절 주요 분석결과	211
제2절 진로정책 과제	221
SUMMARY_233
참고문헌_243
부  록_251
1. 청년층 취업눈높이 설문지	253
  본 보고서에서는 청년층 취업눈높이를 유보임금을 포함하여 좀 더 포괄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며, 취업눈높이를 결정하는 요인, 유보임금과 취업눈높이와의 관계, 취업눈높이가 높은 계층의 특징, 취업눈높이의 조정문제, 중소기업 취업과 상향이동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정책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in depth the employment aspirations of the young people and to develop career path policies from in terms of labor supply, which have so far attracted little attention. 
  Due to the excessively high college entrance rate, it is practically becoming impossible to satisfy the employment aspirations of the college graduates only with the labor demand. Also while SMEs find it difficult to fill the vacancies in the production employees, the young people face significant unemployment. To bring to an end such a mismatch, it is as important to focus on the employment aspirations of the young people as to create more jobs. 
  The detai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overed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the employment aspirations of the young people. Second the employment aspirations of the young people were further analyzed and characterized as a cause for the job mismatch above mentioned. Third, factor analysis methods and evolutionary optimization were applied in order to econometrically analyze the data and to produce the index of employment aspirations. Finally the career path policy agenda were put forward from the analysis. 
<표 1-1> 고용률 및 대학진학률 추이	17
<표 2-1> 취업눈높이 이론별 주요변수	43
<표 2-2> 취업눈높이 실태조사 문항	46
<표 2-3> 대학졸업 후 계획	50
<표 2-4> 희망직업	52
<표 2-5> 희망직업 결정시기	53
<표 2-6> 취업조건과 취업의사	54
<표 2-7> 대학졸업 후 취업준비 가능기간	54
<표 2-8> 대학졸업 후 미취업 가능여부	55
<표 2-9> 주된 대학등록금 조달방법	56
<표 2-10> 현재까지 대학 평점	58
<표 2-11> 최근 2년 이내 공인 영어 점수 취득현황	59
<표 2-12> 최근 2년 이내 취득한 토익성적 최고점	59
<표 2-13> 해외 어학연수 경험	60
<표 2-14> 취득 자격증 수	61
<표 2-15> 취업 스펙을 위한 휴학 경험	62
<표 2-16> 위험에 대한 태도	63
<표 2-17> 4년제 대졸 초임 연봉에 대한 견해	64
<표 2-18> 희망직업과 부모님 기대 충족도	65
<표 2-19> 희망직업 대비 자신의 역량 정도	66
<표 2-20> 취업성공 요건	67
<표 2-21> 취업과 본인의 스펙(스펙이 높다고 생각하는 비율)	70
<표 2-22> 실력 대비 낮은 학벌 동의비율	71
<표 2-23> 직업 선택 시 중요 고려요인	72
<표 2-24> 직무와 회사의 중요도	72
<표 2-25> 취업눈높이 영향경로	73
<표 2-26> 대학재학 중 진로관련 활동 참여경험	75
<표 2-27> 대학 취업지원 만족도	77
<표 2-28> 취업희망 지역	78
<표 2-29> 일일 최대 통근시간	79
<표 2-30> 취업희망 최소 기업규모	80
<표 2-31>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견해	81
<표 2-32> 특성별 취업기피 동의비율	84
<표 3-1> 청년층 선호 직장	98
<표 3-2> 기업규모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전 산업기준 1인 이상)	98
<표 3-3> 조사차수별 표본규모 및 분석대상	104
<표 3-4> 대졸자의 직장별 취업현황	106
<표 3-5> 2010년 성별 취업성과 비교	109
<표 3-6> 2010년 전공별 취업성과 비교	111
<표 3-7> 4년제 대졸자의 성별・소득분위별 월평균 소득	113
<표 3-8> 성별・직장유형별 월평균 소득	114
<표 3-9> 성별・출신대학별 월평균 소득	116
<표 3-10> 성별・전공별 월평균 소득	116
<표 3-11> 직장유형별 월평균 소득이 유보임금 이상인 비율	119
<표 3-12> 출신대학별 월평균 소득이 유보임금 이상인 비율	120
<표 3-13> 출신전공별 월평균 소득이 유보임금 이상인 비율	122
<표 3-14> 직장유형 간 이행행렬	127
<표 4-1> 취업눈높이 변수	136
<표 4-2> 취업눈높이 분석에 포함된 변수	139
<표 4-3> 학력별 성별 취업눈높이	142
<표 4-4> 진로설계와 취업눈높이	144
<표 4-5> 4년제 대졸자의 취업눈높이 문항별 유보임금 평균차이 t-검정 결과	145
<표 4-6> 최초 요인분석에 의한 고유치, 설명 비율 	148
<표 4-7> 주숙련 요인과 요인적재치 추정결과	149
<표 4-8> 유보임금 결정요인 추정결과	153
<표 4-9> 취업눈높이 지수 결정요인 추정결과	156
<표 4-10> 취업눈높이와 취업성과	158
<표 4-11> 로그시간당 임금과 취업눈높이	162
<표 5-1> 요인 분석을 통한 취업눈높이 지수의 산출과정	173
<표 5-2> 최종적으로 구한 m개의 공통요인에 대한 추정된 요인적재와 연관된 가중값 	176
<표 5-3> 요인분석을 위한 26개 눈높이 변수의 선정	179
<표 5-4> 최소 근로자 수 관련 눈높이등급 부여	183
<표 5-5> 출퇴근시간 관련 눈높이등급 부여	183
<표 5-6> 표본상관행렬의 특성값	185
<표 5-7> 공통요인 9개의 요인적재값의 구조	185
<표 5-8> 9개 공통요인의 특성 명명	191
<표 5-9> 요인분석에 의한 취업눈높이 지수 가중치 체계	192
<표 5-10> 설문응답자의 취업눈높이 지수의 기초통계량	194
<표 5-11> 종합눈높이 지수 평균차이 검정: 남성 대 여성 응답자	195
<표 5-12> 취업눈높이 관련 변수	200
<표 5-13> 취업성과 관련 변수	201
[그림 1-1] 청년층 취업자 수 추이	16
[그림 1-2] 청년층 고용률 추이	16
[그림 2-1] Gottfredson 직업포부 발달이론의 개요	23
[그림 3-1] 4년제 대졸자의 성별・소득분위별 월평균 소득	113
[그림 3-2] 대졸자의 직장유형별 이동현황(2008~2010년)	125
[그림 4-1] 성별・학력별 유보임금	140
[그림 5-1] 전체 설문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취업눈높이 지수의 분포	194
[그림 5-2] GP에서 나무 형태로 표현한 산식 개체(예시)	198
[그림 5-3] 의중임금(가로축)과 실제임금(세로축)의 산점도	203
[그림5-4]취업조건 선호도 변수(가로축)과 실제임금(세로축) 관측치의 산점도	204
[그림 5-5] 취업눈높이와 실제임금 사이의 최적화된 관계식 나무	20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청년층의 취업눈높이 실태 파악을 통한 진로정책 과제 2012.01.01~201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