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학령인구 변화에 따른 고교 졸업자 수 대비 입학정원 수 34
<표 2-2> 대학의 성인 학생 수 34
<표 2-3> 대학유형별 학교 수 36
<표 2-4> 일반대학, 전문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의 연도별 학생 수 36
<표 2-5> 2011년 대학 유형별 졸업자의 진로추이 38
<표 3-1> 고등교육 진로지도 관련 주요 정부정책 내용 75
<표 3-2> 교육역량강화사업 예산 및 지원 현황 76
<표 3-3> 교육역량강화사업의 교육지표 공식(formula): 순위결정 77
<표 3-4> 대학정보공시제에 따른 공시 대상 주요 정보 78
<표 3-5> 대학 자체평가 결과(2009) 80
<표 3-6>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분야 81
<표 3-7>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평가지표(2011) 82
<표 3-8> 대학청년고용센터 설치 현황(2011) 84
<표 3-9> 대학청년고용센터의 주요 기능 84
<표 3-10> 여대생커리어개발 추진 현황 85
<표 3-11> 연도별 산학협력단 설립 현황 87
<표 3-12> 산학협력중점교수 현황 88
<표 3-13> 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연도별 지원 실적 89
<표 3-14> 청년직장체험프로그램의 예산과 인원 90
<표 3-15>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별 사업별 지원 현황 90
<표 3-16> 창조캠퍼스 연도별 지원 실적 92
<표 3-17> 계약학과 제도의 주요 내용 92
<표 3-18> 연도별 계약학과 개설 현황 93
<표 3-19> 대학기관별 계약학과 개설 현황(2012) 94
<표 3-20> 지역별 계약학과 설치 현황(2012) 94
<표 3-21> 학교기업지원사업 현황 97
<표 3-22> 학교기업 운영 현황 97
<표 3-23> 대학정보공시에 산학협력 관련 추가 항목 98
<표 3-24> 2008년도 교육과학기술부 지원 여대생 특화 진로교육과정 운영 현황(4년제 대학) 104
<표 3-25>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 취업촉진 프로그램 사례(2개 대학) 107
<표 3-26>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의 지원대상이 되는 사업 108
<표 3-27> 취업교과목 분류 109
<표 3-28> 교양과정 및 기타(일반선택) 교육과정 운영방향 및 진로교육 교과목 설치 사례 111
<표 3-29> 진로교육 교과목 설치⋅운영에 관한 전공과정 편성지침 사례 114
<표 3-30> 전공과정에 설치된 진로교육 교과목 사례 115
<표 3-31> 대학자체평가에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평가지표 사례 118
<표 3-32>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전공계열별 진로-취업 교과목 수강경험 비율 비교 124
<표 3-33> 졸업한 4년제 대학유형별 진로-취업 교과목 수강경험 비율 비교 125
<표 3-34> 진로, 취업 관련 교과목이 도움이 된 정도(성별 비교) 126
<표 3-35> 진로, 취업 관련 교과목이 도움이 된 정도(전공계열별 비교) 127
<표 3-36> 진로, 취업 관련 교과목이 도움이 된 정도(대학유형별 비교) 128
<표 3-37>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 및 전문계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교육목표 130
<표 3-38> 진로나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유무 158
<표 4-1> 프랑스 직업학위의 개발 171
<표 4-2> 프랑스 고등교육 학위 분류 173
<표 4-3>사회학 직업석사 2학년(Master professionnel 2)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교원과 현장 전문가 176
<표 4-4> 사회학 석사 1학년(master 1) 177
<표 4-5> 사회학 직업석사 2학년(Master 2) 178
<표 4-6> 사회학 연구석사 2학년(Master 2) 179
<표 4-7> 고용 형태별 석사 졸업생 고용 현황 186
<표 4-8> 미국의 직업 전문학위 198
<표 4-9> 고등교육의 교육목적에 대한 규정 233
<표 4-10> 일본의 직업학위의 개발 234
<표 4-11> 단기대학의 졸업 요건 237
<표 4-12> 전문직대학원과 일반대학원과의 차이(석사과정 기준) 238
<표 4-13> 사회인 기초력의 유형 240
<표 4-14> 학사력 구비에 필요한 교육 242
<표 4-15> 취업기초능력으로서의 기초적, 범용적 능력 243
<표 4-16> 대학에서의 커리어 교육에 대한 대응 유형 244
<표 4-17> 정보 유형으로 본 커리어 교육과 커리어 교육 과목 246
<표 4-18> 2009년도 특별 테마 세미나 실천 과목의 예 247
<표 4-19> 커리어 교육을 위한 교과목의 개설 250
<표 4-20> 인턴십의 흐름 251
<표 4-21> 레포트 작성 요령 252
<표 4-22> 호세대학 커리어 디자인 학부의 교육과정 구조 253
<표 4-23> 세 가지 영역의 과목 254
<표 4-24> 체험형 학습 유형 255
<표 4-25> 커리어 어드바이저의 역할 분담 258
<표 4-26> 호세대학의 커리어 교육 센터의 사업개요 261
