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2012)

A Study on Korea
저자
한상근 박천수 정윤경 장혜정 김나라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3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2.31
등록일
2013.02.18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제2절 연구방법과 연구범위6
 제3절 연구의 제한점11

제2장 선행 연구 및 연구방법론_13
 제1절 국내외 선행 연구15
 제2절 한국의 직업지표 조사방법29
 제3절 조사결과의 타당성 41
 제4절 FGI 실시방법47

제3장 한국의 직업지표_49
 제1절 종합 직업지표51
 제2절 영역별 직업지표56
 제3절 주요 영역 간 교차비교70
 제4절 10년 후의 직업 전망83
 제5절 소결112

제4장 직종별 특성 분석_115
 제1절 경영지원 및 사회서비스직118
 제2절 판매 및 개인서비스직152
 제3절 엔지니어·건설·생산·농림어업 관련직167
 제4절 소결180

제5장 노동시장 특성 분석_183
 제1절 직업별 핵심역량186
 제2절 기업별 직무특성과 직업206
 제3절 학력과 직업228
 제4절 감정노동248

제6장 유망직업과 신생직업_259
 제1절 여성 유망직업261
 제2절 고령자 유망직업275
 제3절 신생직업288

제7장 정책 제언_301
 제1절 노동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303
 제2절 유망직업과 신생직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325

SUMMARY_333

참고문헌_339

부 록_349
 1. 한국의 직업지표 개발을 위한 조사 설문지351
 2. 세분류 직업별 응답자 수359
 3. 정규고용 과소 추정 및 과대 추정 직업(2011-2012)367
 4.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핵심역량 평균 비교371
 5. 양성평등과 일자리수요, 고용의질, 일·가정양립이 평균 이상인 상위 직업375
 6. 여성재취업가능성과 일자리수요, 고용의 질, 일·가정양립이 평균 이상인 상위 직업381
 7. 고령자재취업가능성 평균이상 세분류 직업387
  본 연구의 목적은 1) 직업별 취업자 수, 임금 등과 같은 수량화된 정보뿐만 아니라, 직업의 안정성이나 전문성, 발전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국민들에게 제시하려고 한다. 2) 향후 10년 후 시점의 직업지표를 산출하고, 미래 직업전망을 제시하여 국민들의 직업선택을 지원하려고 한다. 3)고졸 이하 학력자, 여성과 고령자가 취업 가능한 직업 분야를 발굴하고 관련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4) 기업별 직무특성, 감정노동, 직업별 핵심역량 등 새로운 직업의 연구 분야를 개척하여 우리나라 노동시장과 인력양성체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Occupational index, which is the data provided quantitatively after regularly researching attributes of occupations, is to support Koreans in their job selection, and to provide job experts with basic data for their study on occupations.
  The Korean occupational index is divided into basic one and applied one. Occupational index research supports job selection of Koreans, who agonize over their career selec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such as an overview for actual state of occupations, job prospects for the next ten years, good jobs for women or the elderly, occupations that those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or lower can get, and new occupations. ...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6
제3절 연구의 제한점	11
제2장 선행 연구 및 연구방법론_13
제1절 국내외 선행 연구	15
제2절 한국의 직업지표 조사방법	29
제3절 조사결과의 타당성 	41
제4절 FGI 실시방법	47
제3장 한국의 직업지표_49
제1절 종합 직업지표	51
제2절 영역별 직업지표	56
제3절 주요 영역 간 교차비교	70
제4절 10년 후의 직업 전망	83
제5절 소결	112
제4장 직종별 특성 분석_115
제1절 경영지원 및 사회서비스직	118
제2절 판매 및 개인서비스직	152
제3절 엔지니어․건설․생산․농림어업 관련직	167
제4절 소결	180
제5장 노동시장 특성 분석_183
제1절 직업별 핵심역량	186
제2절 기업별 직무특성과 직업	206
제3절 학력과 직업	228
제4절 감정노동	248
제6장 유망직업과 신생직업_259
제1절 여성 유망직업	261
제2절 고령자 유망직업	275
제3절 신생직업	288
제7장 정책 제언_301
제1절 노동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303
제2절 유망직업과 신생직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	325
SUMMARY_333
참고문헌_339
부   록_349
1. 한국의 직업지표 개발을 위한 조사 설문지	351
2. 세분류 직업별 응답자 수	359
3. 정규고용 과소 추정 및 과대 추정 직업(2011-2012)	367
4.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핵심역량 평균 비교	371
5. 양성평등과 일자리수요, 고용의질, 일․가정양립이 평균 이상인 상위 직업	375
6. 여성재취업가능성과 일자리수요, 고용의 질, 일․가정양립이 평균 이상인 상위 직업	381
7. 고령자재취업가능성 평균이상 세분류 직업	38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2012) 2012.01.01~201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