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의 한류관련산업 인력 양성 방안
Manpower Development for Korean Wave Related Industries in Vocational College
- 저자
- 정태화 최동선 장혜정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2-1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10.31
- 등록일
- 2013.01.29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론 10 제3절 용어의 정의 19 제4절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21 제2장 한류관련산업의 효과와 인력 취업 전망_23 제1절 한류의 발전과 경제적 파급효과 25 제2절 한류관련산업의 인력 취업 전망 40 제3절 한류관련학과 운영 현황과 취업인력의 직무 개요 46 제3장 전문대학의 한류관련학과 인력 양성 실태_63 제1절 FGI 적용 개요와 결과 66 제2절 한식조리 분야의 FGI 결과 논의와 시사점 72 제3절 공연예술 분야의 FGI 결과 논의와 시사점 85 제4절 관광 분야의 FGI 결과 논의와 시사점 105 제5절 전문대학 한류관련학과의 SWOT 분석 119 제4장 한국과 주요 국가의 관련 정책 동향_121 제1절 한국 정부의 한류관련산업 지원 정책 현황 124 제2절 주요 국가의 관련 정책 동향 136 제3절 시사점 161 제5장 정부의 지원 정책과 전문대학의 추진 과제_167 제1절 정부의 지원 정책 170 제2절 전문대학의 추진 과제 188 SUMMARY_211 참고문헌_217 부 록_227 1. 집단별 FGI 결과 요약 229 2. 주요 전문대학의 한류관련학과의 교육과정 247 3. 직무분석을 통한 관광안내원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 261 4. 학교기업(한식당) 개설 과정과 교육과정 운영 275 5. 중소기업 계약학과제 287 6. 중소기업 취업청년에 대한 소득세 감면 제도 289 7. 한류관련산업의 인력 개발 및 산학협력 관련 법령 295
본 연구는 한류관련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 분석과 한류산업의 인력 개발에 대한 실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류관련산업에 발전에 부응하는 정부의 지원 정책과 전문대학의 인력 양성 추진 과제를 연구함을 주목적으로 한다.
The Korean-Wave(Hallyu in Korean) is becoming a hot issue in Korea. It refers to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including dramas, movies, and pop musics in Asia and more recently in other countries of the world. The wave has had considerable impacts on the international brand value of Korea as well as on the Korean economy. Many articles and newspapers have reported that Korean cuisine, performance arts including ‘K-pop’(an abbreviation of “Korean popular songs”), and tourism to Korea have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proliferation of the Korean-Wave. Especially, tourism to Kore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spread of the Korean-Wave. Korean vocational colleges has contributed to the outstanding development of the economy by meeting the needs of manpower from industries. They have opened various ‘KWRDs(Korean-Wave Related Departments)’ related to ‘KWRIs(Korean-Wave Related Industries)’ in recent year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KWRIs and KWRDs and exploring policy initiatives of the Government and pending tasks of vocational colleges.
<표 1-1> 전문대학의 대계열별 취업 현황 및 졸업 현황 6 <표 1-2> 한류관련산업 분야에 관한 표준산업분류 20 <표 2-1> 한류의 생산유발효과 36 <표 2-2> 한류의 부가가치유발효과 37 <표 2-3> 한류의 취업유발효과 38 <표 2-4> 한류관련산업 산업별 취업자 전망(한국표준산업 중분류 기준) 42 <표 2-5> 한류관련산업 직업별 취업자 전망(한국고용직업분류 세분류 기준) 44 <표 2-6>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의 외식(한식)조리산업 관련학과 운영 현황 47 <표 2-7>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 외식(한식)조리산업 관련학과의 충원율과 취업률 48 <표 2-8>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의 공연예술산업 관련학과 운영 현황 49 <표 2-9>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 공연예술산업 관련학과의 충원율과 취업률 50 <표 2-10>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의 관광산업 관련학과 운영 현황 51 <표 2-11>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 관광산업 관련학과의 충원율과 취업률 52 <표 3-1> 산업체 관계자 및 전문대학 교수 대상 FGI 질문 문항 67 <표 3-2> 전문대학 졸업 현직근로자 대상 FGI 질문 문항 68 <표 3-3> 정책 담당자 대상 FGI 질문 문항 68 <표 3-4> FGI의 일시 및 참석자 69 <표 3-5> 음식점업 규모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2009년도 기준) 75 <표 3-6>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직업별 취업 분포 77 <표 3-7> 공연시설 및 공연단체 종사자 현황(2010년) 90 <표 3-8> 전문대학에서의 공연예술 분야 인력 양성 현황 91 <표 3-9> 뮤지컬과(전공) 개설 형태에 따른 분류 92 <표 3-10> 문화콘텐츠산업 분야별 인력수요 전망 96 <표 3-11> 전국 뮤지컬관련학과의 주요 교과내용 99 <표 3-12> 관광사업체 학력별 종사자 수 추이 106 <표 4-1> 한식 세계화 추진 전략 로드맵 125 <표 4-2> 일본여행업협회(JATA)의 연수사업 159 <표 4-3> 히로시마(Hospitality) 관광전문학교의 교육과정 160 <표 5-1> 17개 신성장동력산업 분야 178 <표 5-2> 공연예술 관련학과의 산학협력 체제 강화 방안(예시) 202 [그림 1-1] 미래바퀴방법론의 기본적인 접근 모형 13 [그림 1-2] FGI의 진행 절차 14 [그림 1-3] 연구의 추진 절차 18 [그림 2-1] 한류의 발생 지역과 분야 및 효과(예시) 27 [그림 2-2] 미래바퀴방법론을 활용한 한류관련산업의 발전 구도 32 [그림 2-3] 한류의 경제적 효과 산출 방식 34 [그림 2-4] 한류관련산업의 가설적 발전도 40 [그림 3-1] 이 연구에서의 FGI 진행 절차 66 [그림 3-2] 공연예술 장르별 평균 공연 실적(2011) 87 [그림 3-3] 공연예술 분야의 수준별 직종 구조도(안) 88 [그림 3-4] 연도별 공연시장 규모 추이 95 [그림 3-5] 관광수용태세의 핵심 구성요소 113 [그림 3-6] 한류산업학과의 SWOT 분석을 통한 발전 전략 120 [그림 5-1] 전문대학의 한류산업계열 운영도 189 [그림 5-2] 직무분석의 활용 체계 191 [그림 5-3] 학교기업 설치 절차 개요 199 [그림 5-4] 한식조리사 경력 발전 경로 구도(예시) 204 [그림 5-5] 여행안내원 경력 발전 경로 구도(예시) 20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전문대학의 한류관련산업 인력양성 방안 | 2012.01.01~2012.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