[그림 1-1] 고등교육 진로지도의 체계와 범주 16
[그림 1-2] 연구 흐름도 21
[그림 2-1] 학교급간 진학률의 변화 27
[그림 2-2] 주요국의 고등교육 입학률(2009) 27
[그림 2-3] 25세 이상 인구의 학력 구성 28
[그림 2-4] 성인 평균 교육연수 추이의 국가별 비교 29
[그림 2-5] 우리나라와 미국 고등교육의 성인 참여율 비교(2년제 대학) 30
[그림 2-6] 우리나라와 미국 고등교육의 성인 참여율 비교(4년제 대학) 31
[그림 2-7] 가구주의 자녀에 대한 기대교육 수준 32
[그림 2-8] 대학생 대상 학령인구(18~21세) 추이 33
[그림 2-9] 외국인 유학생 수 및 구성 비율 35
[그림 2-10] 국내 산업별 구조 변화 40
[그림 2-11] 인터넷 이용자 수 변화 추이 40
[그림 2-12] 교육수준별 취업자 변화 41
[그림 2-13] 교육수준별 생산인구 추이 및 전망 42
[그림 2-14] 신규 및 경력자 채용 추이 43
[그림 2-15] 비정규직 비율 추이 44
[그림 2-16] 청년층과 전체 인구의 고용률 추이 45
[그림 2-17] 15~29세 청년층 인구규모 및 비중의 변화 46
[그림 2-18] 연도별 진학률 및 취업률 47
[그림 2-19] 편입생 비율과 중도 탈락생 비율 비교 47
[그림 2-20] 청년층의 학교 졸업 후 NEET 인구 비율 추이 48
[그림 2-21] 대학 졸업 후 첫 취업시 취업 소요기간 추이 49
[그림 2-22] 사업체규모별 인력 부족 추이 50
[그림 2-23] 9급 공무원 신규 임용자의 학력 변화 51
[그림 3-1] 고등교육 진로지도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 지원 방식 74
[그림 3-2]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경과 87
[그림 3-3] 연도별 공학인증평가 대학 및 프로그램 현황 96
[그림 3-4] 4년제 대학 졸업자의 대학 재학 기간 중 진로-취업 교과목 수강경험 비율 123
[그림 3-5] 취업전산망 운영여부(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33
[그림 3-6] 전산망 제공 서비스의 성격(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34
[그림 3-7] 취업률 통계, 상담 등 취업지원 DB 관리 현황(4년제 대학) 135
[그림 3-8] 진로 및 취업지원 서비스 운영 현황(대학 재학생 대상) 136
[그림 3-9] 진로 및 취업지원 서비스 참여도(대학 재학생 대상) 136
[그림 3-10] 정보제공 영역 취업지원 항목별 개선 필요 순위(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37
[그림 3-11] 진로 및 취업지원을 위한 상담 운영 현황(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a 138
[그림 3-12] 진로 및 취업지원을 위한 상담 운영 현황(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b 139
[그림 3-13] 진로 및 취업지원을 위한 상담 운영 현황(대학 재학생 대상) 140
[그림 3-14] 진로 및 취업지원을 위한 상담 운영 현황 비교 140
[그림 3-15] 현장연계 취업프로그램 제공 여부(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42
[그림 3-16] 진로 및 취업지원 현장연계 서비스 운영 현황(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42
[그림 3-17] 현장연계 취업프로그램 제공 여부(대학 재학생 대상) 143
[그림 3-18] 진로 및 취업지원 현장연계 서비스 운영 현황(대학 재학생 대상) 144
[그림 3-19] 진로 및 취업지원을 위한 현장연계 서비스 운영 현황 비교 144
[그림 3-20] 특별활동 취업프로그램 제공 여부(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45
[그림 3-21] 진로 및 취업지원 특별활동 서비스 운영 현황(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46
[그림 3-22] 특별활동 취업프로그램 제공 여부(대학 재학생 대상) 147
[그림 3-23] 진로 및 취업지원 특별활동 서비스 운영 현황(대학 재학생 대상) 147
[그림 3-24] 4년제 대학 취업지원부서의 조직 편제상 위치 150
[그림 3-25] 취업지원부서의 편제상 위치 151
[그림 3-26] 취업지원부서 인원증가 추이 152
[그림 3-27] 취업지원기구 직원현황 및 취업지원 전문인력 현황 153
[그림 3-28] 대학설립형태별 취업지원부서 직원 현황 154
[그림 3-29] 대학설립형태별 취업지원부서 직원 현황 154
[그림 3-30] 지역별 센터 내 직원 현황 155
[그림 3-31] 취업지원부서 사업비 예산 추이 a 156
[그림 3-32] 취업지원부서 사업비 예산 추이 b 156
[그림 3-33] 취업지원서비스 재학생 대비 참가 학생 비중 158
[그림 4-1] 릴(Lill) 1 대학 교육체제 166
[그림 4-2] 파리 4-소르본느 대학 교육체제 167
[그림 4-3] 소르본느 대학 진로설정-직업세계진입 서비스 센터 182
[그림 4-4] 미국의 학제 192
[그림 4-5] 영국의 고등교육학위과정 209
[그림 4-6] 기업컴퓨팅 학사학위 교육프로그램 217
[그림 4-7] 캠브리지 대학 진로서비스센터 등록 학생 수 223
[그림 4-8] 일본의 학교 교육제도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