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훈련을 통한 대기업 및 중소기업간 상생협력 방안
A Study on Measures for Collaboration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all & Medium-sized Enterprise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 저자
- 박윤희 서유정 김세종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2-5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11.26
- 등록일
- 2013.03.27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교육훈련중소기업대기업상생협력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내용 5 제3절 연구의 방법 6 제4절 연구 범위 및 제한점 11 제2장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에 관한 이론적 배경_13 제1절 경영 환경의 변화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의 중요성 15 제2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의 개념과 유형 27 제3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에 관한 이론적 관점 32 제4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 지원 정책 및 현황 42 제3장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협력 실태와 교육훈련 협력의 영향 요인 및 성과 분석_57 제1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협력 실태 및 요구 조사 59 제2절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교육훈련 협력의 영향 요인 및 성과 분석 129 제3절 논의 및 시사점 144 제4장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협력 사례 분석_147 제1절 롯데마트와 중소 협력업체의 교육훈련 사례 155 제2절 SK텔레콤과 중소 협력업체의 교육훈련 사례 189 제3절 파리바게뜨와 중소 협력업체의 교육훈련 사례 212 제4절 종합 및 시사점 235 제5장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협력 방안_241 제1절 정책적 과제 243 제2절 기업의 과제 249 SUMMARY_253 참고문헌_255 부록_261 1.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상생협력 현황 263 2. 대기업용 설문 조사지 282 3. 중소기업용 설문 조사지 295
본 연구는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교육훈련 지원 및 협력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협력 체제 구축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협력 체제 추진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 요구 사항을 조사·분석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협력의 영향 요인 및 그 성과를 파악함으로써 중소기업과 대기업 입장에서 교육훈련 협력이 어떠한 성과로 연결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원청업체가 협력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세 개 기업의 사례를 대기업과 중소 협력사를 중심으로 조사·분석하였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emphasized the mutual collaboration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all &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s a major economic policy for increasing competitiveness in business. As a recent trend has been moved from inter-firm competition to network competition including large and small firms, the collaboration between big and small companies should be improved. Then, an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critical in the areas where both companies could benefit from the cooperation. In this sense, education and training is one of vital parts for the business collaboration. However, while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 is generally accepted in practice, there has been little concrete research on investigating the affecting factors and outcomes of collabora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Es. In addition, it is needed to review the collaborative status in te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area including both large companies and SMEs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nonmanu- facturing industry.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olicy measures for large firms and SMEs to enhance collabora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research examined the problems and assessed the needs in the cooperative system of education and training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Es in supply chains.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large and small business cooperation focused on education and training. Moreover, thre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for large business and SMEs in supply chain respectively. To address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employed surveys of large and small business as well as case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enhance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in education and training. The policy measures are suggested for government and large and small business. ...
