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인적자본 스톡(Stock) 측정 연구(Ⅰ)

Accounting for the Stock of Human Capital(Ⅰ)
저자
이남철 이의규
분류정보
기본연구(2000-1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2.31
등록일
2000.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방법	5
	4. 연구의 범위	7
Ⅱ. 이론적 분석	9
	1.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인적자본 개념	9
	2. 경제성장이론에서의 인적자본	21
	3. 기존의 인적자본 저량 측정방법 분석	28
Ⅲ. 노동소득을 이용한 인적자본 저량 측정 	53
	1. Mulligan과 Sala-i-Martin의 모형 분석	53
	2. Mulligan과 Sala-i-Martin의 실증분석 결과	63
Ⅳ. 인적자본 저량 측정을 위한 계량적 분석 모형 도출	71
	1. 기존 노동소득을 이용한 인적자본 저량 측정 연구의 문제점	71
	2. 인적자본 저량 측정 모형 개발  	72
	3. 노동소득의 결정 요인 분석	76
V. 요약  및 향후 연구 추진 방안	91
	1. 요약 	91
	2. 향후 연구 추진 방안	95
참  고  문  헌	97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사용된 국내·외 인적자본 저량 측정 방법 및 실증 분석을 심도 있게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1962년부터 1998년까지 우리 나라의 인적자본 저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적인 분석틀을 제시함으로써 인적자본 저량 측정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Human capital has been proxied in several studies by years of schooling, educational attainment, and literacy rates.  Years of schooling so widely used in human capital estimates that utilize both aggregate data and micro data.  There are two reasons that come to mind immediately.  
  First, years of schooling is a useful indicator of capital accumulation.  Particularly when there are no other readily available measures-either for individuals or with economy wide time series. Particularly, in cross-country comparisons, years of schooling is often the only feasible measure.  Second, there is a theoretical argument that indicators that years of schooling is a measure of the stock of human capital under a reasonable set of assumptions.  However, years of schooling is far from a perfect measure of the stock of human capital.  First, estimates of the returns to schooling are sensitive to the correct specification of investment costs, but the overall conclusions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schooling are robust.  Second, schooling produces only a part of the stock of capital.  Some economists estimated that investment in on-the-job training produces 39 percent of the human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can be a useful tool for comparing one feature of the human capital stock.  However, they have several drawbacks: first, because completion of schooling does not certify a consistent set of skills; second, because it ignores less formal learning; third, because skills can depreciate, and fourth, because it can be hard to compare attainment by economic category.  
  Literacy rates give an indication of educational mobility between generations, which has a bearing both on equality of opportunity and the prospect of improving overall human capital stock.  Literacy is a stock variable, but it involves important empirical problems; for instance, it does not account for the contribution of higher levels of education which tend to be crucial to productivity increases and, therefore, to aggregate economic growth.
...
<표 II- 1> 우리나라 지식 관련 지표의 상대지수 	17
<표 Ⅱ- 2> 주요국의 지식기반 경쟁력 지표	19
<표 Ⅱ- 3> 인적자본회계 제도의 도입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20
<표 Ⅱ- 4> 전통적 성장이론 대 내생적 성장이론 비교	24
<표 Ⅱ- 5> 지역별 학력 추세	30
<표 Ⅱ- 6>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의 평균 교육저량 수준과 성장	37
<표 Ⅱ- 7> 성인 인구(25-64세)의 학력 측정 국제 비교	40
<표 Ⅱ- 8> 고등학교 졸업인구 비율	41
<표 Ⅱ- 9> 대학 졸업자의 연령별 인구 비율	42
<표 Ⅱ- 10> 능력평가 수준별 실업자 비율(비경제활동인구 포함), 1994	44
<표 Ⅱ- 11> 노동의 질적 지수	48
<표 Ⅱ- 12> OECD 정보?지식기반의 개선을 위한 과제 및 역할	51
<표 Ⅲ- 1> 미국 각 주별 노동 소득에 기초한 인적자본(로그)	64
<표 Ⅲ- 2> 지역별 노동 소득에 기초한 인적자본(로그)	65
<표 Ⅲ- 3> 평균 교육년수(로그)	67
<표 Ⅲ- 4> 지역별 평균 교육년수(로그)	68
<표 Ⅲ- 5> 미국의 학력(1940-1990)	69
<표 Ⅳ- 1> 취업자의 분류 기준 	82
<표 Ⅳ- 2> 취업자 수를 추출한 통계자료	83
<표 Ⅳ- 3> 노동시간 및 임금을 추출한 통계자료	85
<표 Ⅳ- 4> 성별?연령?계층별 경제활동인구 전망(1995-2020)	87
<표 Ⅳ- 5> 노동 투입지수 전망(1995-2000)	88

[그림 Ⅱ- 1] 경제 성장의 국제적 비교 	23
[그림 Ⅲ- 1] 지역별 노동소득에 기초한 인적자본 	65
[그림 Ⅲ- 2] 지역별 평균 교육년수 	6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적자본의 스톡(Stock) 측정 연구 2000.03.01~200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