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Ⅰ- 1> 설문지의 주요 내용 5
<표 Ⅱ- 1>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학?취업률 추이(1980~1998) 10
<표 Ⅱ- 2> 취업자의 학력별 구성비 변화 추이(1990~1998) 11
<표 Ⅱ- 3> 미국의 고등학교 교육체제 15
<표 Ⅱ- 4> 기존의 교육과 Tech Prep의 비교 16
<표 Ⅱ- 5> Tech Prep을 통한 대상별 혜택 17
<표 Ⅱ- 6> 4+2 TPAD 모형 : 전자/컴퓨터 중간 기술자 (Electronics/Computer Technician) 21
<표 Ⅱ- 7> 교육과정 연계 방식에 대한 조사 22
<표 Ⅱ- 8> Tech Prep 프로그램의 발전 과정 23
<표 Ⅱ- 9> Tech Prep 프로그램 모형 24
<표 Ⅱ-10> 지역협의체에 대한 종류 지원자금 내역 32
<표 Ⅱ-11> 1997~1999년 연계교육 참여 학교 현황 42
<표 Ⅱ-12> B전문대학의 실업계 고등학교와의 연계교육 추진 전략 43
<표 Ⅱ-13> 1999학년도 연계교육 재정지원 전문대학들의 연계교육 목적 44
<표 Ⅲ- 1> 실업계 고등학교의 연계 실시 학과 현황 67
<표 Ⅲ- 2> 실업계 고등학교와 연계를 체결한 전문대학 현황 68
<표 Ⅲ- 3> 실업계 고등학교와 연계를 체결한 전문대학의 학과 현황 68
<표 Ⅲ- 4> 실업계 고등학교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 69
<표 Ⅲ- 5> 연계교육 대상 학교 및 학과 선정의 기준 70
<표 Ⅲ- 6> 연계교육 대상 전문대학 선정시 거리 제한의 유무 71
<표 Ⅲ-6-1>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는 주된 이유 71
<표 Ⅲ-6-2>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은 주된 이유 72
<표 Ⅲ- 7> 연계교육 학생 선정의 주된 기준 73
<표 Ⅲ- 8> 연계교육 운영시 학생 측면에서 발생하고 있는 어려움 74
<표 Ⅲ- 9> 학과별 연계 학생 규모의 적정선 75
<표 Ⅲ-10> 연계교육의 확대 여부 75
<표 Ⅲ-11> 연계교육에 대한 전문대학의 자세 76
<표 Ⅲ-11-1> 전문대학이 연계교육에 적극적인 이유 77
<표 Ⅲ-11-2> 전문대학이 연계교육에 소극적인 이유 77
<표 Ⅲ-12>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전문대학과의 역할 분담 방법 78
<표 Ⅲ-13> 연계교육을 총괄하고 있는 부서 79
<표 Ⅲ-14> 연계교육 효율화를 위한 재정 확보 방안 80
<표 Ⅲ-15> 연계교육 효율화를 위해 요구되는 행정 지원 사항 81
<표 Ⅲ-16> 연계교육 추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과제 83
<표 Ⅲ-17> 연계교육에 대한 기존 교육과정의 적합성 여부 84
<표 Ⅲ-18>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 형태 85
<표 Ⅲ-19> 연계교육 관련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계획 86
<표 Ⅲ-20> 현직 교사들의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 87
<표 Ⅲ-21> 연계교육에 활용할 교재 개발을 위한 인적 구성 방법 87
<표 Ⅲ-22> 연계 교육과정 개발시 요구되는 각 항목들의 필요성 정도 88
<표 Ⅲ-23>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법 90
<표 Ⅲ-23-1> 별도반을 편성하지 않은 이유 90
<표 Ⅲ-24> 연계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재정 투자가 필요한 영역 91
<표 Ⅲ-25> 시설?설비 및 실험?실습 기자재 공동 활용 방법 92
<표 Ⅲ-26> 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인적 자원 교류 방법 93
<표 Ⅲ-27> 연계 교육과정 운영시 요구되는 각 항목들의 필요성 정도 94
<표 Ⅲ-28>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 96
<표 Ⅲ-29> 연계교육 대상 학교 및 학과 선정의 기준 97
<표 Ⅲ-30> 학과별 적정한 연계교육 대상 실업계 고등학교 수 98
<표 Ⅲ-31> 연계교육 대상 학교 선정시 거리 제한 유무 98
<표 Ⅲ-31-1>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는 이유 99
<표 Ⅲ-31-2> 거리에 제한을 두지 않는 이유 99
<표 Ⅲ-32> 연계 대상 학생 선발의 기준 100
<표 Ⅲ-33> 연계교육 학생 선발의 문제점 101
<표 Ⅲ-34> 학과별 연계 학생 선발 규모 102
<표 Ⅲ-35> 연계교육의 확대/축소 계획 103
<표 Ⅲ-36> 연계교육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교의 자세 104
<표 Ⅲ-36-1> 실업계 고등학교가 연계교육에 적극적인 이유 104
<표 Ⅲ-36-2> 실업계 고등학교가 연계교육에 소극적인 이유 105
<표 Ⅲ-37> 연계교육 운영 조직의 형태 107
<표 Ⅲ-38> 연계교육 총괄 부서 108
<표 Ⅲ-39> 연계교육을 위한 정책 결정 방법 109
<표 Ⅲ-40> 실업계 고등학교와의 연계교육 역할 분담 방법 110
<표 Ⅲ-41> 산업체와의 연계교육 운영 형태 111
<표 Ⅲ-42> 연계교육 운영에 필요한 재정 확보 방법 112