<표 1-1> 대기업 모집단 현황 7 <표 1-2> 대기업 표본 설계 8 <표 1-3> 중소기업 표본 설계 8 <표 2-1>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을 위한 정부 부처별 상생협력 정책 42 <표 2-2> 정부의 분야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 정책 46 <표 2-3> ‘비즈인포’의 9개 분야 지원 제도 현황 48 <표 2-4> 교육훈련 상생협력 운영 현황 내용 범주화 50 <표 2-5> 제조업 기업 규모별 1인당 부가 가치 생산성 54 <표 2-6>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순이익률 55 <표 3-1> 대기업 조사 대상 기업 현황 및 응답자 특성 60 <표 3-2> 원청업체/협력업체 여부 63 <표 3-3> 구매 비율 1% 이상인 제품/상품에 대한 1차 협력업체 수 64 <표 3-4> 수탁업체(협력업체/하청업체)의 범위 65 <표 3-5> 중소 협력업체에 교육훈련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 66 <표 3-6> 경영진의 중소 협력업체 교육훈련 지원 관심 67 <표 3-7> 중소 협력업체와의 공동의 목표 공유 68 <표 3-8> 중소 협력업체와의 신뢰 관계 구축 중요성 69 <표 3-9> 전담 조직(예: 동반성장 팀 등) 설치 운영 여부 70 <표 3-10> 전담 조직의 이름 70 <표 3-11> 중소 협력업체와 교육훈련 협력 시행 여부 71 <표 3-12> 교육훈련을 지원하지 않는 이유 72 <표 3-13> 1차 협력업체에 대한 교육훈련 지원 방법(중복 응답) 73 <표 3-14> 1차 협력업체에 대한 교육훈련 지원 내용(중복 응답) 74 <표 3-15> 1차 협력업체에 대한 교육훈련 지원 정도 75 <표 3-16> 2차 협력업체에 대한 교육훈련 지원 정도 76 <표 3-17> 협력업체와 실시하는 교육훈련 형태(형식적/ 무형식적 형태) 77 <표 3-18> 대기업에서 중소협력사와 동반성장을 하기 위해 중시하는 부분 78 <표 3-19> 중소 협력사와 교육훈련 협력의 가장 큰 성과 81 <표 3-20> 교육훈련 협력 시 어려움(중복응답) 82 <표 3-21> 대기업 측면에서 개선 및 보완되어야 할 사항 84 <표 3-22> 중소 협력사 측면에서 개선⋅보완되어야 할 사항 85 <표 3-23> 정부 측면에서 개선⋅보완되어야 할 사항 86 <표 3-24> 중소기업 조사 대상 기업 현황 및 응답자 특성 88 <표 3-25> 원청업체/협력업체 여부 91 <표 3-26> 거래하고 있는 원청업체 92 <표 3-27> 거래하고 있는 원청업체 수 93 <표 3-28> 원청업체와 거래 단계에서의 위치 94 <표 3-29> 위탁업체에 납품하는 제품 유형 (중복 응답) 95 <표 3-30> 원청업체로부터의 교육훈련 지원 필요성 96 <표 3-31> 주 원청업체의 교육훈련 지원 97 <표 3-32> 원청업체 경영진의 교육훈련 지원 관심 98 <표 3-33> 원청업체와 공동의 목표 공유 99 <표 3-34> 원청업체가 신뢰 관계 구축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 100 <표 3-35> 원청업체와 교육훈련 협력 시행 여부 101 <표 3-36> 교육훈련 협력을 하지 않는 이유 101 <표 3-37> 주 원청업체의 교육훈련 지원 방법(중복응답) 102 <표 3-38> 주 원청업체의 교육훈련 지원 내용(중복응답) 103 <표 3-39> 동종 업종의 경쟁사와 비교 시, 주 원청업체의 자사에 대한 교육훈련 지원 정도 105 <표 3-40> (자사가 유통업 이외의 원청업체인 경우) 동종 업종의 경쟁사와 비교 시, 자사의 협력업체에 대한 교육훈련 지원 정도 106 <표 3-41> 원청업체와 실시하는 교육훈련 형태(형식적/무형식적 형태) 107 <표 3-42> 원청업체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회사에서 중시하는 부분 108 <표 3-43> 원청업체와 교육훈련 협력의 가장 큰 성과 111 <표 3-44> 원청업체와 교육훈련 협력 시 어려움(중복 응답) 113 <표 3-45> 중소기업(본사) 측면에서 개선⋅보완되어야 할 사항 114 <표 3-46> 대기업(원청업체) 측면에서 개선⋅보완되어야 할 사항 115 <표 3-47> 정부 정책 측면에서 개선⋅보완되어야 할 사항 117 <표 3-48> 기업규모에 따른 교육훈련 협력의 인식 차이 119 <표 3-49> 기업 규모(대기업/중소기업)에 따른 교육훈련 지원 정도 121 <표 3-50> 대기업 및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지원 방법 비교 122 <표 3-51>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교육훈련 지원 내용 비교 123 <표 3-52> 교육훈련 협력의 성과에 대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인식 차이 125 <표 3-53> 동반성장을 하기 위해 가장 중시하는 부분 응답 비교 126 <표 3-54> 교육훈련 협력의 어려움 응답비교 127 <표 3-55> 설문 조사를 위한 조사 도구 내용(위탁 모기업: 대기업) 133 <표 3-56> 설문 조사를 위한 조사 도구 내용(중소기업) 134 <표 3-57>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 지수 135 <표 3-58> 연구 변인별 평균 및 표준편차와 변인 간 상관관계 139 <표 3-59>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140 <표 4-1> 사례 조사 분석 틀: 대기업용 149 <표 4-2> 사례 조사 분석 틀: 중소기업용 151 <표 4-3> 사례 조사 인터뷰 참여자 정보 154 <표 4-4> 중소 협력사와 거래하고 있는 상품의 개요 156 <표 4-5> 중소협력사와 거래하고 있는 상품의 개요 190 <표 4-6> SK 텔레콤의 교육훈련 지원 프로그램 192 <표 4-7> 파리바게뜨의 교육훈련 지원 프로그램 216 <표 4-8> 가맹점의 특별 교육 참여 현황 221 <표 4-9> 기업별 교육훈련 협력 실태 236 <표 4-10> 기업별 교육 협력 사례의 특징 237 [그림 1-1]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 10 [그림 2-1] 경제활동의 조직 구조 35 [그림 2-2] 동반성장 추진 시 중점 정책 51 [그림 2-3] 동반성장 추진 시 대기업의 애로 사항 52 [그림 2-4]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노력 체감점수 조사(대기업 응답) 53 [그림 3-1] 대기업에서 중소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중시하는 부분 79 [그림 3-2] 대기업에서 중소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중시하는 부분(기업규모별) 80 [그림 3-3] 대기업에서 중소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중시하는 부분(업종별) 80 [그림 3-4] 교육훈련 협력의 가장 큰 성과(기업규모별/업종별) 82 [그림 3-5] 중소기업에서 원청업체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중시하는 부분 109 [그림 3-6] 중소기업에서 원청업체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중시하는 부분(기업 규모별) 109 [그림 3-7] 중소기업에서 원청업체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중시하는 부분(업종별) 110 [그림 3-8] 원청업체와 교육훈련 협력의 가장 큰 성과(기업 규모별/업종별) 112 [그림 3-9] 기업 규모에 따른 대기업의 교육훈련 협력에 대한 인식 120 [그림 3-10] 기업 규모에 따른 대기업의 교육 지원 정도 인식 121 [그림 3-11] 대기업 및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방법 비교 123 [그림 3-12] 대기업 및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지원 내용 비교 124 [그림 3-13] 동반성장을 하기 위해 중시하는 부분 127 [그림 3-14] 교육훈련 협력 시 어려움 128 [그림 3-15]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교육훈련 협력의 영향 요인 및 성과에 관한 연구 모형 132 [그림 3-16] 대기업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142 [그림 3-17] 중소기업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143 [그림 4-1] 공동 개발 상품에 대한 판매 마케팅 지원 현황_ ‘손큰’브랜드 상품의 예 163 [그림 4-2] 1등 대기업 상품 매출을 추월한 중소 협력사와의 공동 개발 상품 168 [그림 4-3] SK텔레콤 협력사의 교육훈련 만족도 197 [그림 4-4] 파리바게뜨의 교육과정 215 [그림 4-5] 파리바게뜨의 SRP 추진 과정 22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교육훈련을 통한 대기업 및 중소기업간 상생협력 방안 | 2012.05.01~2012.11.26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