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능력인증제 운영 방안

An Implementation Scheme for the Certification of Key Skills
저자
이동임 김현수 김덕기
분류정보
기본연구(2000-2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2.31
등록일
2000.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4
  3. 연구의 방법    5
  4. 용어의 정의    9
  5. 연구의 제한    10
Ⅱ.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의 의미  13
  1. 직업능력인증제의 개념  13
  2.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14
Ⅲ.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요구분석 및 프로그램 실태분석   21
  1. 기초직업능력과 직업능력인증제 수요조사 21
  2. 실업계 고교에서 기초직업능력 교육 가능성   27
  3.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 운영 실태조사    33
  4. 설문조사 및 실태조사 결과 분석 및 시사점   56
Ⅳ. 직업능력인증제 운영 방안    61
  1. 인증 방안  61
  2. 교육훈련 체계  86
  3. 직업능력인증제 운영 체계   107
Ⅴ. 직업능력인증제 활용 및 지원 방안    113
  1. 직업능력인증제 활용 방안   113
  2. 행·재정적 지원 방안    114
  3. 법적 지원 방안 117
  4. 향후 추진계획  121
Ⅵ. 요약 및 제언    125
  1. 요 약  125
  2. 제 언  131
참고문헌    137
ABSTRACT    141
부    록    147
  본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기초직업능력과 관련된 교육훈련기관의 학습 프로그램 실태를 조사한다. 즉 직업능력인증제가 실제로 가동될 수 있는 물적·인적 자원 및 조직이 확보되어 있는지, 학습 프로그램 및 운영 기반이 갖추어져 있는지, 그리고 객관적이고 타당한 평가 도구가 존재하는지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다. 둘째, 실행 가능한 인증 영역 및 수준을 추출하고, 셋째, 기초직업능력 인증을 위한 평가준거를 마련하고 직업능력인증을 위한 운영 체계를 제시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eparing a scheme to manage the certification of key skills that can evaluate and accredit key vocational skills, such as problem-solv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not necessarily detectable through the currently available channels of regular school diplomas and the qualification system. The issue of certifying key skills is pertinent to workers at the personal and social levels, but this study approached th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olling the quality of training institutions that administer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which include key skills. In addition, an attempt was made to search for ways to provide students who have yet to enter the job market, and thus do not have access to such training programs, with high-quality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rom qualified training institution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set up a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perating the certification of key skills. To achieve this end, four steps were taken: first,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in delivering key skills and a survey of the market demand for the proposed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which the certification criteria and classification was extrapolated; second, a formulation of the certification scheme and its operation; third,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of key skills; and fourth, suggestion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measures and future plans for the introduc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for key skills.
...
<표 Ⅰ- 1> 기초직업능력에 관한 설문조사 내용	6
