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 관련 법규의 국제비교연구

Comparative Research on VET-Related Laws and System
저자
최영호 홍선이 고혜원
분류정보
기본연구(2000-1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2.20
등록일
2000.12.20
연구요약
Ⅰ. 서  설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Ⅱ. 영국의 직업교육훈련	9
	1. 개관	9
	2. 직업교육	24
	3. 직업훈련	32
	4. 평생학습	50
	5. 직업교육훈련 법제	56
Ⅲ. 결   어	67
	1. 우리나라 직업교육훈련의 현황과 문제점	67
	2. 영국제도의 시사점	103
참 고 문 헌	109
ABSTRACT	113
  본 연구는 국제비교연구를 통하여 우선 외국의 제도와 정책을 이해하고, 나아가 그들의 정책경험을 벤치마킹함으로써 우리 제도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United Kingdom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the responsibility of employers and labors. But after the Industrial Training Act in 1964, this was changed into tripartite system. In 1995 DfEE had been made, and now Labor government headed by Blaire stresses 'Welfare-to-Work', continuing to pursue the decentraliz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e focu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olicy in these days is to activate the training market which is leaded by employers and labors. 
  The vocational education in Britain is classified into one in  pre-16-year-old compulsory secondary education and the other in post-16-year-old compulsory secondary education. In this level, the vocational education is provided by comprehensive schools, technology colleges, and city technology colleges. Post-compulsory secondary education is accomplished in sixth-form colleges, and further education institutions. Lots of further education institutions provide post-16 students with liberal education as well as vocational education.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Britain government published the green paper, the Learning Age in 1998, which included new ways of lifelong learning such as UfI(Unversity for Industry), and ILA(Individual Learning Accounts). UfI is for the purposes of making a wide range learning demands, and includes 'Learning Direct' to offer useful learn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re is IiP(Investors in people), which links the management strategy with training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uch stronger.    
  Among the vocational training is the initial training, which is for the young people except high school students and those who take trainings of NVQ 3 level or over, in the age of 16-to-19. For those youngsters there are WBTYP(work based training for young people) such as Modern Apprenticeship, the National Traineeship, and Youth Training. The finance of  Modern Apprenticeship is provided by TEC according to the industry and training form, and the qualification of it is about 900 NVQs.
...
<표 Ⅰ-1> 제1차 직업교육훈련기본계획에 나타난 정책방향 및 정책방안	2
<표 Ⅰ-2> 유럽국가의 최근 직업교육훈련제도의 변화	3
<표 Ⅰ-3> 직업교육훈련의 법적 기준	6
<표 Ⅰ-4> 유럽 국가에서의 훈련 규제의 유형 분류	8
<표 Ⅱ-1> 직업교육훈련 재정의 흐름	16
<표 Ⅱ-2>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정기적 공공지출 (잉글랜드)	18
<표 Ⅱ-3> 직업경험: 사업비용과 참여학생 수	28
<표 Ⅱ-4> 양성훈련을 위한 재정의 흐름: 계속교육, 학교, 현장훈련	37
<표 Ⅱ-5> 뉴딜 예산 (1998-1999)	48
<표 Ⅱ-6> 성인현장훈련에서의 점수	49
<표 Ⅲ-1> 고등교육구성 현황	68
<표 Ⅲ-2> 학졸 신규 취업자의 추이 및 학력별 구성	69
<표 Ⅲ-3> 청년층 인구의 추이	70
<표 Ⅲ-4> 실업계 고등학교의 계열별 입학생 미달 현황	71
<표 Ⅲ-5> 실업계 고교, 전문대학, 산업대학,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	73
<표 Ⅲ-6> 졸업 후 희망 진로: 실고생	73
<표 Ⅲ-7> 진학 희망대학: 실고생	73
<표 Ⅲ-8> 전공과 직업의 일치도(1996)	74
<표 Ⅲ-9> 실업계 고등학생의 실업계열 선택 이유 	75
<표 Ⅲ-10> 일반고 및 실업고의 교과과정 비교	76
<표 Ⅲ-11> 교육부 예산 중 직업교육예산 구성 변화 추이(’95~’99)	78
<표 Ⅲ-12> 교육부예산중 학생 1인당 직업교육 예산 구성 변화 추이(’95~’99)	78
<표 Ⅲ-13> 직업교육훈련기관별 1인당 평균 교육훈련비	79
<표 Ⅲ-14> 실업계 고등학교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 현황(’99. 3. 1현재)	80
<표 Ⅲ-15> 일반대학과 산업대학의 주요 교육시설 학생 1인당 점유면적 	81
<표 Ⅲ-16> 일반대학과 산업대학의 교원 1인당 학생 수 비교	81
<표 Ⅲ-17> 서울산업대와 일반대의 비교	82
<표 Ⅲ-18> 설립별 직업교육기관 및 학생 수 	82
<표 Ⅲ-19> 직업교육기관 학생 1인당 교육비 및 납입금 수준(’99)	83
<표 Ⅲ-20> 일반고?실업고 재학생 및 졸업생의 가정 배경	86
<표 Ⅲ-21> 훈련기관 설립 현황 	88
<표 Ⅲ-22> 직업훈련 관련 정부사업의 종류	89
<표 Ⅲ-23> 1999년도 직업훈련 실적	90
<표 Ⅲ-24> 총노동비용중 직업훈련비의 비율 	91
<표 Ⅲ-25>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사업 사업별 지원실적	92
<표 Ⅲ-26> 1999년도 직업능력개발사업 추진실적	93
<표 Ⅲ-27>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사업 산업별 지원실적	94
<표 Ⅲ-28> 훈련의 질 관리제도 	95
<표 Ⅲ-29> 이해당사자의 역할 우위(새로운 역할분담의 기준) 	102

[그림 Ⅱ-1] 영국의 교육고용부 조직도	12
[그림 Ⅱ-2] 직업 자격과 학문 자격과의 관계	2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 관련 법규의 국제비교 연구 2000.03.01~200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