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학력과잉에 따른 노동시장 불균형 실태분석

The Impact of Overeducating on the Labor Market in Korea
저자
김주섭 이상준
분류정보
기본연구(2000-1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2.31
등록일
2000.12.31
연구요약
I. 서  론	1
II. 학력별 노동시장과 학력불일치	5
	1. 학력별 노동시장의 특성	5
	2. 학력불일치 개관	16
III. 우리 나라 학력과잉의 실태	21
	1. 학력과잉의 정의와 원인 	21
	2. 선행연구 분석 	28
	3. 분석방법	32
	4. 우리 나라 학력과잉의 실태	36
	5. 실증분석	55
	6. 기업체 실태조사	64
I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69
참 고 문 헌	75
Abstract	77
  본 연구에서는 직종과 학력간의 불일치 문제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직종과 전공간의 불일치 문제는 언급하지 않는다. 전공과 직업간의 일치문제는 동일한 학력에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어느 직종에서 요구하는 학력이 대졸이면서 컴퓨터 관련 업무라면 같은 동일학력의 인문계 졸업생의 경우는 전공불일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서 노동력 수급불균형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문제는 후속연구로 넘기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status of overeducation, and to verify the social inefficiency by job mismatch. Also, we intended to make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this study, we adapted three different methods. First, we used objective method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job mismatch. We merged the 「Occupational Workers Survey」 with 「Occupational Dictionary」 by occupation group, so that we could get th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job match in Korea. Second, we performed firm survey to investigate firms' behavior for overeducated workers. Third, we performed empirical study to verify the impact overeducation on the labor market in Korea.
  Employment elasticity by school attainment in Korea shows that more educated workers have higher employment elasticity, which means higher educated person have greater chance to be employed due to the economic growth. 
  The employment rate by school attainment is higher for the more educated workers. It is analysed that this trend has been formed by the demand side cause as well as by the supply side cause. In the demand side, Korea economy has been experienced rapid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to the more advanced one, so that more educated workers have been needed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the supply side, education policy in '1980's has led the oversupply of university and college graduates. Those two factors have led the overeducation in Korea, and higher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ed person.
  The ratio of overeducation is revealed as 35.5%, just-education as 45.0%, and under-education as 19.5%, which shows consistent results with previous studies. And also, it is calculated that more than 4 trillion won is wasting annually due to the mismatch. 
...
<표 II-1> 학력별 고용탄력성	6
<표 II-2> 대졸대비 학력별 임금 수준 차이	9
<표 II-3> 학력별 투자수익률 추이	10
<표 II-4> 학력별 이직자 비율	12
<표 II-5> 성별 학력별 이직률	12
<표 II-6> 학력별 이직사유(1998년도)	13
<표 II-7> 생산직 근로자 부족률	15
<표 II-8> 생산직 학력별 숙련구조의 특징(1998)	15
<표 II-9> 학력별 숙련별 근로자 분포가 많은 직종	16
<표 II-10> 전공과 직업의 일치도	17
<표 II-11> 학력과 업무와의 일치도 국제비교	18
<표 II-12> 학생의 기대교육 수준	18
<표 II-13> 학생의 기대교육 목적	19
<표 III-1>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 및 고등교육참여율 국제비교	26
<표 III-2> ?사전? 과 ?임금? 자료의 직종 세자리 학력 분포	34
<표 III-3> 학력과잉 실태	40
<표 III-4> 학력불일치에 따른 인력불균형 규모	43
<표 III-5> 경력연수별 근속년수별 학력일치별 분포	45
<표 III-6> 학력일치별 중도채용비율 및 기업내 직종 이동 비율	46
<표 III-7> 학력일치별 새로운 직장을 가질 횟수	47
<표 III-8> 50-54세 근로자 학력일치별 사업체 규모별 종신고용 비율	48
<표 III-9> 학력별 노동시장 신규진입자 학력일치 분포	49
<표 III-10> 학력일치별 입직자 특성	51
<표 III-11> 시간당 평균임금비교	53
<표 III-12> 생산직 학력일치별 숙련수준	54
<표 III-13> 생산직 중도 채용자 학력일치별 숙련수준	55
<표 III-14> 임금방정식 추정결과 	58
<표 III-15> 교육수익률 추이 변화	59
<표 III-16> 학력불일치자 임금손실액 규모	60
<표 III-17> 실증분석에 사용한 변수설명	62
<표 III-18> 학력일치에 따른 노동이동 로짓분석	63
<표 III-19> 기업의 학력과잉 정도와 전공의 직무일치 정도 	64
<표 III-20> 기업의 학력과잉자에 대한 조치	65
<표 III-21> 기업의 학력 과소자에 대한 조치	66
<표 III-22> 기업의 학력과잉 정도와 이직 비율	66

【그림 1】학력별 취업자 증가율 추이	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학력과잉과 노동시장 불균형 실태 분석 2000.03.01~200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