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학교의 현장실습 운영평가 방안 연구
The Evaluation Strategies for Operation of Work-Based Experience
- 저자
- 강종훈 김미숙 김수원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9-3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9.10.31
- 등록일
- 1999.10.31
연구 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 방법 4 4.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9 1. 각급학교현장실습운영에관한규칙 의 개요 9 2. 현장실습 운영 유형 및 운영 요소 17 3. 현장실습 운영의 기본 전략 20 Ⅲ. 현장실습 운영 방안 47 1. 현장실습 계획 47 2. 현장실습업체 선정 54 3.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59 4.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 66 5. 현장실습 평가 80 Ⅳ. 현장실습 운영 평가 방안 99 1. 현장실습 운영 평가의 의의 99 2. 평가 시스템 100 3. 평가 도구의 개발 절차 111 Ⅴ. 제 언 127 1. 후속 사례 연구 추진 127 2. 시범 학교 운영 및 우수 사례 홍보 128 3. 현장실습 프로그램 공동 개발 128 4. 현장실습 운영 평가에 대한 행·재정 지원의 구체적 확보 129 5. 네트워크에 의한 체계적 관리 130 6. 현장실습 운영 평가 전담기관 확보 130 7. 현장실습 운영에 대한 연수 실시 131 참 고 문 헌 132 ABSTRACT 136 [부 록] 140
본 연구는 전술한 연구의 필요성에 터하여 각급학교현장실습운영에관한규칙 제정의 취지에 맞는 현장실습 운영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실습 운영 실태를 검토하고 단위 학교에서의 현장실습 운영의 기본 전략을 모색한다. 둘째, 모색된 현장실습 운영의 기본 전략을 바탕으로 현장실습 운영 방안을 구상한다. 셋째, 구상된 현장실습 운영 방안을 바탕으로 평가 방안을 모색한다. 넷째, 현장실습 운영 평가를 위한 지원 방안을 구상한다.
<표 Ⅱ- 1> 실업계 고등학교 현장실습의 3단계 운영(안) 20 <표 Ⅱ- 2> 전문 대학 현장실습의 3단계 운영(안) 21 <표 Ⅱ- 3> CIPP 교육과정 평가 모형 28 <표 Ⅱ- 4> CIPP 평가 방법 예시 29 <표 Ⅱ- 5> 현장실습의 유형 36 <표 Ⅱ- 6> 현장실습 절차에 따른 운영 요소 38 <표 Ⅲ- 1> 직업 태도 항목 58 <표 Ⅲ- 2> 현장 실습 순회 지도 목적별 내용 71 <표 Ⅲ- 3> 현장실습의 3단계 운영(안) 75 <표 Ⅲ- 4> 현장실습생 평가 항목 80 <표 Ⅲ- 5> 체제 모형에서의 현장실습 평가 항목표 83 <표 Ⅲ- 8> 단위 학교에서의 프로그램 평가 영역 및 항목 86 <표 Ⅳ- 1> 현장실습 운영 평가 영역 107 <표 Ⅳ- 2> 전담 조직의 설치 및 전담 교원의 배치 평가 항목 109 <표 Ⅳ- 3> 현장실습 담당 교원의 선정 평가 항목 110 <표 Ⅳ- 4> 현장실습 실시 여건 및 요구 조사 평가 항목 110 <표 Ⅳ- 5> 현장실습 목적의 설정 평가 항목 111 <표 Ⅳ- 6> 현장실습 대상업체 조사 평가 항목 111 <표 Ⅳ- 7> 현장실습 사전 협의 평가 항목 112 <표 Ⅳ- 8> 직무 내용 개발 평가 항목 112 <표 Ⅳ- 9>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평가 항목 113 <표 Ⅳ- 10> 현장실습 사전 교육 평가 항목 113 <표 Ⅳ- 11> 현장실습생 파견 평가 항목 114 <표 Ⅳ- 12> 현장실습생 배치 평가 항목 114 <표 Ⅳ- 13> 현장실습 교육의 실시 평가 항목 115 <표 Ⅳ- 14> 현장실습 순회 지도 평가 항목 115 <표 Ⅳ- 15> 현장실습 학점 인정 평가 항목 116 <표 Ⅳ- 16> 단위 학교에서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평가 항목 116 <표 Ⅳ- 17> 현장실습 사후관리 및 문서화 평가 항목 117 [그림 Ⅱ- 1] 현장실습의 운영 체계 10 [그림 Ⅱ- 2] 현장실습 운영을 위한 지원 체제 31 [그림 Ⅲ- 1] 현장실습 운영 계획 수립 절차 44 [그림 Ⅲ- 2]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절차 55 [그림 Ⅲ- 3]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모형 57 [그림 Ⅲ- 4] 현장실습 교육 절차 67 [그림 Ⅲ- 5] 현장실습 성적 일람표(취업 중심) 76 [그림 Ⅲ- 6] 진학 중심 현장실습 운영 방법 77 [그림Ⅲ - 7] 현장실습 성적일람표(진학 중심) 79 [그림 Ⅲ- 8] 세일러- 알렉산더 교육과정 평가 모형 85 [그림 Ⅳ- 1] 운영 체계 94 [그림 Ⅳ- 2] 평가 운영 조직 100 [그림 Ⅳ- 3] 평가 도구 개발 절차 10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단위학교의 현장실습 운영평가 방안 | 1999.02.01~1999.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