<표 Ⅲ-43> 연계교육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113
<표 Ⅲ-44> 실업계 고등학교의 기존 교육과정이 연계교육과의 적합성 여부 114
<표 Ⅲ-45> 기존 전문대학 교육과정에 적합한 고등학교 계열 115
<표 Ⅲ-46>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형태 116
<표 Ⅲ-47> 연계교육 관련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계획 117
<표 Ⅲ-48> 교수들의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의 충분성 118
<표 Ⅲ-49>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인적 구성 118
<표 Ⅲ-50> 연계 교육과정 개발시 요구되는 각 항목의 필요성 119
<표 Ⅲ-51>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법 121
<표 Ⅲ-51-1> 별도반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이유 122
<표 Ⅲ-51-2> 별도반을 편성하지 않고 운영하는 이유 123
<표 Ⅲ-52> 일반계 출신 학생들에 비해 실업계 출신 학생들에게 발생하는 문제점 124
<표 Ⅲ-53> 시설?설비 및 실험?실습 기자재 공동 활용 방법 125
<표 Ⅲ-54> 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인적 자원의 교류 방법 126
<표 Ⅲ-55> 연계 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재정 투자가 필요한 영역 127
<표 Ⅲ-56> 연계 교육과정 운영시 요구되는 각 항목의 필요성 129
<표 Ⅴ-1> 연계 교육과정 개발 대상 학교 및 학과 선정 163
<표 Ⅴ-2> 연계 대상 학과의 취업 가능영역 163
<표 Ⅴ-3> 연계 대상 학과 학생들에 대한 인력육성(안) 165
<표 Ⅴ-4> 정보통신계열 전기과의 직무모형에 따른 지식, 기능, 도구 도출 171
<표 Ⅴ-5> 정보통신계열 통신과의 직무모형에 따른 지식, 기능, 도구 도출 172
<표 Ⅴ-6> 정보통신계열 소프트웨어개발과의 직무모형에 따른 지식, 기능, 도구 도출 173
<표 Ⅴ-7> 공업고등학교 전기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75
<표 Ⅴ-8> 전문대학 전기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76
<표 Ⅴ-9> 공업고등학교 통신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77
<표 Ⅴ-10> 전문대학 통신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78
<표 Ⅴ-11> 공업고등학교 전자계산기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79
<표 Ⅴ-12> 전문대학 소프트웨어개발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81
<표 Ⅴ-13> 정보통신계열 전기과의 연계 교과목 182
<표 Ⅴ-14> 정보통신계열 통신과의 연계 교과목 183
<표 Ⅴ-15> 정보통신계열 소프트웨어개발과의 연계 교과목 184
<표 Ⅴ-16>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이론 교과목 Profile 185
<표 Ⅴ-17> 공업계 고등학교 전기이론 교과목 Profile 186
<표 Ⅴ-18> 기초전기전자실습 연계 교과목 Profile 187
<표 Ⅴ-19> 공업고등학교의 전기실습과 전문대학의 기초전기실습 연계 교과목 Profile 188
<표 Ⅴ-20> 공업고등학교의 전기이론과 전문대학의 회로이론Ⅰ 연계 교과목 Profile 189
<표 Ⅴ-21> 공업고등학교의 전기이론과 전문대학의 회로이론Ⅱ 연계 교과목 Profile 190
<표 Ⅴ-22> 공업고등학교의 통신이론과 전문대학의 통신공학개론 연계 교과목 Profile 191
<표 Ⅴ-23> 공업고등학교의 통신기초실습과 전문대학의 통신기초이론실습 연계 교과목 Profile 192
<표 Ⅴ-24> 공업고등학교의 통신전자회로실습과 전문대학의 디지털통신시스템 연계 교과목 Profile 193
<표 Ⅴ-25> 공업고등학교의 데이터 통신과 전문대학의 데이터 통신 연계 교과목 Profile 194
<표 Ⅴ-26> 공업고등학교의 C 언어와 전문대학의 C 언어 연계 교과목 Profile 195
<표 Ⅴ-27> 공업고등학교의 비쥬얼 베이직과 전문대학의 비쥬얼 베이직 연계 교과목 Profile 196
[그림 Ⅱ-1] Tech Prep 프로그램의 3단계 능력 수준 19
[그림 Ⅱ-2] 전자/컴퓨터 중간 기술자 기술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모형 20
[그림 Ⅱ-3] Tech Prep 협의체 28
[그림 Ⅱ-4] TPAD 협의체 29
[그림 Ⅳ-1] 연계교육 운영 체제(안) 148
[그림 Ⅴ-1] 직업교육과정 개발의 체제적 접근 156
[그림 Ⅴ-2] 직업교육과정 개발 모형 157
[그림 Ⅴ-3] 연계 교육과정 개발 모형 159
[그림 Ⅴ-4] 정보통신계열 전기과의 직무모형 167
[그림 Ⅴ-5] 정보통신계열 통신과 직무모형 169
[그림 Ⅴ-6] 정보통신계열 소프트웨어개발과 직무모형 170
[그림 Ⅴ-7] 연계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모형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