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업내 인력개발 활성화 방안

A Scheme to Promot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Enterprises
저자
오영훈 이영현 홍선이
분류정보
기본연구(2000-2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2.30
등록일
2000.12.30
연구 요약
Ⅰ. 연구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방법	4
    4. 연구의 범위   	8
Ⅱ. 기업 환경 변화와 인력개발	9
    1. 기업 환경의 변화  	9
    2. 인력개발에 대한 논의	15
Ⅲ. 인력개발 관련 제도의 변천 및 운영 현황 	19
   1. 기업내 인력개발 관련 제도의 변천	19
   2.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체계	27
   3. 기업내 인력개발 및 지원 실태	32
Ⅳ. 기업내 인력개발 실태조사 분석	41
   1. 조사 대상 사업장의 일반적 특성	41
   2. 인력개발 운영 체제	43
   3. 인력개발 예산	45
   4. 인력개발 투자 대상	51
   5.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실태	64
   6. 기업의 능력개발제도와 활용 실태	106
   7. 인력개발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	108
Ⅴ. 재직근로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참여 실태	117
   1. 재직근로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참여 실태	117
   2. 재직근로자 교육훈련의 성과	120
   3. 재직근로자의 교육훈련 참여 요인	122
   4. 요약 및 시사점	125
Ⅵ. 기업내 인력개발 활성화 방안	127
   1. 개선 방향	127
   2. 개선 방안	130
Ⅶ. 요약 및 제언	139
참고문헌	145
ABSTRACT 	147
[부록] 설문지 	15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체를 대상으로 인력개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기업내 인력개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기업내 인력개발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가 효율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 나라의 기업내 인력개발이 어느 규모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기업내 인력개발 관련 제도 및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둘째,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개발 분야는 무엇이며, 지원 가능한 내용은 무엇인지를 기업의 인력개발 실태조사를 기초로 진단한다.
  셋째,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기업내 인력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기업내 인력개발의 과제와 정부의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RD) in enterprises and identify the problems at hand.  Based on these results, measures to promote and strengthen in-firm HRD will be sugges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advanced economies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the functional flexibility of workers which allows firms to expand their range of tasks. This indicates that firms are investing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aspects of HRD to meet rapidly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Secon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firm HRD in Korea was carefully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and remedy the problems in the current state of HRD in Korean firm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on Workers' Vocational Training Promo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sharp decrease in basic training, with further training establishing itself as the dominant form of training. In 1999, reemployment training for unemployed workers took up 72.1% of total government support, showing that the current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is rather ineffective in preventing unemployment.
  Third, interviews with training personnel and a survey of 500 firms on the HRD practices in firm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rive comprehensive measures to improve HRD in fir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31% of firms had a separate department overseeing workers' training, while 47% designated authorities in times of need.  For firms with less than 50 employees, in particular, a third did not have an independent training department or relevant personnel.  In terms of budget distribution, 44.6% of firm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have any particular standard.  In most firms, training costs accounted for 1 to 5 % of total wages.
  Most often-cited as "field to train workers" workers were business, new technology development, field production technical workers. In the short to mid-term (within the next five years), less demand for workers in the business section, field production technology section, and office management section is predicted.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of workers in new technology development, core professions, and international professions will increase in comparison. In terms of occupation, priority was given to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operator, personnel management, and quality control. The most desired traits in workers were creativity, information gathering and analysis abilities, and interpersonal skills.  In the short to medium terms, these skills plus foreign language skills were seen to be more critical. 
  Most training programs in firms were ones based on the worker's position and for job upgrading.  Only 36% of firms provided courses in computer literacy training and 15.4% provided courses in education for internationaliz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despite the stated objectives, firms are slow in adjusting to "information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 general, the main targets of training programs were entry-level workers in the business department or mid-career managers. Although it is stated that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vocational development of field production technical workers, they receive very few training opportunities. In particular, their participation levels in internationalization and computer training were as low as 2.1% and 1.2% respectively.  
  The most prevalent methods of training were in-house training and also seminars and training programs at external institutions. The workplace was the most widely used venue of training. The provision of training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cyber-education was conducted in less than 5% of the firms surveyed, which shows that vocational training in Korea is unable to break the practice of institutional training.  
  Firms relied on outside professionals rather than in-firm instructors for delivering training to workers.
  With the exception of basic training, most training programs were 24 hours in duration.  On the other hand, 23.1 to 38.8% of training programs were under 20 hours in duration and thus not recognized as training programs. As a measure to promote vocational training in firms, the removal of such restrictions should be conside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maller the firm size, the less likely it was to engage in the training of its workers. The government should thus focus on providing full support to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n it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through institutionalized measures.
