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고등교육의 진로지도 체계 연구

A Study on Career Guidance System in Higher Education
저자
김승보 박태준 신선미 임건주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2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0.31
등록일
2013.04.02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9
제3절 연구의 범위와 개념	14
제2장 고등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지도_23
제1절 고등교육의 보편화 추세와 진로지도	25
제2절 노동시장 이행 환경의 변화와 진로지도	39
제3절 고등교육 진로지도 정책의 도입 배경과 맥락	53
제3장 고등교육의 진로지도 체계 현황과 과제_63
제1절 법률 및 정부정책을 통한 제도 현황	65
제2절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본 현황과 과제	100
제3절 대학 진로서비스 기구의 추진 현황과 과제	132
제4장 고등교육 진로지도 체계 해외 사례_161
제1절 프랑스	164
제2절 미국 	189
제3절 영국	206
제4절 일본 	227
제5장 고등교육의 진로지도 체계 구축 방안_263
제1절 대학의 자율적 실행 방안	265
제2절 국가 수준의 지원 방안	276
SUMMARY_283
참고문헌_287
부록_299
1. 국공립대학의 진로교육 교과목 설치현황	301
2. 사립대학의 진로교육 교과목 설치현황	308
  본 연구는 첫째, 고등교육을 둘러싼 진로교육과 관련한 법률적, 제도적 현황 및 정부정책 추진상황 점검을 통해 고등교육의 진로지도 체계가 차지하고 있는 고등교육의 외부 환경 및 사회제도적 위상을 고찰하고자 하며, 둘째, 대학의 교육과정(커리큘럼, 전공학과 개설 등)의 현황 및 과제 분석을 통해 진로지도 체계의 고등교육 기관 내 위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경력개발센터 등 직접적인 진로서비스 기구의 현황 분석을 통해 이들 기구에 대한 전반적인 역할과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과제 및 정책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하여, 고등교육의 진로지도 체계와 관련한 다양한 해외 사례를 추가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진로개발 및 경력지원 등 진로지도 체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After the government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that the higher education should not only limit the role in academia but also be actively involved in college students’ employment since the late 1990s, they allowed building career service centers in campus in order to provide various career information system and employment capabilities enhancement program. 
  However, overall career education management system, specific curriculum and contexts in Korean higher education are insufficient to support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lso, there are shortfalls in infrastructure and programs which support college students’ career capability development associated with self-management ability and employment abi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presenting the establishment of career guidance system in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and the main points, we analyzed both the change in highe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labor market conditions along with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career guidance since 2003.
  For further analysis of change in higher educational environment,  we looked into the rapid growth of the college enrollment rate since the mid-1990s and confirmed that higher education already became common. Besides the increase of the college enrollment rate, we examined the chang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in higher education such as decreasing school age population because of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
