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에 나타난 고등교육 전공 분포 18
<표 2-2> 한국노동패널조사 고등교육 졸업자 학력별 전공 분포 20
<표 2-3> 대졸자 전공계열별 취업상태 변화(1998~2008년) 23
<표 2-4> 연령대에 따른 대졸자 전공계열별 취업 상태(1998~2008년) 28
<표 2-5> 대졸자 일자리 이동에 따른 임금/비임금 전환 35
<표 2-6> 대졸 임금근로자의 비임금 전환에 대한 콕스 모형 36
<표 3-1> 데이터세트의 구조 예시 44
<표 3-2> 학과명과 검색 키워드 46
<표 3-3> 학과별․연도별 논문 수 50
<표 3-4> 연도에 따른 지식증가지수 52
<표 3-5> 학과별 유관 ASJC 코드 53
<표 3-6> 학과별․연도별 타 학문과의 연계도(C) 57
<표 3-7> 연도에 따른 학과별 연계학문 진출지수의 선형회귀 기울기 59
<표 3-8> 11개 학과의 학문연계 및 영역확장 종합 70
<표 4-1> 대졸 3년차 소득자의 월평균임금수준 76
<표 4-2> 이공계 내 세부 전공별 월평균임금수준 76
<표 4-3> 전공별 전공 적합성과 전공 유용성 비율 78
<표 4-4> 전체 학과 대졸 3년차 유효표본 기초통계 82
<표 4-5> 이공계 학과 대졸 3년차 유효표본 기초통계 84
<표 4-6> 2011 이공계 전공별 취업분석자료 기초통계 86
<표 4-7> 신규 취업자(졸업 3년 후) 임금함수 추정 87
<표 4-8> 공학계 신규 취업자(졸업 3년 후) 임금함수 추정 89
<표 4-9> 공학계 신규 취업자(졸업 3년 후)의 전공 적합성 및 전공 유용성 효과 91
<표 4-10> 전공 유용성이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93
<표 4-11> 공학계 내부 전공별 분석표 94
<표 5-1> 분석자료 기초통계량 109
<표 5-2> 다층모형 분석결과 111
<표 6-1> 대학교육과정의 학점배분 124
<표 6-2>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공학인증기준(2012) 125
<표 6-3> 공학교육인증 현황 126
<표 6-4> 2012년 ‘교육역량강화 지원’ 사업 평가지표 127
<표 6-5> 미국 대학의 설립 유형에 따른 재원확보 현황 137
[그림 1-1] 연구추진체계 8
[그림 2-1] 2장 분석체계 16
[그림 2-2] 20대 대졸자의 전공별 임금근로자 비율 31
[그림 2-3] 30대 대졸자의 전공별 임금근로자 비율 31
[그림 2-3] 40대 대졸자의 전공별 임금근로자 비율 32
[그림 2-4] 50대 대졸자의 전공별 임금근로자 비율 32
[그림 3-1] 전공별 기술변화 분석 과정 42
[그림 3-2] 3장 분석체계 43
[그림 3-3] 각 학과의 연도별 논문 증가 추이 46
[그림 3-4] 학과별 지식증가지수(IPt) 비교 51
[그림 3-5] 시기별 지식증가지수의 변화 52
[그림 3-6] 학과별 연계학문 진출지수(ICt) 비교 58
[그림 3-7] 시기별 연계학문 진출지수 선형회귀 기울기 변화 59
[그림 3-8] 학과별 전략맵 61
[그림 3-9] 화학공학과 유관 ASJC 코드 제외 연도별 순위 62
[그림 3-10] 기계공학과 유관 ASJC 코드 제외 연도별 순위 63
[그림 3-11] 건축공학과 유관 ASJC 코드 제외 연도별 순위 64
[그림 3-12] 전기전자공학과 유관 ASJC 코드 제외 연도별 순위 64
[그림 3-13] 전산공학과 유관 ASJC 코드 제외 연도별 순위 65
[그림 3-14] 지식생산의 공학계열 주도 현상 66
[그림 3-15] 기계, 화공, 전산, 전기전자, 건축 계열의 재료공학분야 진출 67
[그림 4-1] 4장 분석체계 74
[그림 5-1] 5장 분석체계 102
[그림 6-1] OECD 국가의 연령집단별 고등교육 진학률(2009년) 122
[그림 6-2] OECD 국가 이공계 학생 비율 122
[그림 6-3] 전공계열별 초과공급률(2011~2020년) 123
[그림 6-4] 학과별 졸업학점에서 필수전공과목이 차지하는 비율 분포 126
[그림 6-5] 이공계 대학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방향과 기대효과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