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이공계 졸업자들의 전공별 노동시장 성과 분석과 정책과제

Analysis on Labor Market Achievement of Science-Engineering School Graduates by Their Major and Policy Suggestion
저자
황규희 유한구 고병열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0.31
등록일
2013.01.30
요 약
제1장 도 입_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제2절 관련연구 검토와 연구 질문	5
제3절 연구체계	9
제2장 대졸 전공별 생애주기 고용상태변화 분석_13
제1절 분석체계	15
제2절 분석자료와 분석방법	16
제3절 분석결과	21
제4절 시사점	37
제3장 1990년대 중반 이후의 이공계 학과별 글로벌 기술변화       분석_39
제1절 분석체계	41
제2절 분석자료와 분석방법	43
제3절 분석결과	48
제4절 시사점	69
제4장 2000년대 후반 이후의 이공계 대졸자 노동시장성과 분석_71
제1절 분석체계	73
제2절 분석자료와 분석방법	75
제3절 분석결과	86
제4절 시사점	95
제5장 이공계 대학 기술변화 대응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_99
제1절 분석체계: 기술변화 대응성의 노동시장성과	101
제2절 분석모형과 변수특성	102
제3절 분석결과	110
제4절 시사점	115
제6장 이공계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과제_119
제1절 인력양성현황 및 정책현황	121
제2절 정책방향과 정책과제	133
Summary_143
참고문헌_147
  본 연구는 이공계 인력양성 관련 대학특성화에 대한 진단의 성격을 가지며, 부문별 특성화 지표구성의 적정성 및 대학특성화의 방향성, 기술부문별 인력양성 및 관련정책 도출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ecessity of improving curriculum in response to technological changes through the analysis on labor market achievement of science & engineering school graduates by major. This study proposes policy tasks related to HRD improvement of science & engineering majors.
Upon above outlin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raised.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major in the trend of science & engineering graduates' achievement in labor market?
2) How do technological changes by major happen?
3) Is labor market achievement by major related to compatibility and usefulness between job and major? 
4) Is the technological changes by major related to labor market achievement?
  Policy tasks will be explored comprehensively by reviewing the analysis result from these study questions and related HR status and policy status. Analysis related to study questions provide insights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policy tasks and details of them.
<표 2-1>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에 나타난 고등교육 전공 분포	18
<표 2-2> 한국노동패널조사 고등교육 졸업자 학력별 전공 분포	20
<표 2-3> 대졸자 전공계열별 취업상태 변화(1998~2008년)	23
<표 2-4> 연령대에 따른 대졸자 전공계열별 취업 상태(1998~2008년)	28
<표 2-5> 대졸자 일자리 이동에 따른 임금/비임금 전환	35
<표 2-6> 대졸 임금근로자의 비임금 전환에 대한 콕스 모형	36
<표 3-1> 데이터세트의 구조 예시	44
<표 3-2> 학과명과 검색 키워드	46
<표 3-3> 학과별․연도별 논문 수	50
<표 3-4> 연도에 따른 지식증가지수	52
<표 3-5> 학과별 유관 ASJC 코드	53
<표 3-6> 학과별․연도별 타 학문과의 연계도(C)	57
<표 3-7> 연도에 따른 학과별 연계학문 진출지수의 선형회귀 기울기	59
<표 3-8> 11개 학과의 학문연계 및 영역확장 종합	70
<표 4-1> 대졸 3년차 소득자의 월평균임금수준	76
<표 4-2> 이공계 내 세부 전공별 월평균임금수준	76
<표 4-3> 전공별 전공 적합성과 전공 유용성 비율	78
<표 4-4> 전체 학과 대졸 3년차 유효표본 기초통계	82
<표 4-5> 이공계 학과 대졸 3년차 유효표본 기초통계	84
<표 4-6> 2011 이공계 전공별 취업분석자료 기초통계	86
<표 4-7> 신규 취업자(졸업 3년 후) 임금함수 추정	87
<표 4-8> 공학계 신규 취업자(졸업 3년 후) 임금함수 추정	89
<표 4-9> 공학계 신규 취업자(졸업 3년 후)의 전공 적합성 및 전공 유용성 효과	91
<표 4-10> 전공 유용성이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93
<표 4-11> 공학계 내부 전공별 분석표	94
<표 5-1> 분석자료 기초통계량	109
<표 5-2> 다층모형 분석결과 	111
<표 6-1> 대학교육과정의 학점배분	124
<표 6-2>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공학인증기준(2012)	125
<표 6-3> 공학교육인증 현황	126
<표 6-4> 2012년 ‘교육역량강화 지원’ 사업 평가지표	127
<표 6-5> 미국 대학의 설립 유형에 따른 재원확보 현황	137
[그림 1-1] 연구추진체계	8
[그림 2-1] 2장 분석체계	16
[그림 2-2] 20대 대졸자의 전공별 임금근로자 비율	31
[그림 2-3] 30대 대졸자의 전공별 임금근로자 비율	31
[그림 2-3] 40대 대졸자의 전공별 임금근로자 비율	32
[그림 2-4] 50대 대졸자의 전공별 임금근로자 비율	32
[그림 3-1] 전공별 기술변화 분석 과정	42
[그림 3-2] 3장 분석체계	43
[그림 3-3] 각 학과의 연도별 논문 증가 추이	46
[그림 3-4] 학과별 지식증가지수(IPt) 비교	51
[그림 3-5] 시기별 지식증가지수의 변화	52
[그림 3-6] 학과별 연계학문 진출지수(ICt) 비교	58
[그림 3-7] 시기별 연계학문 진출지수 선형회귀 기울기 변화	59
[그림 3-8] 학과별 전략맵	61
[그림 3-9] 화학공학과 유관 ASJC 코드 제외 연도별 순위	62
[그림 3-10] 기계공학과 유관 ASJC 코드 제외 연도별 순위	63
[그림 3-11] 건축공학과 유관 ASJC 코드 제외 연도별 순위	64
[그림 3-12] 전기전자공학과 유관 ASJC 코드 제외 연도별 순위	64
[그림 3-13] 전산공학과 유관 ASJC 코드 제외 연도별 순위	65
[그림 3-14] 지식생산의 공학계열 주도 현상	66
[그림 3-15] 기계, 화공, 전산, 전기전자, 건축 계열의 재료공학분야 진출	67
[그림 4-1] 4장 분석체계	74
[그림 5-1] 5장 분석체계	102
[그림 6-1] OECD 국가의 연령집단별 고등교육 진학률(2009년)	122
[그림 6-2] OECD 국가 이공계 학생 비율	122
[그림 6-3] 전공계열별 초과공급률(2011~2020년)	123
[그림 6-4] 학과별 졸업학점에서 필수전공과목이 차지하는 비율 분포	126
[그림 6-5] 이공계 대학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방향과 기대효과	13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이공계 졸업자들의 전공별 노동시장 성과 분석과 정책과제 2012.01.01~201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