<표 2-1> 학령인구 변화에 따른 고교 졸업자 수 대비 입학정원 수	34
<표 2-2> 대학의 성인 학생 수	34
<표 2-3> 대학유형별 학교 수	36
<표 2-4> 일반대학, 전문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의 연도별 학생 수	36
<표 2-5> 2011년 대학 유형별 졸업자의 진로추이	38
<표 3-1> 고등교육 진로지도 관련 주요 정부정책 내용	75
<표 3-2> 교육역량강화사업 예산 및 지원 현황	76
<표 3-3> 교육역량강화사업의 교육지표 공식(formula): 순위결정	77
<표 3-4> 대학정보공시제에 따른 공시 대상 주요 정보	78
<표 3-5> 대학 자체평가 결과(2009)	80
<표 3-6>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분야	81
<표 3-7>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평가지표(2011)	82
<표 3-8> 대학청년고용센터 설치 현황(2011)	84
<표 3-9> 대학청년고용센터의 주요 기능	84
<표 3-10> 여대생커리어개발 추진 현황	85
<표 3-11> 연도별 산학협력단 설립 현황	87
<표 3-12> 산학협력중점교수 현황	88
<표 3-13> 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연도별 지원 실적	89
<표 3-14> 청년직장체험프로그램의 예산과 인원	90
<표 3-15>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별 사업별 지원 현황 	90
<표 3-16> 창조캠퍼스 연도별 지원 실적	92
<표 3-17> 계약학과 제도의 주요 내용	92
<표 3-18> 연도별 계약학과 개설 현황	93
<표 3-19> 대학기관별 계약학과 개설 현황(2012)	94
<표 3-20> 지역별 계약학과 설치 현황(2012)	94
<표 3-21> 학교기업지원사업 현황	97
<표 3-22> 학교기업 운영 현황	97
<표 3-23> 대학정보공시에 산학협력 관련 추가 항목	98
<표 3-24> 2008년도 교육과학기술부 지원 여대생 특화 진로교육과정 운영 현황(4년제 대학)	104
<표 3-25>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 취업촉진 프로그램 사례(2개 대학)	107
<표 3-26>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의 지원대상이 되는 사업	108
<표 3-27> 취업교과목 분류	109
<표 3-28> 교양과정 및 기타(일반선택) 교육과정 운영방향 및 진로교육 교과목 설치 사례	111
<표 3-29> 진로교육 교과목 설치⋅운영에 관한 전공과정 편성지침 사례	114
<표 3-30> 전공과정에 설치된 진로교육 교과목 사례	115
<표 3-31> 대학자체평가에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평가지표 사례	118
<표 3-32>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전공계열별 진로-취업 교과목 수강경험 비율 비교	124
<표 3-33> 졸업한 4년제 대학유형별 진로-취업 교과목 수강경험 비율 비교	125
<표 3-34> 진로, 취업 관련 교과목이 도움이 된 정도(성별 비교)	126
<표 3-35> 진로, 취업 관련 교과목이 도움이 된 정도(전공계열별 비교)	127
<표 3-36> 진로, 취업 관련 교과목이 도움이 된 정도(대학유형별 비교)	128
<표 3-37>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 및 전문계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교육목표	130
<표 3-38> 진로나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유무	158
<표 4-1> 프랑스 직업학위의 개발	171
<표 4-2> 프랑스 고등교육 학위 분류	173
<표 4-3>사회학 직업석사 2학년(Master professionnel 2)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교원과 현장 전문가	176
<표 4-4> 사회학 석사 1학년(master 1)	177
<표 4-5> 사회학 직업석사 2학년(Master 2)	178
<표 4-6> 사회학 연구석사 2학년(Master 2)	179
<표 4-7> 고용 형태별 석사 졸업생 고용 현황	186
<표 4-8> 미국의 직업 전문학위	198
<표 4-9> 고등교육의 교육목적에 대한 규정	233
<표 4-10> 일본의 직업학위의 개발	234
<표 4-11> 단기대학의 졸업 요건	237
<표 4-12> 전문직대학원과 일반대학원과의 차이(석사과정 기준)	238
<표 4-13> 사회인 기초력의 유형	240
<표 4-14> 학사력 구비에 필요한 교육	242
<표 4-15> 취업기초능력으로서의 기초적, 범용적 능력	243
<표 4-16> 대학에서의 커리어 교육에 대한 대응 유형	244
<표 4-17> 정보 유형으로 본 커리어 교육과 커리어 교육 과목	246
<표 4-18> 2009년도 특별 테마 세미나 실천 과목의 예	247
<표 4-19> 커리어 교육을 위한 교과목의 개설	250
<표 4-20> 인턴십의 흐름	251
<표 4-21> 레포트 작성 요령	252
<표 4-22> 호세대학 커리어 디자인 학부의 교육과정 구조	253
<표 4-23> 세 가지 영역의 과목	254
<표 4-24> 체험형 학습 유형	255
<표 4-25> 커리어 어드바이저의 역할 분담	258
<표 4-26> 호세대학의 커리어 교육 센터의 사업개요	261
