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시대 HRD 전략
HRD Strategies in the Era of FTA
- 저자
- 최영섭 김철희 이지은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12-1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12.14
- 등록일
- 2013.0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FTA 인재포럼FTA
요 약 제1장 사업의 배경과 목적_1 제1절 사업 배경 및 목적3 제2절 추진 경과4 제2장 사업 개요_7 제1절 기본 방향9 제2절 세부 운영 계획11 1. FTA 인재 포럼 운영 계획11 2. FTA 인재 포럼 연구 위원 회의 운영 계획13 3. 포럼 결과 활용15 제3장 사업 실적_17 제1절 제1회 FTA 인재 포럼19 1. 개최 개요19 2. 1 주제 발표 내용 요약20 3. 2 주제 발표 내용 요약29 4. 토론 내용 요약38 5. 코멘트 시트(Comment sheet) 요지47 제2절 제1회 FTA 인재 포럼 연구 위원 회의53 1. 개최 개요53 2. 1 주제 발표 내용 요약54 3. 2 주제 발표 내용 요약60 4. 토론 내용 요약62 제4장 성과와 향후 개선 방안_65 제1절 성과67 제2절 향후 개선 방안68 1. 중·장기 운영 전략의 세부화68 2. 포럼과 연구 위원 회의 주제의 연계성 강화68 3. 심층 연구 주제의 선정 및 추진68 4. 포럼 위원 및 연구 위원 회의 참가자의 참여 강화69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최근 한국 정부는 주요 국가 및 경제권역과의 광범위하고 동시 다발적인 FTA를 추진 * FTA의 빠른 전개는 한국 사회경제에 새로운 도약의 기회와 사회적 양극화의 위기를 동시에 제기 * 그 핵심으로 지식 기반 경제 글로벌화를 선도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인적 자원 개발의 육성 및 활용 전략이 필요 * 이에 따라 HRD 정책 연구 기관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을 중심으로 FTA와 HRD의 주요 이슈에 대한 정책 포럼(‘FTA 인재 포럼’)을 구성, 운영
<표 3-1> 한국의 FTA 추진 현황 20 <표 3-2> FTA의 추진 동기와 기대 효과 21 <표 3-3> FTA의 산업별 영향 22 <표 3-4> 무역 자유화 지수 추이 23 <표 3-5> 두뇌 유출 현상 29 <표 3-6> 자연 과학계 전공자의 비중 및 인원 추이 32 <표 3-7> 남자 25~34세 경제 활동 참가율 비교 33 <표 3-8> 근로자 1인당 기대 직업 훈련 투자 비용 33 <표 3-9>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 순위 35 <표 3-10> Creative Class 순위 35 <표 3-11> 기체결 FTA로 인한 교역 증대 55 <표 3-12> 기체결 FTA 활용률 분석 56 <표 3-13> 교육 서비스 공급 형태 58 <표 3-14> 인력 이동 형태 59 [그림 3-1] 소득 양극화 심화 22 [그림 3-2] 지역 무역 협정 추이 23 [그림 3-3] 세계 교역량 추이 24 [그림 3-4] 세계 FDI 추이 24 [그림 3-5] OECD 국가 이민 유입 25 [그림 3-6] 국내 교역량 추이 25 [그림 3-7] 국내 외국인 자본 유입 추이 26 [그림 3-8] 국내 유입 인력 추이 26 [그림 3-9] 글로벌화와 인적 자본 27 [그림 3-10] 학습 시간당 수학 점수와 평균 수학 점수 비교(PISA 2009) 31 [그림 3-11] 학생의 취약성 대비 불평등 지표 비교 31 [그림 3-12] 형식 및 비형식 직업 훈련 참여율(2007) 34 [그림 3-13] 주요 국가들 경제 개방도 대비 상호 신뢰도 비교 36 [그림 3-14] 우리나라 FTA 정책의 방향 54 [그림 3-15] FTA의 경제적 효과 55 [그림 3-16] FTA와 교육・노동의 연계성 57 [그림 3-17] FTA 활용 모델 5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FTA 시대 HRD 전략 | 2012.08.15~2012.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