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소제조업의 인력구조와 직업교육훈련수요

The Manpower Structure and the Demand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저자
김형만 김철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0-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2.31
등록일
2000.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질문	2
     3. 연구 내용 및 방법	3
     4. 연구 범위	5
Ⅱ. 중소제조업 직업교육훈련수요 분석의 논거	7
     1. 직업교육훈련수요의 개념 정립	7
     2. 직업교육훈련의 이론적 논거	13
     3. 시장실패와 정부개입의 문제	29
     4. 직업교육훈련수요 분석의 준거	33
Ⅲ. 중소제조업의 특성과 직업교육훈련	37
     1. 우리 나라 중소제조업의 특성	37
     2. 중소제조업의 노동시장 특성	44
     3. 중소제조업의 직업교육훈련 실태 및 제도	55
     4. 중소제조업 직업교육훈련의 제약 요인	65
Ⅳ. 중소제조업 직업교육훈련수요의 실태분석	67
     1. 실태분석의 준거 및 개요	67
     2. 섬유산업	70
     3. 금속산업	84
     4. 기계산업	103
     5. 전기전자산업	116
     6. 실태분석 결과의 종합	134
Ⅴ. 중소제조업 직업교육훈련 촉진 방안	145
     1. 직업교육훈련의 부진 원인	145
     2. 직업교육훈련참여 촉진의 논거	147
     3. 직업교육훈련참여 촉진 방안	150
Ⅵ. 결 론	163
참고문헌	165
ABSTRACT	171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제조업의 인력난 해결 및 생산성 향상의 수단인 직업교육훈련수요를 파악·분석함으로써 중소제조업이 고용하고 있는 근로자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교육훈련의 내용과 유형을 제시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중소제조업에서 인적자원개발에 필요한 직업 교육훈련의 촉진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demand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industry, in which VET is a major channe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also to identify the content and type of training most suitable in enhancing the vocational skills of workers employ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f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Based on these findings, new directives are laid out for the promotion of VET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n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firms.
  In order to analyze the VET demand in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principles of corporate behavior must first be examined in detail. It can be expected, then, that the three main factors that constrain the demand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se firms are limitations in the financial market, production market, and the labor market.
...
<표 Ⅲ-1> 중소제조업 총괄	38
<표 Ⅲ-2> 주요국의 중소제조업 현황	39
<표 Ⅲ-3> 약속어음 교환 및 부도액 추이	40
<표 Ⅲ-4> 제조업의 재무지표	41
<표 Ⅲ-5> 매출액 증가율	42
<표 Ⅲ-6> 제조업 규모별 부가가치생산성 추이 한?일 비교	43
<표 Ⅲ-7> 중소제조업의 사업체 수(1998)	44
<표 Ⅲ-8> 중소제조업 종사자 수(1998)	45
<표 Ⅲ-9> 기업규모별 학력 분포	46
<표 Ⅲ-10> 제조업 생산관련직 기능정도별?규모별 근로자 비율	47
<표 Ⅲ-11> 제조업의 입직률?이직률(1996~1998)	48
<표 Ⅲ-12> 기업규모별 입직경로 분포	49
<표 Ⅲ-13> 연도별 연평균 기업규모별 임금총액 추이	50
<표 Ⅲ-14> 사업체 규모별 인력부족률 추이	52
<표 Ⅲ-15> 중소제조업 인력부족 현황	53
<표 Ⅲ-16> 중소제조업의 인력난 원인	54
<표 Ⅲ-17> 중소제조업의 비정규직 활용 사유	55
<표 Ⅲ-18> 근로자 교육훈련 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 여부	56
<표 Ⅲ-19> 훈련을 통하여 습득한 숙련이 다른 기업에서 활용도	57
<표 Ⅲ-20> 직원 교육훈련 프로그램 미운영 이유	59
<표 Ⅲ-21> 기준외 훈련의 지원금 지원률	61
<표 Ⅲ-22> 사업주에 대한 직업능력개발훈련비용 지원	63
<표 Ⅲ-23> 재직근로자에 대한 지원	64
<표 Ⅳ-1> 섬유 3사의 인력구조	73
<표 Ⅳ-2> 기능직 사원의 직급별 승격 소요년수와 보임 자격요건(안)	92
<표 Ⅳ-3> 기업의 특성과 숙련수준별 인력구성	136
<표 Ⅴ-1> 구조화된 현장훈련의 실행 체계	154

[그림 Ⅰ-1] 연구의 분석틀	4
[그림 Ⅳ-1] A사의 염색공장 공정도	76
[그림 Ⅳ-2] 제직공장 공정도	78
[그림 Ⅳ-3] D사의 주물공장 공정도	87
[그림 Ⅳ-4] 용접 와이어 및 용접봉 생산공정도	93
[그림 Ⅳ-5] 열처리 공정도	97
[그림 Ⅳ-6] 금형 프레스 공정도	101
[그림 Ⅳ-7] H사의 선박내장용 관의 생산 공정도	106
[그림 Ⅳ-8] I사의 생산공정도	110
[그림 Ⅳ-9] J사의 Intake Manifold Assembly 생산공정도	115
[그림 Ⅳ-10] K사의 컴퓨터 모니터 생산 생산공정	120
[그림 Ⅳ-11] L사의 산업용 CPU 생산 공정도	126
[그림 Ⅳ-12] M사의 전기제어 설비제작 공정도	13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중소제조업의 인력구조와 직업교육훈련 수요 2000.03.01~2000.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