  The general thrust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s in firms involve reorganization of tasks, circulation of workers into different departments, and support for qualification acquisition. Support measures for transferring or replaced workers were nearly invisible. For instance, only 0.8% of firms had training programs for business startup and 1.4% answered that they ran a retirement preparation course.  The biggest problems for pursuing vocational training in firms were difficulties in developing effective training programs, finding qualified instructors, and evaluating effectiveness of training.
  In order to revitalize in-firm HRD, firms needed to first establish a long-term vis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lso important were the committment of manage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practical training. Large industries stressed strategic vision, while small firms put their emphasis on practical training and governmental support.  Irrespective of firm size, the participation of labor unions in workers' HRD was limited, with active participation of labor unions in only 35% of firms.
  For further strengthening HRD in firms, the government should significantly increase its support to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set up training programs for development of training courses and methods, and provide firms with effective training courses and costs free of cost.
  Fourth, the current status of incumbent workers' participation in training was analyzed in order to seek comprehensive measures to improve HRD in firms. Overall, only 38.7% of workers had participated at least once in training in the past twelve months.  The most frequently cited reasons for not participating was the lack of suitable courses and shortage of information.  It is predicted that participation in training can be raised through firm requests, more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suitable training courses, showing the importance of the conviction of employers toward HRD and training course development. In general, the performance of workers who have received training was comparatively higher to those who have not. This was especially true for education for internationalization, which led to immediate and tangible results such as promotion or acquisition of qualification.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acquiring work-related knowledge or skills was found to be through the help of co-workers or senior workers. However, on-the-job training was carried out in an unsystematic and arbitrary manner.
...
<표 Ⅰ-1>  설문조사지 조사항목, 조사내용 및 문항구성	6
<표 Ⅰ-2>  설문조사지 표집 현황	7
<표 Ⅱ-1>  조직과 경영의 변화로 인한 직무의 변화	12
<표 Ⅱ-2>  한국 기업의 경영 환경 변화	14
<표 Ⅲ-1>  직업훈련 관계법령 주요 변천 현황	24
<표 Ⅲ-2>  사업주에 대한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지원	30
<표 Ⅲ-3>  재직근로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지원	32
<표 Ⅲ-4>  '99년도 사업장 규모별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 현황	33
<표 Ⅲ-5>  '99년도 업종별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 현황	34
<표 Ⅲ-6>  훈련유형별 능력개발훈련 현황	35
<표 Ⅲ-7>  '99 훈련과정별 능력개발사업별 실시 현황	36
<표 Ⅲ-8>  '99 사업장 규모별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 현황	37
<표 Ⅲ-9>  '99 업종별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 현황	37
<표 Ⅲ-10> '99 사업장 규모별 유급훈련 지원 현황	38
<표 Ⅲ-11> '99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학자금 대부 현황	39
<표 Ⅲ-12> 직업능력개발사업 내용별 추진실적	39
<표 Ⅳ-1>  사업장 규모별 노동조합 유무	41
<표 Ⅳ-2>  업종별 사업장 규모	42
<표 Ⅳ-3>  사업장 규모별 교육훈련 전담 부서 유무	44
<표 Ⅳ-4>  사업장 규모별 교육훈련 전담 부서 운영 형태	44
<표 Ⅳ-5>  사업장 규모별 담당자	44
<표 Ⅳ-6>  인력개발의  노조 참여 형태	44
<표 Ⅳ-7>  교육훈련 예산 편성 기준	46
<표 Ⅳ-8>  교육훈련 전담 부서 유무별 교육훈련 예산 편성 기준	46
<표 Ⅳ-9>  사업장 규모별 교육훈련비 임금 총액 비중	47
