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숙련형성 정책

An Inquiry into the Skills Attainment Policy for the Knowledge-Based Economy In Kore
저자
김애경
분류정보
기본연구(1999-3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9.12.24
등록일
1999.12.24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2
    3. 연구 대상과 방법	4

Ⅱ. 포드주의 경제의 위기	5
    1. 포드주의적 대량생산체제의 한계 	5
    2. 대량생산체제에서의 숙련의 성격	8

Ⅲ. 정보통신기술(ICT)의 출현과 지식기반경제의 성립	11
    1. 새로운 정보통신기술(ICT)과 지식기반경제	11
    2. 지식기반경제를 위한 새로운 숙련요건	16
    3. 지식기반경제와 숙련의 장기추세  	24

Ⅳ. 한국에서의 지식노동의 필요성-제조업 상장기업의 실증 분석을 중심으로 	27
    1. 생산체제의 비효율성과 저숙련  	27
    2. 새로운 숙련에 대한 요구  	29
    3. 숙련형성에 대한 정책적 함의 	52

Ⅴ. 지식기반경제를 위한 숙련형성정책 방향	55
    1. 제도의 재구축 필요성	55
    2. 숙련형성을 위한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의 형성	62

참고문헌	67

ABSTRACT	71
  지식기반경제에서는 고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투자 확대 창의성 있고 고숙련을 갖춘 지식노동력의 창출 유연하고 분권화된 작업조직 협력적 노사관계 등이 중시된다. 이 가운데에서도 지식기반경제가 새로운 국가경제의 생존전략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 관건은 창의력과 고숙련을 겸비한 우수한 노동력의 창출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 경제가 요구하는 숙련의 성격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숙련형성정책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고찰한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숙련의 성격은 향후 직업훈련제도와 교육제도의 개편과정에서 유의미한 함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Korean economy has been achieving high growth for the last 30 years. Recently, the growth rate of the manufacturing indutstry is declining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weakening seriously. This means that the growth potential of existing production system in Korea is withering. Korean production system is characterized by a 'subordinate Fordism' which is combined by 'high productivity-low wage-mass production-mass exportation'. Korean production system began to lose competitiveness in the early 1990s. One of the fundamental reasons might be the fact that the Korean system failed to accommodate new environments that were characterized by changes and competition. To regain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world market and to sustian high growth, the Korean economy should establish the knowledge-based economy instead of Fordist mass produc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the building an alternative development model of Korean economy,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mechanism of new skill formation.
...
<표 Ⅲ- 1> 기술패러다임의 변화	12
<표 Ⅲ- 2> 포드주의 경제와 지식기반경제의 비교	15
<표 Ⅳ- 1> 기술?숙련의 조응관계 -한국경제의 경우	28
<표 Ⅳ- 2> 부가가치 수준별 숙련형성 관행	30
<표 Ⅳ- 3> 부가가치 수준별 작업조직 특성	31
<표 Ⅳ- 4> 부가가치 수준별 새로운 숙련의 요구 	32
<표 Ⅳ- 5> 자동화 단계별 숙련형성 관행 비교 	33
<표 Ⅳ- 6> 자동화 단계별 숙련형성 방식  	34
<표 Ⅳ- 7> 자동화 단계별 노동자의 다기능화 비교 	35
<표 Ⅳ- 8> 자동화 단계별 의사소통방식  	36
<표 Ⅳ- 9> 자동화 단계별 노동자 참가 비율	37
<표 Ⅳ- 10> 자동화 단계별 노동자 참가 형태 	38
<표 Ⅳ- 11> 자동화 단계별 새로운 숙련에 대한 요구 비교	39
<표 Ⅳ- 12> 고품질?고부가가치 생산의 주된 장애 요인 	41
<표 Ⅳ- 13> 경쟁우위 전략별 효과적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자질 	42
<표 Ⅳ- 14> 경쟁우위 전략별 직무순환 유형 	43
<표 Ⅳ- 15> 경쟁우위 전략별 고려중인 숙련형성 정책 	44
<표 Ⅳ- 16> 경쟁우위 전략별 노동자 참가 비율	45
<표 Ⅳ- 17> 경쟁우위 전략별 참가형태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45
<표 Ⅳ- 18> 경쟁우위 전략별 생산방식 비교	46
<표 Ⅳ- 19> 생산방식 유형별 이상처리 방식	48
<표 Ⅳ- 20> 생산방식 유형별 극소전자화에 따른 숙련요건	49
<표 Ⅳ- 21> 생산방식 유형별 요구되는 노동자의 자질 비교	50
<표 Ⅳ- 22> 생산방식 유형별 직무순환 방식	51
<표 Ⅴ- 1>  9세 학생의 수학 및 과학 교육에 관한 국제 비교(1992)	56
<표 Ⅴ- 2> 13세 학생의 수학 및 과학 교육에 관한 국제 비교(1992)	5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탁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숙련형성 정책 1999.11.08~1999.12.24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