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 고등학교 발전 방안 연구
New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s
- 저자
- 강성원 옥준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0-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0.08.30
- 등록일
- 2000.08.30
연구 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방법 5 4. 연구의 제한 9 Ⅱ. 특성화 고등학교 제도의 개요 11 1. 특성화 고등학교의 도입 배경과 개념 11 2. 특성화 고등학교의 법적 근거 18 3. 특성화 고등학교의 유형과 교육 특징 31 Ⅲ. 특성화 고등학교의 현황과 운영 실태 및 문제점 35 1. 특성화 고등학교의 현황 35 2. 특성화 고등학교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 42 Ⅳ. 특성화 고등학교의 발전에 대한 요구 분석 63 1.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 학생 및 학부모들의 요구 63 2.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요구 108 3. 논의 및 시사점 126 Ⅴ. 특성화 고등학교의 발전 방안 131 1. 특성화 고등학교 발전의 기본 방향 131 2. 특성화 고등학교의 운영 내실화 방안 134 3. 특성화 고등학교의 발전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방안 146 Ⅵ. 요약 및 제언 153 참고 문헌 157 ABSTRACT 161 부 록 167 [부록 1] 특성화 고등학교에 관한 요구 조사 설문지 169 [부록 2]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 운영 사례 203
본 연구는 기존의 고등학교와 구별되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 운영 실태 및 현안 문제, 관계자들의 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분석하여 성공적인 고등학교의 유형으로 정착·발전하도록 하기 위한 발전 방안으로서 학교 운영 내실화 방안과 행·재정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policy guidelines in establishing a new type of school which is expected to be a good drive of Korean secondary education development. The following were the main topics of the study. First, a summarized understanding of the new type of school and the foundational theory on the related educational aspects were collected by means of interview, questionnaire and research. Next, introductory reasoning was sought for along with reviews on the related concepts and legal aspects. Reviews on the new school types and other educational features were pointed out. We then reported a current status of these schools and identified operational issues regardi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se schools. A needs analysis were performed to better understand the ideal future view that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have on the school. Finally, we sought to establis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for the purpose of assuring future prosper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especially by boosting their willingness to achieve a high level of effectiveness. Various methods were adopted and used to verify these study targets. We organized various articles on the subject, reviewed several literatures and documents on the subject and conducted interviews and surveys through questionnaires. ...
