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주요 선진국의 직업연구 동향

Trends in Vocational Research in Major Developed Countries
저자
이영대 김기홍
분류정보
기본연구(1999-3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9.12.31
등록일
1999.12.31
연구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내용	2
    3. 연구의 방법	3
    4. 직업연구에 대한 정의	3

Ⅱ. 미국의 직업연구동향	9
    1. 미국의 직업별 현황	9
    2. 직업전망	10
    3. 직업분류	22
    4. 직업기초능력	29
    5. 직업연구기관의 연구내용	29

Ⅲ. 일본의 직업연구동향	33
    1. 일본의 직업 활동 현황	33
    2. 직업전망	35
    3. 직업분류	42
    4. 직업기초능력	46
    5. 직업연구기관	47

Ⅳ. 독일의 직업연구동향	49
    1. 독일의 직업활동현황	49
    2. 직업연구의 의의와 주체	50
    3. 직업연구의 내용	55
    4. 직업연구의 특성과 방법	59
    5. 직업연구에서 예측의 가능성과 한계	61
    6. 직업연구의 실제	62

Ⅴ. 한국의 직업연구에 주는 시사점	81
    1. 직업전망 연구강화	82
    2. 직업분류의 재체계화	83
    3. 직업기초능력 연구강화	89
    4. 직업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반조성	90

Ⅵ. 요약 및 제언	93

참 고 문 헌	99

ABSTRACT	107

부 록	113
  본 연구에서는 주요 선진 국가의 직업연구와 관련된 동향을 파악하고 그 특징과 비교 논의하여 한국의 직업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연구의 의의 및 성격을 명료화한다. 둘째, 주요 선진국 직업연구의 동향을 연구주체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별로 분석한다. 셋째, 주요 선진국 직업연구의 특징을 논의하여 향후 우리 나라의 직업연구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rasp and compare the trends and differences of the vocational researches of foreign countries by examining the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same issues i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o shed a light for the study on vocational issue in Korea.
...
<표 Ⅰ-1> 연구목적,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
<표 Ⅰ-2> 정기간행물 중 직업관련 주요연구영역별 연구동향	4
<표 Ⅰ-3> 직업교육훈련 이외의 연구가능분야 	5
<표 Ⅰ-4> 직업연구의 영역	5
<표 Ⅱ-1> 미국의 직업관련 주요지표	9
<표 Ⅱ-2> 주요 직업별 고용전망(1998년-2008년)	14
<표 Ⅱ-3> 가장 임금 및 급여가 성장할 직종 10가지(1998년-2008년)	15
<표 Ⅱ-4> 급 성장할 직업 10가지(1998년-2008년)	15
<표 Ⅱ-5> 미국 내 성장직업으로 급 부상할 직업(1998년)	18
<표 Ⅱ-6> DOT 분류체계 표시	26
<표 Ⅱ-7> 미국의 직업기초능력 종합	30
<표 Ⅲ-1> 일본의 직업관련 주요지표	33
<표 Ⅲ-2> 일본의 직업구조변화 (1990년-2010년)	37
<표 Ⅲ-3>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유형별 직업 변화 전망	38
<표 Ⅲ-4> 일본의 직업별 취업자 수 변화 전망	40
<표 Ⅲ-5> 일본의 노동력 수급의 전망과 과제	42
<표 Ⅲ-6> 일본 표준 직업 분류(1997년 12월 개정) 항목표	44
<표 Ⅲ-7> 향후 예상되는 직업의 직무 내용 변화와 요구 능력	46
<표 Ⅳ-1> 독일의 직업관련 주요지표	49
<표 Ⅳ-2> 직업구조 파악을 위한 예	58
<표 Ⅳ-3> 1991년 구독일연방의 취업자 자격구조 예측	65
<표 Ⅳ-4> 노동력 수요 계획	66
<표 Ⅳ-5> 2010년까지 구 서독의 취업자 직무구조계획	67
<표 Ⅳ-6> 직무행위 변화의 추이	69
<표 Ⅳ-7> 취업자 전체 직무행위 변화의 추이	71
<표 Ⅳ-8> 정규상근직의 직무행위 변화의 추이	73
<표 Ⅳ-9> 시간제 고용직의 직무행위 변화의 추이	75
<표 Ⅳ-10> 구서독의 취업자의 직종특성에 따른 자격구조의 추이	79
<표 Ⅴ-1> 연구결과 및 제언	81
<표 Ⅴ-2> 우리 나라 대표적 직업정보의 생성기간	86

[그림 Ⅰ-1] 직업연구와 직업교육훈련연구	6
[그림 Ⅳ-1] 독일의 직업에 대한 기술의 특성	5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주요 선진국의 직업연구 동향분석 연구 1999.02.01~199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