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II) :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현장 적용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저자
- 이수경 변숙영 박윤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0-1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0.12.31
- 등록일
- 2000.12.31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3 3. 연구의 제한점 10 II. 모형 개발 방향 정립을 위한 관련 이론 및 실태 분석 11 1.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11 2. 통합 교육의 필요성 및 특성 15 3. 실업계 고등학교 수업실태 분석 23 III. 실업계 고등학교 관점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재조명 33 1. 개별화 수업 33 2. 프로젝트 학습법 35 3. 소집단 협력 학습법 39 4. 기능 학습 44 IV. 교수학습 모형 개발 49 1. 교수학습 모형 개발의 절차 및 방법 49 2. 모형의 기본 방향 및 적용 방법 50 3. 교수학습 기본 모형 56 Ⅴ. 교수학습 모형 적용 73 1. 모형 적용 학교, 교사 및 학과의 특성 73 2. 모형 적용을 위한 예비 준비 77 3. 모형 적용을 위한 실습실 재구조 78 4. 모형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현장 투입 86 Ⅵ. 교수학습 모형 적용 결과 99 1. 모형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100 2. 자기 주도적·자기 규율적 학습 측면 105 3. 협력적 학습 측면 108 4. 학생활동 중심 측면 111 5. 실생활과 연계된 학습 측면 116 6. 통합적 학습 측면 118 Ⅶ. 교수학습 모형 운영 방안 121 1. 교실(실습실)의 재구조화 측면 121 2. 실습 기자재 확보 측면 125 3. 교사 연수 측면 126 4. 교과목 배정 측면 127 5. 수업시간 운영 측면 128 6. 교수-학습 자료의 공동 개발 측면 129 7. 수업 적용 사례 발굴 및 확산 측면 130 참 고 문 헌 131 영 문 초 록 135 부 록 143 1. 학습 활동지 양식 145 2. 교수-학습 지도안 및 학습 활동지 예시 151 3. 교 사 「수업 일지」 예시 313 4. 연구자 「관찰 일지」 예시 349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1차 연구인 실업계 고등학교 수업 실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실업계 고등학교 특성에 적합한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모형의 개발 방향은 학생 활동, 실제 경험 중심으로 교육내용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는 곧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교수- 학습 모형이 첫째,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학생 활동 중심이 되어야 하며, 둘째, 산업체 현장에서 요구하는 창의력, 문제해결력 및 현장 적응력을 구비한 인력을 배출하기 위해서 단순한 기능, 지식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관련 지식 및 개념에 대한 통합적 교육이 가능한 교수- 학습 모형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모형을 실업계 고등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모형의 제반 문제점을 분석하고 수정·보완함으로써, 우리나라 일선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a ‘teaching-learning' model appropriate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by the 1999 research ‘The Field Analysi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which was conducted with its focus on presenting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in order to establish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domestic and overseas literary references and data were used to research the changes in the teaching-learning paradigm, study the concept and feature of integrated education, and analyz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Second, on-site visitation studi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select the teaching-learning model application subject. Third, teaching-learning models were applied to the subject schools to study resulting conditions and/or problems through concentrated class observations. The teacher ‘class log', researcher ‘observation log', and student ‘class descriptions'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of class observation results. Fourth, a survey was conducted on all of the students subjected to the teaching-learning model in order to collect student opinions regarding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problems, reform plans, etc. Fifth, a physical, material, and educational operations plan necessary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model was investigated with the assistance of a specialist organization, which provided support for analysis of special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patterns as well as subject selection. ...
<표 Ⅱ-1>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12 <표 Ⅱ-2> 지식 및 교육에 대한 관점 비교 13 <표 Ⅱ-3> Fogarty의 교육과정 통합 방법 22 <표 Ⅲ-1> 단계별 교사의 준비 사항 46 <표 Ⅴ-1> 교수-학습 지도안 예시 87 <표 Ⅴ-2> 학습활동지 예시 93 <표 Ⅵ-1> 수업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100 <표 Ⅵ-2> 현재의 수업 방법이 만족스러운 이유(공고) 102 <표 Ⅵ-3> 현재의 수업 방법이 만족스러운 이유(상고) 103 <표 Ⅵ-4> 현재의 수업 방법이 불만족스러운 이유 105 <표 Ⅵ-5> 학습활동지에 이해 여부를 체크하는 활동이 수업에 도움이 되는 정도 106 <표 Ⅵ-6> 동료 학생들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에 대한 의견 109 <표 Ⅵ-7> 교사의 개별지도 정도에 대한 의견 112 <표 Ⅵ-8> 학습목표 기록이 수업 내용 이해에 도움을 주는 정도 114 <표 Ⅵ-9> 실생활과 관련된 설명이 수업 내용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정도 116 <표 Ⅵ-10> 교사와 이전 시간에 배운 내용들을 도식화하는 활동이 수업에 도움을 주는 정도 119 [그림 Ⅲ-1] Kilpatrick 모형 38 [그림 Ⅲ-2] Katz & Chard의 모형 39 [그림 Ⅲ-3] Jigsaw 수업절차 43 [그림 Ⅲ-4] 개별 확인식 수업 모형 47 [그림 Ⅳ-1] 모형 개발의 절차 및 내용 50 [그림 Ⅳ-2] 교수학습 기본 모형 56 [그림 Ⅳ-3] 1단계: ‘교과 전체 내용 도식화?통합화를 통한 선수 학습 확인’ 단계 57 [그림 Ⅳ-4] 2단계: ‘문제상황을 통한 학습목표 인식’ 단계 58 [그림 Ⅳ-5] 3단계: ‘관련 지식 이해 및 자기 평가’ 단계 60 [그림 Ⅳ-6] 4단계: ‘기본 기능 시범’ 단계 62 [그림 Ⅳ-7] 5-1단계: ‘실습 및 자기 평가’ 단계 64 [그림 Ⅳ-8] 5-2 단계: ‘개별(조별)지도 및 협력 학습’ 단계 66 [그림 Ⅳ-9] 7단계: ‘교사?동료 평가 및 학습 과제 설정’ 단계 68 [그림 Ⅴ-1] 현재 공고 실습장의 기자재 배치 형태 79 [그림 Ⅴ-2] 재구조화가 이루어진 충남기계 공고 실습실 모습 80 [그림 Ⅴ-3] 재구조화 이전의 포항정보여자고등학교 실습실 모습 82 [그림 Ⅴ-4] 재구조화가 이루어진 포항정보여자고등학교 실습실 모습 83 [그림 Ⅶ-1] 공고 실습장 개선안 12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수-학습방법 연구(II) | 2000.03.01~2000.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