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년 (재)취업 여성의 직장 적응 실태와 정책과제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Issues of Middle-aged Female Workers with Career Break
저자
최영섭 이영민 윤형한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5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2.30
등록일
2013.03.14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재취업 여성경력단절 여성중년 여성직장 적응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연구 방법	13
제3절 용어의 정의	17
제4절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17
제2장 여성 경력 단절의 최근 특징_19
제1절 경력 단절 현상 관련 기존 연구 검토	21
제2절 여성 노동 시장의 특징과 경력 단절	30
제3장 직장 적응 관련 이론 및 중년 (재)취업 여성 조사 설계_61
제1절 직장 부적응에 대한 이론적 검토	63
제2절 중년 (재)취업 여성 조사 설계	73
제4장 중년 (재)취업 여성의 직장 적응 실태_87
제1절 기초 분석	89
제2절 현재 일자리 현황	93
제3절 중년 (재)취업 여성의 직장 적응 실태	103
제4절 직장 부적응 원인 등에 대한 회귀 분석	132
제5절 구직 활동 및 취업 지원 서비스	144
제6절 현재와 과거 일자리 비교	148
제7절 정책 수요	164
제5장 기업의 중년 (재)취업 여성 활용 실태_167
제1절 기초 분석	169
제2절 중년 여성의 취업 역량	179
제3절 중년 여성 인력의 직장 적응 실태	181
제4절 인사 제도 및 조직 문화	191
제5절 향후 계획 및 정책 수요	194
제6장 중년 여성과 기업의 직장 갈등 및 적응 인식 차이_197
제1절 중년 여성의 직장 내 갈등 상황 인식 비교	199
제2절 중년 여성의 직장 내 갈등 상황이 미친 결과	202
제3절 갈등의 원인	205
제4절 해결책의 효과성 인식 차이	206
제7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_209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211
제2절 정책적 시사점	212
SUMMARY_217
참고문헌_223
부    록_231
  본 연구는 중년 (재)취업 여성의 직장 적응을 위한 본격적 정책 대안 모색에 앞서 기초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초 탐색적 연구의 성격을 가진다. 특히, 본 연구는 과거 직장 경력의 유무를 막론하고, 중년 이후 노동 시장에 새로 취업하거나 재진입하는 경우, 모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중년 여성의 노동 시장 정착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 방안 모색이 보다 포괄적이고 입체적일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 adjustment situation of middle-aged women who are (re-)entering the labor market after long break of job career and may be experiencing conflicts in the process of their settlement in the new workplace. Most of previous studies about female labor market have focused on the causes and the impact of ‘career interruptions’ of female workers pointing out the social and personal problems caused by the withdrawal of married female workers due the burden of housekeeping and child-raising.   However, another important issue except preventing such withdrawal of female workers is how to encourage the return or new entrance of middle-aged female workers who are out of the labor market for a while and to help them smoothly settle down in the new working environmen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basic information on workplace adaptation status of  middle-aged (re-) employed women. Based on that information, several policy proposals were suggested as the ways of improving the labor market adaptation process of middle-aged female workers. ...