<표 Ⅰ- 2>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 운영 실태조사 내용	7
<표 Ⅱ- 1> 국?내외의 기초직업능력 영역 분류 종합	14
<표 Ⅱ- 2> 기업체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예)	17
<표 Ⅲ- 1> 근로자의 기초직업능력 필요성	22
<표 Ⅲ- 2> 실업계 고교 졸업생 채용시 가장 중요한 기준	22
<표 Ⅲ- 3> 실업계 고교 졸업생이 기초직업능력을 구비하였을 경우 채용의사	23
<표 Ⅲ- 4> 입직 전 실업계 고교생의 기초직업능력 교육의 필요성 정도	23
<표 Ⅲ- 5> 근로자의 직업능력인증제 필요성	24
<표 Ⅲ- 6> 실업계 고교생의 직업능력인증제 필요성 정도	24
<표 Ⅲ- 7> 근로자의 우선 순위 영역별 빈도	25
<표 Ⅲ- 8>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우선적 기초직업능력 영역에 대한 인사 담당자의 인식	26
<표 Ⅲ- 9> 학교에서 우선적으로 교육시킬 기초직업능력 영역에 대한 교사의 인식	27
<표 Ⅲ-10>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취업시 가장 중요한 기준	28
<표 Ⅲ-11> 학교에서 기초직업능력 교육의 강화 필요성 정도	28
<표 Ⅲ-12> 기초직업능력 습득 시기	29
<표 Ⅲ-13> 적절한 기초직업능력 학습 장소	29
<표 Ⅲ-14> 바람직한 기초직업능력 교육 방법	30
<표 Ⅲ-15> 기초직업능력 교육 여건 구비도	31
<표 Ⅲ-16> 기초직업능력 교육의 어려운 요소	31
<표 Ⅲ-17> 기초직업능력 교육을 위한 지원 요소	32
<표 Ⅲ-18> 직업능력인증제 활용 방안	33
<표 Ⅲ-19> 기초직업능력 영역별 교육 빈도 	34
<표 Ⅲ-20> 교육 대상자 분류 기준	35
<표 Ⅲ-21> 교육 대상자를 분류하지 않고 교육을 실시하는 이유	35
<표 Ⅲ-22> 교육 내용의 수준별 차별화 필요성	36
<표 Ⅲ-23> 실제 내용 수준 상 차별화 등급 유무	36
<표 Ⅲ-24> 적정 등급	36
<표 Ⅲ-25> 기초직업능력 관련 프로그램 개발 주체	37
<표 Ⅲ-26> 피드백 결과의 차후 교육 내용 반영 여부	37
<표 Ⅲ-27> 강사 자격 기준 유무	38
<표 Ⅲ-28> 교육 담당자 능력개발 프로그램의 유무	38
<표 Ⅲ-29> 기초직업능력 평가 실시 여부	39
<표 Ⅲ-30> 학습 평가 방법	39
<표 Ⅲ-31> 학습 평가 도구의 수정 보완 여부	39
<표 Ⅲ-32> 수료증 발급 여부	40
<표 Ⅲ-33>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40
<표 Ⅲ-34> 기초직업능력 영역별 만족도 순위	41
<표 Ⅲ-35>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에 대한 최근의 수요	41
<표 Ⅲ-36> 산업체 프로그램의 학생들에게 적용 가능성	42
<표 Ⅲ-37>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42
<표 Ⅲ-38> 기초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의 개발?운영 능력	43
<표 Ⅲ-39> 개발과 운영 모두 불가능한 이유	43
<표 Ⅲ-40> 의사소통능력 프로그램 운영 현황	45
<표 Ⅲ-41> 대인관계능력 프로그램 운영 현황	46
<표 Ⅲ-42> 문제해결능력 프로그램 운영 현황	47
<표 Ⅲ-43> 정보능력 프로그램 운영 현황	49
<표 Ⅲ-44> 외국어 의사소통능력 프로그램 운영 현황	50
<표 Ⅲ-45> 자기관리능력 프로그램 운영 현황	51
<표 Ⅲ-46> 타문화이해능력 프로그램 운영 현황	52
<표 Ⅲ-47> 기술능력 프로그램 운영 현황	52
<표 Ⅲ-48> 진급 과정 교육모듈 및 내용(L기업 연수원)	54
<표 Ⅲ-49> 대상자별 기초직업능력 우선 영역에 대한 인식 	60
<표 Ⅳ- 1> 직업능력 인증 운영 방식의 장?단점 비교	63
<표 Ⅳ- 2> 국가별 기초직업능력 수준체계	65
<표 Ⅳ- 3> 기초직업능력의 수준별 내용	66
<표 Ⅳ- 4> 기초직업능력 인증 유형	68
<표 Ⅳ- 5> 프로그램개발과 프로그램 평가인정간의 비교	69
<표 Ⅳ- 6> 프로그램 평가인정의 문제점 해결 방안	70
<표 Ⅳ- 7> 기초직업능력 영역별 가능한 인정 방법	71
<표 Ⅳ- 8> 법적 기준 평가 항목	73
<표 Ⅳ- 9> 운영 여건 평가 항목	74
<표 Ⅳ-10> 직업능력인증제 프로그램의 평가영역 및 항목	78
<표 Ⅳ-11> 직업능력인증제와 자격제도의 차이점	85
<표 Ⅳ-12> 직업능력인증제와 학점은행제의 차이점	86
<표 Ⅳ-13> 의사소통능력 수준별 내용 	89
<표 Ⅳ-14> 대인관계능력 수준별 내용	91
<표 Ⅳ-15> 문제해결능력 수준별 내용	93
<표 Ⅳ-16> 의사소통능력 세부 내용	94
<표 Ⅳ-17> 문제해결능력 세부 내용	95
<표 Ⅳ-18> 대인관계능력 세부 내용	95
<표 Ⅳ-19> 기초직업능력 학습성취도(예시)	96
<표 Ⅳ-20> 평가자료(예시)	97
<표 Ⅳ-21> 시행 초기 강사 양성 교육 프로그램 구성	99
<표 Ⅳ-22> 교사 선정(안) 비교 분석(1)	103
<표 Ⅳ-23> 교사 선정(안) 비교 분석(2)	104
<표 Ⅳ-24> 교육 주체별 효과 분석	107
<표 Ⅳ-25> 직업능력인증제 운영에 따른 주체별 역할	111
<표 Ⅴ- 1> 추진계획 일정	124

[그림 Ⅰ- 1] 연구의 내용 및 절차	4
[그림 Ⅱ- 1] 생산방식의 변화와 교육?훈련	16
[그림 Ⅳ- 1] 직업능력인증제를 위한 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인정 절차	82
[그림 Ⅳ- 2] 직업능력인증제를 위한 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운영 조직	83
[그림 Ⅳ- 3] 직업능력인증제 운영 체계	10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능력인증제 운영 방안 2000.03.01~200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