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인사제도에서의 기술·기능 장려 방안 연구
Developmental Model for Skill & Function Encouragement in th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 저자
- 서준호 김수원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0-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0.12.31
- 등록일
- 2000.10.31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2 3. 연구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고찰 5 1. 기업의 인사제도와 기술·기능의 장려 5 2. 기업의 성과 배분제도 46 Ⅲ. 기능장려 및 성과 배분제도에 관한 실증 분석 67 1. 조사대상 및 설문구성 67 2. 표본 특성의 분류 70 3. 기업의 인사제도 현황 조사 73 4. 기능장려 현황 분석 77 5. 성과 배분제도 현황 분석 88 Ⅳ. 기술·기능을 장려하는 인사제도 99 1. 기술·기능 장려를 위한 인사제도 개선 100 2. 바람직한 성과 배분제도 모델 111 3. 기대 효과 122 Ⅴ. 결론 및 제언 125 1. 결론 125 2. 제언 126 참고문헌 133 ABSTRACT 137 부록 141
본 연구는 기업에 있어 기술이나 기능장려가 얼마만큼 중요시되고 있으며, 실제 기술·기능장려를 위해 기업이 어떠한 방안들을 이용하고 있는지 살펴보며, 이러한 기술적 문화구조하에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방안으로서 성과 배분제도의 실태 상황을 분석하여, 기술·기능 장려를 발전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인사제도의 모델을 탐구·개발하고, 이러한 모델이 정착될 수 있는 사회적 지원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업에 있어 기술·기능직 종업원에 대한 인사제도의 현황을 임금 측면, 승진 측면 등에서 조사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실시되는 성과 배분제도의 도입 실태와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업의 기술·기능장려를 위한 모델 개발의 방법으로 성과 배분제도를 통한 생산성, 기술 향상의 방안 탐구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During many companies in korea experience industrial steps, their skill level progress and blue-color employee contribute to them. but company's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developed for the white-color employees. Especially, Economic growth background in the korean companies is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is needed to labor pow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how much important the skill & function encouragement in the korean companies and what methods is used for the skill & function encouragement in korean companies. Under the skill-centered cultural structure, a gain sharing plan as a productivity increase means in the field is investigated. Follow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kill & function encouragement model and to explore the social support. To carry out this study, first, corporate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and recent corporate human resource management trends and problems were investigated. Second, government's skill & function encouragement is investigated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korean companies as a case study is examined to encourage skill & function. Third, this research explored the various gain sharing plan's literature studies and searched for the gain sharing plan fitted to the korean companies Forth, this study investigated compensation and promotion of the corporate human resource management through the company survey. Also, we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skill & function encouragement and gain sharing.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d gain sharing model and design process as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model which is based on the literature studies and empirical study results. ...