<표 1-1> 연령대별 경제 활동 참가율의 직전 연령대 대비 증감	6
<표 1-2> 여성의 실업률 추이	7
<표 1-3> 선행 연구 대비 본 연구의 차별성	11
<표 1-4> 연구 표본	16
<표 2-1> 성별 경제 활동 상태 변화 추이	31
<표 2-2> 성별, 연령별 경제 활동 상태 차이 변화	32
<표 2-3> 성별, 연령별 주요 취업 산업의 비중	33
<표 2-4> 성별, 연령대별 주요 취업 직업의 비중	36
<표 2-5> 성별, 연령대별 산업과 직업의 집중도 차이	38
<표 2-6> 성별, 연령대별 근속 기간 분포	39
<표 2-7> 근속 기간별 분포에서 남녀별 차이(남자-여자)	40
<표 2-8> 성별에 따른 근로 시간의 차이(남자-여자)	41
<표 2-9> 근로 시간대별 구성비의 남녀별 차이	42
<표 2-10> 성별에 따른 비경제 활동의 사유	43
<표 2-11> 여성의 연령에 따른 비경제 활동의 사유	44
<표 2-12> 여성의 학력에 따른 비경제 활동의 사유	47
<표 2-13> 여성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별 구성비	48
<표 2-14> 여성 취업자 특성에 따른 종사상 지위별 구성비	49
<표 2-15> 비정규직 여성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별 구성비	51
<표 2-16> 경력 단절 여성의 규모	53
<표 2-17> 경력 단절 여성의 경력 단절 사유	53
<표 2-18> 여성 취업에 대한 인식	54
<표 2-19> 여성 취업 적절 시기	55
<표 2-20> 여성의 직업 선택 요인	56
<표 2-21> 경력 단절 여성이 직장을 그만둔 시기	57
<표 2-22> 경력 단절 여성의 직장 경력(근무 기간)	58
<표 2-23> 경력 단절 여성 중 취업 희망 여성	58
<표 3-1> 재취업 여성 대상 설문 조사 구조	79
<표 3-2> 기업 담당자 대상 설문 조사 구조	85
<표 4-1> 응답자의 지역, 연령, 학력별, 결혼 여부 분포	90
<표 4-2> 응답자의 연령대별 자녀 수와 자녀 연령 및 보육 현황	91
<표 4-3> 응답자의 배우자 및 가구 재무 현황	92
<표 4-4> 현재 일자리 업종	94
<표 4-5> 현재 일자리 직종	95
<표 4-6> 현재 일자리 직무	96
<표 4-7> 현재 일자리 직급/직책	97
<표 4-8> 현재 일자리 고용 상태	98
<표 4-9> 현재 일자리 사업장 규모	99
<표 4-10> 현재 일자리 월급	100
<표 4-11> 현재 일자리_선택 이유(1+2+3순위)	101
<표 4-12> 현재 일자리 취업 시 장애 요인(1+2+3순위)	102
<표 4-13> 현재 일자리 부합 정도(종합 평가)	104
<표 4-14> 연령별, 학력별 현재 일자리 부합 정도(5점 척도)	104
<표 4-15> 업종, 직급/직책, 직무에 따른 현재 일자리 부합 정도(5점 척도)	105
<표 4-16> 고용 형태에 따른 현재 일자리 부합 정도(5점 척도)	106
<표 4-17> 기업 규모, 월급, 과거 일 경험 유무에 따른 현재일자리 부합 정도(5점 척도)	106
<표 4-18> 현재 일자리 만족도(종합 평가)	108
<표 4-19> 연령, 학력별 현재 일자리 만족도(5점 척도)	109
<표 4-20> 업종별 현재 일자리 만족도(5점 척도)	110
<표 4-21> 직급/직책별 현재 일자리 만족도(5점 척도)	111
<표 4-22> 직무별 현재 일자리 만족도(5점 척도)	112
<표 4-23> 근로 형태별 현재 일자리 만족도(5점 척도)	112
<표 4-24> 기업 규모별 현재 일자리 만족도(5점 척도)	113
<표 4-25> 임금, 과거 일 경험 유무별 현재 일자리 만족도(5점 척도)	114
<표 4-26> 직장 부적응 경험 빈도	116
<표 4-27> 연령, 학력별 직장 부적응 경험(5점 척도)	117
<표 4-28> 업종별 직장 부적응 경험(5점 척도)	118
<표 4-29> 직무별 직장 부적응 경험(5점 척도)	119
<표 4-30> 직급/직책별 직장 부적응 경험(5점 척도)	119
<표 4-31> 고용 상태별 직장 부적응 경험(5점 척도)	120
<표 4-32> 기업 규모별 직장 부적응 경험(5점 척도)	121
<표 4-33> 월급 및 과거 일 경험 유무에 따른 직장 부적응 경험(5점 척도)	121
<표 4-34> 직장 부적응 상황이 미친 결과	122
<표 4-35> 직장 부적응 원인	123
<표 4-36> 직장 부적응 해결 노력 여부	124
<표 4-37> 직장 부적응에 대한 구체적 해결 노력 경험	125
<표 4-38> 개선 노력의 효과	126
<표 4-39> 개선 노력의 비효과 이유	127
<표 4-40> 향후 일자리 계획	128
<표 4-41> 이직 의도에 따른 직장 부적응 형태(5점 척도)	129
<표 4-42> 현재 일자리 퇴사 이유(향후 퇴사 이유) 1+2+3순위	130
<표 4-43> 직장 부적응 발생 여부에 대한 프로빗 분석 결과(전체 표본)	133
<표 4-44> 직장 부적응 발생 여부에 대한 프로빗 분석 결과(과거 일자리 경험 표본)	136
<표 4-45> 직장 부적응 정도에 대한 Ordered Probit 분석 결과	138
<표 4-46> 부적응 개선 노력의 효과 정도에 대한 Ordered probit분석 결과	140
<표 4-47> 이직 의사에 대한 프로빗 분석 결과	142
<표 4-48> 현재 일자리 구직 경로	144
<표 4-49> 직업 교육 훈련 경험	145
