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1차(2004)년도 조사 결과 9
<표 1-2> 2차(2005)년도 조사 결과 9
<표 1-3> 3차(2006)년도 조사 결과 10
<표 1-4> 4차(2007)년도 기존 패널 조사 성공률 10
<표 1-5> 4차(2007)년도 신규 패널 조사 성공률 11
<표 1-6> 4차(2007)년도 가구조사 성공률 11
<표 1-7> 4차(2007)년도 담임, 학교 조사 성공률 11
<표 1-8> 5차(2008)년도 조사 성공률 12
<표 1-9> 6차(2009)년도 조사 성공률 12
<표 1-10> 7차(2010)년도 기존․신규 패널 조사 성공률 13
<표 1-11> 7차(2010)년도 보정 패널 조사 성공률 13
<표 1-12> 8차(2011)년도 기존․신규․보정 패널 조사 성공률 14
<표 1-13> 사업 추진 일정(2012. 1. ~ 2013. 8.) 19
<표 2-1> 7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4년 중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29
<표 2-2> 7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4년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30
<표 2-3> 7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4년 전문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31
<표 2-4> 7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전문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33
<표 2-5> 7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외국어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33
<표 2-6> 7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과학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34
<표 2-7> 7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일반계 고등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36
<표 2-8> 7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전문계 고등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37
<표 2-9> 7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외국어 고등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37
<표 2-10> 7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과학고등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37
<표 2-11> 7차년도 보정패널 추출확률-보정 패널 39
<표 2-12> 7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년제 대학 졸업자)-보정 패널 44
<표 2-13> 7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4년제 대학 졸업자)-보정 패널 44
<표 3-1> 8차(2011)년도 기존․신규․보정 패널 조사 성공률 72
<표 4-1> 응답자 유형별 해당 조사 범주 83
<표 4-2> 조사 대상별 설문지 변화 83
<표 4-3> 한국교육고용패널 설문지(2012) 조사 내용 88
<표 4-4> 2012년도 설문 변경 내역(2011년도 설문 기준) 92
<표 5-1> 9차년도 조사의 지역별 면접원 수와 면접원의 조사 참여 경험 118
<표 5-2> 본 조사 준비사항 122
<표 5-3-1> 표본별 9차년도 KEEP 조사 현황(12월 14일 기준) 126
<표 5-4-1> 지역별 상세 수행 현황-기존 패널(전체 표본) 131
<표 5-4-2> 지역별 상세 수행 현황-신규 패널(전체 표본) 132
<표 5-4-3> 지역별 상세 수행 현황-보정 패널(전체 표본) 132
[그림 2-1] 2년제 대학생 학교 계열 47
[그림 2-2] 4년제 대학생 학교 계열 48
[그림 2-3] 2년제 대학생 시설 자원 만족도 49
[그림 2-4] 4년제 대학생 시설 자원 만족도 49
[그림 2-5] 4년제 대학생 복수전공 이수 여부 50
[그림 2-6] 4년제 대학생 복수전공 이수 이유 51
[그림 2-7] 수업 외 전공 공부 여부 52
[그림 2-8] 전공공부 사교육 경험 52
[그림 2-9] 전공공부 사교육 시간(일주일 평균) 53
[그림 2-10] 전공공부 사교육 비용(월 평균) 54
[그림 2-11] 혼자 전공 공부하는 시간(일주일 평균) 54
[그림 2-12] 여럿이 전공 공부하는 시간(일주일 평균) 55
[그림 2-13] 교내 아르바이트 참여 여부 56
[그림 2-14] 교내 아르바이트 참여 횟수(평균) 56
[그림 2-15] 취업 시 가장 중요한 요소(1순위) 57
[그림 2-16] 구직활동 경험 여부 58
[그림 2-17] 지난 1년간 구직 실패 경험 여부 59
[그림 2-18] 지난 1년간 구직 실패 경험 횟수(평균) 59
[그림 2-19] 취업 준비 경험의 도움 정도 60
[그림 2-20] 일자리 경험(현 일자리 제외) 여부(2009. 7. ~ 2010. 6.) 61
[그림 2-21] 일자리 경험 횟수(2009. 7. ~ 2010. 6.) 62
[그림 2-22] 첫 번째 일자리-일자리 형태 62
[그림 2-23] 인턴 과정 63
[그림 2-24] 첫 번째 일자리-월평균 소득 64
[그림 2-25] 첫 번째 일자리-일주일 총 근로시간 64
[그림 2-26] 영어 공부 경험 65
[그림 2-27] 영어 교육 경험 여부 66
[그림 2-28] 취업, 창업, 직무능력개발 교육․훈련 경험 여부 66
[그림 2-29] 취업, 창업, 직무능력개발 교육․훈련 경험 개수(평균) 67
[그림 2-30] 용돈 액수(월평균) 67
[그림 5-1] 주별 조사 진행률(유효 표본 기준) 127
[그림 5-2-1] 9차년도 조사 전체 수행 상황-기존 패널(전체 표본) 128
[그림 5-2-2] 9차년도 조사 전체 수행 상황-신규 패널(전체 표본) 128
[그림 5-2-3] 9차년도 조사 전체 수행 상황-보정 패널(전체 표본) 129
[그림 5-3-1] 지역별 수행 상황-기존 패널(전체 표본) 130
[그림 5-3-2] 지역별 수행 상황-신규 패널(전체 표본) 130
[그림 5-3-3] 지역별 수행 상황-보정 패널(전체 표본)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