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평생학습을 위한 학생의 동기 증진 (OECD 협력사업)

Motivating Students for Lifelong Learning
저자
이수경 변숙영 이현정
분류정보
기본연구(1999-3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0.30
등록일
2000.10.30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3
      3. 연구의 제한점  6
 
II. 이론적 배경 9
    1.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학습동기와 학교교육  9
    2. 학교교육을 통한 평생학습 동기 증진   17
 
III. 우리 나라의 국가교육 체계와 정책 방향  27
    1.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 및 추진 계획  27
    2. 정규 학교 이외의 평생학습 지원   30
    3. 학습동기 부여 프로그램   34
 
IV. 우리 나라 학생들의 학습동기 관련 각종 통계 분석 37
    1. 진학률 및 중도 탈락률    37
    2. 학교생활 만족도  41
    3. 학업 성취도 및 기대 교육 수준    42
    4. 평생교육 43
 
Ⅴ. 우리 나라의 교육혁신 사례 분석  47
    1.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 혁신 사례(1): 제도권 범위내의 부분적 개혁 47
    2.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 혁신 사례(2): 전면적 개혁 54
    3. 상위학교 및 지역사회 연계 사례(3)    65
 
Ⅵ. 결 론   75
    1. 현장 학교 개혁의 기본 방향 정립  76
    2. 개혁을 위한 전략 79
 
참 고 문 헌     85
 
ABSTRACT    89
 
【부록】OECD 영문 보고서 전문   95
  본 연구의 주목적은 우리 나라 중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동기 증진과 관련된 성공적인 사례를 발굴하는 데 있으며, 나아가 이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우리 나라 교육 실정에 적합한 평생학습 체제에서의 중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동기 증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OECD를 주축으로 하고, 우리 나라를 위시한 8개국이 공동 참여하는 형태로 수행되었다. 참여국은 한국(Korea), 덴마크(Denmark), 핀란드(Finland), 아이슬랜드(Iceland), 아일랜드(Ireland), 일본(Japan), 노르웨이(Norway), 영국(United Kingdom)이다. 본 연구의 참여를 통해 우리 나라의 우수한 교육혁신 사례들을 국제적으로 알리며, 우리 나라의 교육 체제에 대한 이해와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This study mainly aims at finding successful cases related to improving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in Korea's secondary schools. It has been jointly conducted by 8 countries under the superintendence of OECD. The countries which joined in the study are Denmark, Finland, Iceland, Ireland, Japan, Norway, United Kingdom and Korea. Joining in this study has given us an opportunity for internationally announcing the cases of excellent educational innovation in Korea and serves as a means of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and the collaboration for the Korean education.
  The method of conducting this study was specifically presented by OECD, and it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motivation for learning and various kinds of statistics by investigating relevant literature and materials. Second, this study practiced field examinations for finding and selecting innovation cases. For the field examinations, we interviewed with education administrators, teachers and students, and visited the classes at work. Third, this study made an intensive analysis of the finally selected cases focusing on the areas demanded by OECD (curricula, teaching strategies and connected education). Fourth, the representatives of OECD conducted a study visit to innovation case schools from June 12 to June 18. Fifth, we held a meeting with experts to review and get advice about the report to be submitted to OECD.
...
<표 Ⅰ-1> 최종 선정 사례	5
<표 Ⅰ-2> 공식 방문 일정표	7
<표 Ⅳ-1> 학교급별 진학률	37
<표 Ⅳ-2> 연도별, 중?고등 단계별 중도 탈락자	38
<표 Ⅳ-3> 연도별, 일반?실업계 고교의 중도 탈락률	39
<표 Ⅳ-4> 연도별, 실업계 고교의 전통적, 비전통적 중도 탈락률	39
<표 Ⅳ-5> 연도별, 중도탈락자의 범죄율	40
<표 Ⅳ-6> 중도 탈락 원인	41
<표 Ⅳ-7>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1996)	41
<표 Ⅳ-8>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42
<표 Ⅳ-9> 기대 교육 수준(1996)	43
<표 Ⅳ-10> 연도별, 연령대별 국민 평균 교육 연수	44
<표 Ⅳ-11> 학습자의 연간 평생학습 참여율 및 교육 이수 일수	44
<표 Ⅳ-12> 공?사립 후기 중등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에 재학중인 학생 비율(1994)	45
<표 Ⅳ-13> 고등교육기관 연도별 재학생 수	46
<표 Ⅴ-1> 1999년 성지고등학교 학생의 유형별 분석	57
<표 Ⅴ-2> 성지고등학교 학생의 졸업 후 진로 현황(1984-1999)	64
<표 Ⅴ-3> 교재 개발 현황	66
<표 Ⅴ-4> 지역사회 교양교실의 과정 구성	69
<표 Ⅴ-5> ‘학생 농업체험 교실’ 운영	71
<표 Ⅴ-6> ‘우리 농작물 전시포’ 운영	71
<표 Ⅴ-7> 수원 농생명과학고등학교의 입학 지원자 수와 합격 점수	72

[그림 Ⅴ-1] 영산 성지고등학교의 특성화 방안	55
[그림 Ⅴ-2] 연계과정 이수 학생의 우선 선발 방법	6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평생학습을 위한 학생의 동기증진(OECD 협력사업) 1999.02.01~2000.06.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