<표 Ⅰ- 1> 조사 대상 중학교 3학년 학생 현황 7 <표 Ⅰ- 2> 설문지 회수 현황 9 <표 Ⅱ- 1> 특성화 고등학교와 특수 목적 고등학교의 비교 17 <표 Ⅱ- 2>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 목적 및 운영에 관한 법적 근거 22 <표 Ⅱ- 3> 교사(校舍) 기준 면적 23 <표 Ⅱ- 4> 체육장 기준 면적 24 <표 Ⅱ- 5> 교실 내부 환경 기준 25 <표 Ⅱ- 6> 특성화 고등학교의 모형 33 <표 Ⅲ- 1>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운영 현황 36 <표 Ⅲ- 2> 설립자별, 시도별 특성화 고등학교 현황 39 <표 Ⅲ- 3>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 시 개편 현황 40 <표 Ⅲ- 4> 특성화 고등학교의 학생 현황 41 <표 Ⅲ- 5>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사례 45 <표 Ⅲ- 6>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공 과정제 운영 계획 47 <표 Ⅲ- 7> 특성화 고등학교 분반 수업 시 교사 수급표 사례 48 <표 Ⅲ- 8> 특성화 고등학교의 시설 현황 사례 49 <표 Ⅲ- 9> 특성화 고등학교의 실험?실습 기자재 현황 사례 50 <표 Ⅲ-10> 신설 특성화 고등학교의 실험?실습실 확보 계획 사례 50 <표 Ⅲ-11> 특성화 고등학교의 산학협력 사례 52 <표 Ⅲ-12> 제주 지역 특성화 고등학교의 설치 학과 53 <표 Ⅲ-13> 특성화 고등학교의 학교 헌장 내용 체제 비교 55 <표 Ⅲ-14> 특성화 고등학교의 졸업 능력 인증제 시행 계획 사례 56 <표 Ⅲ-15> 특성화 고등학교의 관광종합공원 시설 사례 57 <표 Ⅲ-16>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공 관련 동아리 활동 사례 59 <표 Ⅳ- 1> 특성화 고등학교의 입학 동기 64 <표 Ⅳ- 2> 자녀의 특성화 고등학교 진학을 허락한 이유 64 <표 Ⅳ- 3> 자녀의 특성화 고등학교 진학을 허락한 것에 대한 판단 65 <표 Ⅳ- 4> 특성화 고등학교 입학 결정 66 <표 Ⅳ- 5>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정보 획득원 67 <표 Ⅳ- 6> 재지원 기회가 주어진다면 재지원할 의사가 있는지의 여부 68 <표 Ⅳ- 7> 재지원하지 않으려는 이유 68 <표 Ⅳ- 8> 특성화 고등학교의 입학 지원율 69 <표 Ⅳ- 9> 입학 지원율이 정원을 초과하여 높았던 이유 70 <표 Ⅳ-10> 입학 지원율이 정원에 미달하여 낮았던 이유 70 <표 Ⅳ-11> 소질과 적성에 맞는 학생들의 입학 정도 71 <표 Ⅳ-12>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 중점에 대한 교사의 의견 72 <표 Ⅳ-13>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 중점에 대한 학부모의 의견 72 <표 Ⅳ-14> 고등학교 교육의 대안 가능성에 대한 의견 74 <표 Ⅳ-15> 전환된 특성화 고등학교의 면모 75 <표 Ⅳ-16> 특성화 고등학교로의 전환의 타당성 76 <표 Ⅳ-17> 특성화 전문 분야의 인력 수요 조사 및 직무 분석 77 <표 Ⅳ-18>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문 분야 설정 77 <표 Ⅳ-19> 보통 교과와 전문 교과의 바람직한 비중 78 <표 Ⅳ-20> 보통 교과와 전문 교과의 통합 운영 79 <표 Ⅳ-21>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권 80 <표 Ⅳ-22> 보통 교과 교육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80 <표 Ⅳ-23> 보통 교과 교육의 방향 81 <표 Ⅳ-24> 전문 교과 교육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82 <표 Ⅳ-25> 전문 교과 교육의 방향 82 <표 Ⅳ-26> 교육부에서 개발한 전문 교과서가 없는 경우 현재의 사용 실태 83 <표 Ⅳ-27> 전문 교과서의 개발 84 <표 Ⅳ-28> 특성화된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주로 적용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 85 <표 Ⅳ-29> 학교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85 <표 Ⅳ-30> 산업체 경력자의 교직 문호 개방에 대한 교사의 의견 86 <표 Ⅳ-31> 산업체 경력자에 대한 교직 문호 개방을 반대하는 이유 87 <표 Ⅳ-32>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희망에 따른 발령 여부 88 <표 Ⅳ-33>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희망에 따른 선발?