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 실태

The Current Status of Basic Competenci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저자
조은상 강종훈
분류정보
기본연구(1999-3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9.12.31
등록일
1999.12.31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2
  3. 연구의 방법	4
  4. 연구의 한계	12

II. 이론적 접근	13
  1. 시발점 행동(entry behavior)의 개념	13
  2.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및 선행 연구	14
  3. 기초 수학능력 개념 	15
  4. 수학 능력 평가 선행 연구 	17
  5. 최저 통과 점수 설정 방법론	21

III. 실태 조사 분석 결과	27
  1. 기초 수학능력	27
  2. 기초 수학능력 인식	39
  3. 기초 수학능력 관련 변인의 분석	47
  4. 기초 수학능력 관련 교과서 개선 요구	71

IV. 결론 및 제언	93
  1. 연구 요약	93
  2. 제언 	96
  3. 활용방안	102

참고문헌	105

ABSTRACT	109

부    록	113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전문 교과학습에 필요한 기초 교과 중 우선적으로 국어, 영어, 수학 교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기초 수학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국어, 영어, 수학 교과목의 수준과 내용 및 전문교과와의 연계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정도를 검토함으로써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sic schooling competencies and the learning statu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prepare for the educational improvements for the lack of competencies. Major research methodologies include literature review, data analysis, interview with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focus group meeting with experts, tests for language, math and English, and survey by students and teachers.
  The basic competencies are limited to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 The test results show that 17% of students do not reach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learning specific courses in vocational areas in language (Korean), 35% of students are under the minimum requirements in English, and 57% of students do not meet the minimum requirements in mathematics. Looking at the fields, students from commercial fields had the highest scores, followed by those from industrial fields and agricultural fields and those from marine field had the lowest scores. ...
<표 I-1> 학생용 설문의 내용	7
<표 I-2> 교사용 설문의 내용	9
<표 I-3> 학생 계열별 표본집단 구성 	11
<표 I-4> 교사 과목별 표본집단 구성 	11
<표 I-5> 최저 통과 점수 설정에 참여한 교사들 교과별 구성 	12
<표 III-1>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평균 	27
<표 III-2> 교사들에 의해 설정된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28
<표 III-3>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	28
<표 III-4> 계열별 기초 수학능력 차이 검증	30
<표 III-5> 계열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	31
<표 III-6> 진학동기별 기초 수학 능력 차이 검증 	33
<표 III-7> 지역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	35
<표 III-8> 성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	37
<표 III-9> 아버지의 학력에 따른 자녀의 기초 수학능력의 차이 검증	38
<표 III-10>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자녀의 기초 수학능력의 차이 검증	39
<표 III-11> 학생과 교사의 국어과목에 대한 기초 수학능력 인식	40
<표 III-12> 학생과 교사의 영어과목에 대한 기초 수학능력 인식	41
<표 III-13> 학생과 교사의 수학과목에 대한 기초 수학능력 인식	42
<표 III-14>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기초 수학능력 인식	43
<표 III-15> 학생과 교사가 예상하는 졸업 후 전망	45
<표 III-16>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졸업 후 전망 	46
<표 III-17> 국어, 영어, 수학 교과의 전문교과 학습에 대한 유용성	48
<표 III-18>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국어, 영어, 수학 교과의 전문교과 학습에 대한 유용성	49
<표 III-19> 교과서를 재편집하거나 일부분만을 선택한 수업 여부	50
<표 III-20> 학생참여의 수업방법 사용 여부	52
<표 III-21>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에 대한 학습욕구	56
<표 III-22>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에 대한 흥미 	59
<표 III-23> 최저 통과 점수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63
<표 III-24> 수업 내용 이해정도	64
<표 III-25> 수업 내용의 이해 부족 원인	65
<표 III-26>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수업 내용 이해도	66
<표 III-27> 기초 수학 능력 향상을 위한 학생 개인의 노력 	68
<표 III-28> 계열별 졸업 후 계획	70
<표 III-29> 실업계 교사로서의 긍지	71
<표 III-30> 교과서의 내용 개선	73
<표 III-31>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서의 내용 개선 	74
<표 III-32> 교과서의 수준 하락 여부	76
<표 III-33>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서의 수준 하락 여부	78
<표 III-34> 교과서의 분량 축소 여부	80
<표 III-35>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서의 분량 축소 여부	82
<표 III-36> 수업 시간의 연장 여부 	84
<표 III-37>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수업 시간의 연장 여부	85
<표 III-38> 통합 교과서 개발의 필요성 여부	87
<표 III-39>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통합 교과서의 필요성	  88
<표 III-40> 실업계 고등학교용 교과서 개발의 필요성 여부	89
<표 III-41>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실업계 고등학교용 교과서  개발의 필요성	9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실태 1999.02.01~199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