<표 Ⅰ-1> 설문지의 배포 및 회수 현황 4 <표 Ⅱ-1> 기업의 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문제점과 대응과제 6 <표 Ⅱ-2> 기업의 기술환경의 변화에 따른 문제점과 대응과제 7 <표 Ⅱ-3> 기업의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른 문제점과 대응과제 8 <표 Ⅱ-4> 경제활동인구중 상용?임시?일용근로자의 비중 12 <표 Ⅱ-5> 사업체 규모별 노사분규 추이 13 <표 Ⅱ-6>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 추이 14 <표 Ⅱ-7> 생산직과 사무직의 호봉표 구분 19 <표 Ⅱ-8> 제조업 생산(기능)직과 관리사무직의 임금비교 20 <표 Ⅱ-9> 생산직 월급제 도입 이유 24 <표 Ⅱ-10> 생산직 월급제의 장단점 28 <표 Ⅱ-11> 정부의 명장, 우수지도자, 기능장려 우수사업체 선정 현황 29 <표 Ⅱ-12> 기능장려기금 조성 및 계획 액수 30 <표 Ⅱ-13> 국내 기능경기대회 현황 34 <표 Ⅱ-14> 국제 기능올림픽대회 현황 35 <표 Ⅱ-15> 국가기술자격 검정 현황 37 <표 Ⅱ-16> 직급체계 전환 내용 41 <표 Ⅱ-17> S사의 직급체계 41 <표 Ⅱ-18> 능력고과 평가 항목 44 <표 Ⅱ-19> 기술?기능인력 채용시 서류전형 및 배점 기준 46 <표 Ⅱ-20> 성과 배분제도의 유형 51 <표 Ⅱ-21> 집단 성과 배분제도의 유형별 주요 비교 59 <표 Ⅱ-22> 우리 나라 기업의 성과 배분제도 도입 실태 65 <표 Ⅲ-1> 기업체용 설문지의 구성 68 <표 Ⅲ-2> 종업원용 설문지의 구성 69 <표 Ⅲ-3> 조사 대상 기업의 업종 70 <표 Ⅲ-4> 조사 대상 기업의 상용근로자 수 71 <표 Ⅲ-5> 조사 대상 기업의 노조 유무 71 <표 Ⅲ-6> 조사 대상 종업원의 인구 통계적 분류 72 <표 Ⅲ-7> 생산직(기술/기능직)의 년간 정기 승진 회수 73 <표 Ⅲ-8> 생산직의 사무직으로의 전환 74 <표 Ⅲ-9> 생산직(기술/기능직)의 임금 지불 형태 75 <표 Ⅲ-10> 생산직의 호봉표 76 <표 Ⅲ-11> 생산직(기술/기능직)의 기본급 체계 76 <표 Ⅲ-12> 기업체의 기능장려 활용 방안 77 <표 Ⅲ-13> 자격취득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수당 지급) 효과 79 <표 Ⅲ-14> 사내 및 사외 직업교육/훈련 효과 79 <표 Ⅲ-15> 채용 및 인사제도상 자격증 소지자 우대 효과 80 <표 Ⅲ-16> 기술자격에 대한 가점 부여 효과 81 <표 Ⅲ-17> 사내/사외 기능경기대회 개최 및 입상 효과 81 <표 Ⅲ-18> 산학협동체제 구축 효과 82 <표 Ⅲ-19> 작업환경의 개선 및 안전 효과 83 <표 Ⅲ-20> 기능자격소지자 우대 항목 84 <표 Ⅲ-21> 자격보유자에 대한 자격증 인정 개수 85 <표 Ⅲ-22> 인정해 주는 자격의 결정 85 <표 Ⅲ-23> 기업체의 자격증 획득을 위해 회사 지원 86 <표 Ⅲ-24> 기능장려를 통한 효과(기업체) 86 <표 Ⅲ-25> 기능장려를 통한 효과(종업원) 87 <표 Ⅲ-26> 조사 기업의 성과 배분제도 도입현황 98 <표 Ⅲ-27> 성과 배분제도 도입 동기 89 <표 Ⅲ-28> 성과 배분제도의 제안자 89 <표 Ⅲ-29> 성과 배분제도 시행시기 90 <표 Ⅲ-30> 성과 배분제의 기준 91 <표 Ⅲ-31> 성과 배분제도의 유형 91 <표 Ⅲ-32> 성과 배분 지급 형태 92 <표 Ⅲ-33> 성과 배분제도를 통한 효과 93 <표 Ⅲ-34> 성과 배분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94 <표 Ⅲ-35> 신뢰성 분석 95 <표 Ⅲ-36> 성과 배분제도 실시?미실시 기업간 동기 부여 수단성, 유의성, 기대의 차이 분석 96 <표 Ⅲ-37> 성과 배분제도 실시?미실시 기업간 동기 부여의 차이 분석 97 <표 Ⅲ-38> 성과 배분제도 실시?미실시 기업간 직무 몰입의 차이 분석 98 <표 Ⅲ-39> 성과 배분제도 실시?미실시 기업간 직무 만족의 차이 분석 98 <표 Ⅳ-1> 직급과 직책의 분리 방안 101 <표 Ⅳ-2> 직능자격제도의 기본 틀과 특징 및 기대 효과 105 <표 Ⅳ-3> 인사 고과제도의 개선 방안 108 <표 Ⅳ-4> 성과 배분제도 설계시 고려 요인 114 <표 Ⅳ-5> 성과 배분제도 실시를 위한 성과측정 기준(산식) 119 <표 Ⅳ-6> 성과 배분제도를 통한 기대 효과 123 [그림 Ⅱ-1] 산업 대분류별 정규직의 고용동향 12 [그림 Ⅱ-2] 생산직의 압핀형 직급(인력) 구조 16 [그림 Ⅱ-3] 신인사제도의 구성 17 [그림 Ⅱ-4] 신인사제도의 틀 40 [그림 Ⅱ-5] 기본급 체계 개선 43 [그림 Ⅱ-6] 공통급과 능력급의 비율 43 [그림 Ⅱ-7] 직군체계도 45 [그림 Ⅳ-1] 승격 기준의 설정방법 102 [그림 Ⅳ-2] 직능자격제도의 관리과정 104 [그림 Ⅳ-3] 성과 배분제도의 모형 112 [그림 Ⅳ-4] 성과 배분제도의 실시과정 11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기업 인사제도에서의 기술·기능 장려 방안 연구 | 2000.03.01~2000.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