발령에 대한 의견 88 <표 Ⅳ-34> 국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장기 근무에 대한 의견 89 <표 Ⅳ-35> 산업체 겸임 교사와 강사의 활용 여부 89 <표 Ⅳ-36> 산업체 겸임 교사와 강사의 활용에 대한 도움 정도 90 <표 Ⅳ-37> 산업체 겸임 교사와 강사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 91 <표 Ⅳ-38> 특성화 교육을 위한 별도의 교사 연수를 경험했는지의 여부 91 <표 Ⅳ-39> 교사 연수의 주관 기관 92 <표 Ⅳ-40> 특성화 교육을 위해 받은 교사 연수의 내용 93 <표 Ⅳ-41> 특성화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의 필요성 93 <표 Ⅳ-42> 특성화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사 연수의 내용 94 <표 Ⅳ-43> 보통 교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특성화 교사 연수의 필요성 95 <표 Ⅳ-44> 특성화 교육을 위한 실험?실습 시설 및 설비의 보유 정도 96 <표 Ⅳ-45> 특성화 고등학교의 시설 및 설비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96 <표 Ⅳ-46> 특성화 고등학교 재정 확보 방안 97 <표 Ⅳ-47> 입학금 및 수업료의 자율 책정에 대한 의견 98 <표 Ⅳ-48> 특성화 고등학교에 우선적으로 부여되어야 할 자율 권한 99 <표 Ⅳ-49> 2년제 전문대학 과정의 병설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의견 99 <표 Ⅳ-50> 2년제 전문대학 과정의 병설 운영에 찬성하는 이유 100 <표 Ⅳ-51> 2년제 전문대학 과정의 병설 운영에 반대하는 이유 101 <표 Ⅳ-52> 2년제 전문대학 과정의 병설 운영 시 진로 결정에 대한 의견 102 <표 Ⅳ-53> 관련 분야의 전문대학이나 4년제 대학과의 연계 운영 103 <표 Ⅳ-54>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생의 대학 진학 대책에 대한 의견 103 <표 Ⅳ-55> 우수 특성화 고등학교 선정 사업의 추진에 대한 교사의 의견 104 <표 Ⅳ-56> ‘특성화고등학교교육협의회(가칭)’의 설립에 대한 교사의 의견 105 <표 Ⅳ-57> 특성화 고등학교의 발전을 위하여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 106 <표 Ⅳ-58> 학생의 학교 생활 만족도 107 <표 Ⅳ-59>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 후의 진로 108 <표 Ⅳ-60> 중학교 졸업 후의 진로 결정 여부 109 <표 Ⅳ-61> 중학교 졸업 후의 진로 결정 여부 110 <표 Ⅳ-62> 졸업 후의 진로 결정 시 누구의 영향이 가장 크게 작용했는지에 대한 의견 111 <표 Ⅳ-63> 중학교 졸업 후 진로 결정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학교 성적별) 112 <표 Ⅳ-64> 중학교 졸업 후 진로 결정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소재지별) 113 <표 Ⅳ-65> 학교에서의 진로 지도에 대한 만족도 113 <표 Ⅳ-66> 학교에서의 진로 정보 제공에 대한 만족도(성별) 114 <표 Ⅳ-67> 학교에서의 진로 정보 제공에 대한 만족도(소재지별) 114 <표 Ⅳ-68> 중학교 생활에 대한 만족도 115 <표 Ⅳ-69>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지 여부 116 <표 Ⅳ-70>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정보의 획득 경로 117 <표 Ⅳ-71>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선호도(성별) 117 <표 Ⅳ-72>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선호도(소재지별) 118 <표 Ⅳ-73>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선호하는 이유 119 <표 Ⅳ-74>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선호하지 않는 이유 120 <표 Ⅳ-75> 중학교 졸업 후에 특성화 고등학교에 지원할 의사가 있는지의 여부 121 <표 Ⅳ-76> 지원하고 싶은 특성화 고등학교 122 <표 Ⅳ-77> 특성화 고등학교에 지원하고자 하는 이유 124 <표 Ⅳ-78>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알고 싶은 의사가 있는지의 여부(소재지별) 125 <표 Ⅳ-79>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알고 싶은 의사가 있는지의 여부(학교 성적별) 125 <표 Ⅳ-80>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지원할 의사가 전혀 없는 이유 126 [그림 Ⅱ-1] 특성화 고등학교의 설립 절차 26 [그림 Ⅱ-2] 특성화 고등학교의 유형 32 [그림 Ⅴ-1] 특성화 고등학교의 발전적인 운영 모형 133 [그림 Ⅴ-2] 단일형 특성화 고등학교 135 [그림 Ⅴ-3] 복합형 특성화 고등학교 136 [그림 Ⅴ-4]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모형 13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특성화 고등학교 발전 방안 연구 | 2000.03.01~2000.08.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