<표 4-50> 직업 상담·취업 상담 경험	146
<표 4-51> 직업 상담·취업 상담 비경험 이유	147
<표 4-52> 사후 관리 경험	147
<표 4-53> 중년 여성의 과거 일자리 유무 및 일반 현황	148
<표 4-54> 중년 여성의 과거 경력	149
<표 4-55> 과거 일자리 퇴사 이유(1+2+3순위)	150
<표 4-56> 과거 일자리를 그만둔 후 재취업에 걸린 시간	152
<표 4-57> 과거 업종 * 현재 업종 교차표	153
<표 4-58> 과거 직종 * 현재 직종 교차표	154
<표 4-59> 과거 주요 업무 * 현재 주요 업무 교차표	155
<표 4-60> 과거 직급 * 현재 직급 교차표	156
<표 4-61> 과거 종사상 지위 * 현재 종사자 지위 교차표	157
<표 4-62> 과거 근로 시간 형태 * 현재 근로 시간 형태 교차표	157
<표 4-63> 과거 기업 규모 * 현재 기업 규모 교차표	158
<표 4-64> 과거 월급 * 현재 월급 교차표	159
<표 4-65> 과거 일자리 부합 정도_적성, 교육 수준, 업무 능력	159
<표 4-66> 과거 일자리 부합 정도 평균	160
<표 4-67> 과거와 현재 일자리 부합도	161
<표 4-68> 중년 여성의 연령에 따른 과거와 현재 일자리 일치수준 차이	162
<표 4-69> 중년 여성의 학력에 따른 과거와 현재 일자리 일치수준 차이	163
<표 4-70> (재)취업 여성을 위한 국가, 기업, 기관의 지원 요구사항	165
<표 5-1> 응답 기업의 일반적 특징	170
<표 5-2> 기업의 인력 채용 현황	171
<표 5-3> 중년 여성 인력의 학력 수준	172
<표 5-4> 중년 여성 인력 채용 이유(중복 응답)	173
<표 5-5> 중년 여성 인력 하루 평균 근무 시간	173
<표 5-6> 중년 여성 인력의 평균 월급	174
<표 5-7> 중년 여성 인력 채용 시 고려 요인(%)	175
<표 5-8> 중년 여성 인력 구인 채널(중복 응답,(%))	176
<표 5-9> 중년 여성 인력 담당 업무(1+2+3순위)	176
<표 5-10> 중년 여성 인력의 고용 형태	177
<표 5-11> 향후 3개월 내 중년 여성 인력 채용 계획	178
<표 5-12> 향후 3개월 내 중년 여성인력 채용 규모	178
<표 5-13> 채용 시 필요 역량, 취약 역량, 차이	179
<표 5-14> 2010년 이후 신규 채용 중년 여성 인력 평균 재직 기간	182
<표 5-15> 중년 여성 인력의 주요 퇴사 이유(1순위+2순위+3순위)	183
<표 5-16> 중년 여성 인력의 직장 생활 갈등 경험 빈도	184
<표 5-17> 기업 특성에 따른 중년 여성 인력의 직장 생활 갈등경험	185
<표 5-18> 중년 여성 인력 직장 갈등이 미친 결과	185
<표 5-19> 기업 특성에 따른 중년 여성 인력 직장 갈등이 미친결과	186
<표 5-20> 중년 여성 인력 직장 갈등 경험 이유(중복 응답)	187
<표 5-21> 중년 여성 인력 직장 갈등 해결 노력 경험	188
<표 5-22> 중년 여성 인력 직장 갈등 구체적 해결 노력 경험	188
<표 5-23> 중년 여성 인력 갈등 해결 노력이 미친 성과	189
<표 5-24> 기업 특성에 따른 중년 여성 인력 갈등 해결 노력이미친 성과	190
<표 5-25> 중년 여성 인력과 일반 근로자 경쟁력 비교	191
<표 5-26> 인사 관리 시스템의 유무	192
<표 5-27> 기업의 일․가정 양립 제도와 사용 여부	193
<표 5-28> 향후 중년 여성 인력 채용 비율 확대 계획	194
<표 5-29> 중년 여성 인력의 채용 유지를 위한 우선 과제(1+2+3순위)	195
<표 5-30> 여성 인력 고용 확대 정책의 인지, 사용, 효과성	195
<표 5-31> 여성 인력 정착을 위한 기업이나 국가 차원에서의주요 과제	196
<표 6-1> 대상별 중년 여성의 직장 내 갈등 상황 발생 인식 비교	200
<표 6-2> 대상별 중년 여성의 직장 내 갈등이 미친 영향	203
<표 6-3> 대상별 중년 여성의 직장 내 갈등의 원인 인식	205
<표 6-4> 대상별 갈등 해결 노력의 효과성 인식	207
[그림 1-1] 경제 활동 참가율 추이	4
[그림 1-2] 여성의 연령대별 고용률 추이	5
[그림 1-3] 비경제 활동 여성 규모의 연령대별 추이	8
[그림 3-1] 직업적응모형(Dawis & Lofquist, 1984)	69
[그림 3-2] 개인차원의 직업적응 유형(Dawis & Lofquist, 1984)	70
[그림 3-3] 중년 (재)취업 여성의 직장적응에 대한 이론적 틀	73
[그림 5-1] 중년 여성의 채용 시 필요 역량과 취약 역량의 차이	181
[그림 6-1] 대상별 중년 여성의 직장 내 갈등 상황 발생 인식 차이	201
[그림 6-2] 대상별 중년 여성의 직장 내 갈등 상황 발생 빈도 차이	202
[그림 6-3] 대상별 중년 여성의 직장 내 갈등이 미친 결과 인식차이	204
[그림 6-4] 대상별 중년 여성의 직장 내 갈등이 미친 결과 빈도 수준	204
[그림 6-5] 대상별 중년 여성의 직장 내 갈등의 원인 인식	206
[그림 6-6] 대상별 갈등 해결 노력의 효과성 인식	207
[그림 6-7] 대상별 갈등 해결 노력의 효과 정도	20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중년 (재)취업 여성의 직장 적응 실태와 정책과제 2012.08.01~2012.12.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