[그림 1-1] 고등교육 진로지도의 체계와 범주	16
[그림 1-2] 연구 흐름도	21
[그림 2-1] 학교급간 진학률의 변화	27
[그림 2-2] 주요국의 고등교육 입학률(2009)	27
[그림 2-3] 25세 이상 인구의 학력 구성	28
[그림 2-4] 성인 평균 교육연수 추이의 국가별 비교	29
[그림 2-5] 우리나라와 미국 고등교육의 성인 참여율 비교(2년제 대학)	30
[그림 2-6] 우리나라와 미국 고등교육의 성인 참여율 비교(4년제 대학)	31
[그림 2-7] 가구주의 자녀에 대한 기대교육 수준	32
[그림 2-8] 대학생 대상 학령인구(18~21세) 추이	33
[그림 2-9] 외국인 유학생 수 및 구성 비율	35
[그림 2-10] 국내 산업별 구조 변화	40
[그림 2-11] 인터넷 이용자 수 변화 추이	40
[그림 2-12] 교육수준별 취업자 변화	41
[그림 2-13] 교육수준별 생산인구 추이 및 전망	42
[그림 2-14] 신규 및 경력자 채용 추이	43
[그림 2-15] 비정규직 비율 추이	44
[그림 2-16] 청년층과 전체 인구의 고용률 추이	45
[그림 2-17] 15~29세 청년층 인구규모 및 비중의 변화	46
[그림 2-18] 연도별 진학률 및 취업률	47
[그림 2-19] 편입생 비율과 중도 탈락생 비율 비교	47
[그림 2-20] 청년층의 학교 졸업 후 NEET 인구 비율 추이	48
[그림 2-21] 대학 졸업 후 첫 취업시 취업 소요기간 추이	49
[그림 2-22] 사업체규모별 인력 부족 추이	50
[그림 2-23] 9급 공무원 신규 임용자의 학력 변화	51
[그림 3-1] 고등교육 진로지도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 지원 방식	74
[그림 3-2]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경과	87
[그림 3-3] 연도별 공학인증평가 대학 및 프로그램 현황	96
[그림 3-4] 4년제 대학 졸업자의 대학 재학 기간 중 진로-취업 교과목 수강경험 비율	123
[그림 3-5] 취업전산망 운영여부(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33
[그림 3-6] 전산망 제공 서비스의 성격(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34
[그림 3-7] 취업률 통계, 상담 등 취업지원 DB 관리 현황(4년제 대학)	135
[그림 3-8] 진로 및 취업지원 서비스 운영 현황(대학 재학생 대상)	136
[그림 3-9] 진로 및 취업지원 서비스 참여도(대학 재학생 대상)	136
[그림 3-10] 정보제공 영역 취업지원 항목별 개선 필요 순위(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37
[그림 3-11] 진로 및 취업지원을 위한 상담 운영 현황(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a	138
[그림 3-12] 진로 및 취업지원을 위한 상담 운영 현황(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b	139
[그림 3-13] 진로 및 취업지원을 위한 상담 운영 현황(대학 재학생 대상)	140
[그림 3-14] 진로 및 취업지원을 위한 상담 운영 현황 비교	140
[그림 3-15] 현장연계 취업프로그램 제공 여부(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42
[그림 3-16] 진로 및 취업지원 현장연계 서비스 운영 현황(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42
[그림 3-17] 현장연계 취업프로그램 제공 여부(대학 재학생 대상)	143
[그림 3-18] 진로 및 취업지원 현장연계 서비스 운영 현황(대학 재학생 대상)	144
[그림 3-19] 진로 및 취업지원을 위한 현장연계 서비스 운영 현황 비교	144
[그림 3-20] 특별활동 취업프로그램 제공 여부(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45
[그림 3-21] 진로 및 취업지원 특별활동 서비스 운영 현황(취업지원부서 직원 대상)	146
[그림 3-22] 특별활동 취업프로그램 제공 여부(대학 재학생 대상)	147
[그림 3-23] 진로 및 취업지원 특별활동 서비스 운영 현황(대학 재학생 대상)	147
[그림 3-24] 4년제 대학 취업지원부서의 조직 편제상 위치	150
[그림 3-25] 취업지원부서의 편제상 위치	151
[그림 3-26] 취업지원부서 인원증가 추이	152
[그림 3-27] 취업지원기구 직원현황 및 취업지원 전문인력 현황	153
[그림 3-28] 대학설립형태별 취업지원부서 직원 현황	154
[그림 3-29] 대학설립형태별 취업지원부서 직원 현황	154
[그림 3-30] 지역별 센터 내 직원 현황	155
[그림 3-31] 취업지원부서 사업비 예산 추이 a	156
[그림 3-32] 취업지원부서 사업비 예산 추이 b	156
[그림 3-33] 취업지원서비스 재학생 대비 참가 학생 비중	158
[그림 4-1] 릴(Lill) 1 대학 교육체제	166
[그림 4-2] 파리 4-소르본느 대학 교육체제 	167
[그림 4-3] 소르본느 대학 진로설정-직업세계진입 서비스 센터	182
[그림 4-4] 미국의 학제	192
[그림 4-5] 영국의 고등교육학위과정	209
[그림 4-6] 기업컴퓨팅 학사학위 교육프로그램	217
[그림 4-7] 캠브리지 대학 진로서비스센터 등록 학생 수	223
[그림 4-8] 일본의 학교 교육제도 	22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고등교육의 진로지도체계 연구 2012.01.01~201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