<표 Ⅳ-10> 사업장 규모별 교육훈련비 매출 총액 비중	48
<표 Ⅳ-11> 사업장 규모별 교육훈련비 중 보험료 비중	49
<표 Ⅳ-12> 사업장 규모별 납부 보험료 중 환급률	49
<표 Ⅳ-13> 정부의 교육훈련 지원제도가 교육훈련 실시에 미치는 영향	50
<표 Ⅳ-14> 사업장 규모별 납부 1인당 교육훈련 경비	51
<표 Ⅳ-15> 사업장 규모별 중점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대상 인력(1순위)	52
<표 Ⅳ-16> 업종별 중점 개발대상 인력 1순위 (현재)	54
<표 Ⅳ-17> 업종별 중점 개발대상 인력 1순위 (향후)	55
<표 Ⅳ-18> 사업장 규모별 중점 개발 대상 할 업무 분야 1순위	57
<표 Ⅳ-19> 업종별 중점 개발대상 업무 분야 1순위 (현재)	58
<표 Ⅳ-20> 업종별 중점 개발 대상 업무 분야 1순위 (향후)	59
<표 Ⅳ-21> 사업장 규모별 중점 개발 대상 소양 1순위	61
<표 Ⅳ-22> 업종별 중점 개발 대상 소양 1순위 (현재)	62
<표 Ⅳ-23> 업종별 중점 개발 대상 소양 1순위 (향후)	63
<표 Ⅳ-24> 사업장 규모별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실태	65
<표 Ⅳ-25> 사업체 규모별 계층별 교육훈련과정	66
<표 Ⅳ-26> 계층별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67
<표 Ⅳ-27> 계층별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방법	68
<표 Ⅳ-28> 계층별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69
<표 Ⅳ-29> 계층별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70
<표 Ⅳ-30> 계층별 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균 교육훈련 시간	70
<표 Ⅳ-31> 교육훈련 프로그램별 평균 교육훈련시간	71
<표 Ⅳ-32> 사업장 규모별 직무교육 교육훈련과정	72
<표 Ⅳ-33> 직무교육 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73
<표 Ⅳ-34> 직무교육 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방법	74
<표 Ⅳ-35> 직무교육 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75
<표 Ⅳ-36> 직무교육 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76
<표 Ⅳ-37> 직무교육 프로그램 평균 교육훈련 시간	77
<표 Ⅳ-38> 사업장 규모별 국제화 교육훈련과정	78
<표 Ⅳ-39> 국제화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79
<표 Ⅳ-40> 국제화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80
<표 Ⅳ-41> 국제화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80
<표 Ⅳ-42> 국제화 프로그램 평균 교육훈련 시간	81
<표 Ⅳ-43> 사업장 규모별 전산화 교육훈련과정	82
<표 Ⅳ-44> 전산화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82
<표 Ⅳ-45> 전산화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방법	83
<표 Ⅳ-46> 전산화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84
<표 Ⅳ-47> 전산화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84
<표 Ⅳ-48> 전산화 프로그램 평균 교육훈련시간	85
<표 Ⅳ-49> 사업장 규모별 인증 교육훈련과정	86
<표 Ⅳ-50> 인증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86
<표 Ⅳ-51> 인증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방법	87
<표 Ⅳ-52> 인증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88
<표 Ⅳ-53> 인증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88
<표 Ⅳ-54> 인증 프로그램 평균 교육훈련시간	89
<표 Ⅳ-55> 사업장 규모별 핵심 전문가 교육훈련과정	90
<표 Ⅳ-56> 핵심 전문가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91
<표 Ⅳ-57> 핵심 전문가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방법	91
<표 Ⅳ-58> 핵심 전문가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92
<표 Ⅳ-59> 핵심 전문가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92
<표 Ⅳ-60> 핵심 전문가 프로그램 평균 교육훈련시간	93
<표 Ⅳ-61> 사업장 규모별 특별 교육훈련과정	94
<표 Ⅳ-62> 특별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95
<표 Ⅳ-63> 특별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방법	96
<표 Ⅳ-64> 특별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96
<표 Ⅳ-65> 특별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97
<표 Ⅳ-66> 특별 교육과정 프로그램 평균 교육훈련시간	98
<표 Ⅳ-67> 사업장 규모별 취업 예정자 교육훈련과정	99
<표 Ⅳ-68> 취업 예정자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99
<표 Ⅳ-69> 취업 예정자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방법	100
<표 Ⅳ-70> 취업 예정자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100
<표 Ⅳ-71> 취업 예정자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101
<표 Ⅳ-72> 취업 예정자 프로그램 평균 교육훈련시간	101
<표 Ⅳ-73> 사업장 규모별 어학 교육 운영 실태	102
<표 Ⅳ-74> 사업장 규모별 외부 교육훈련기관 선정 요인	103
<표 Ⅳ-75>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실태(종합)	104
<표 Ⅳ-76> 사업체 규모별 직원의 능력개발 및 활용제도	107
<표 Ⅳ-77> 업종별 직업능력개발제도	108
<표 Ⅳ-78> 사업체 규모별 교육훈련 추진상의 애로점	109
<표 Ⅳ-79> 사업체 규모별 교육훈련 개선점	111
<표 Ⅳ-80> 사내의 인력개발을 위한 기업에서의 개선점	112
<표 Ⅳ-81> 기업의 인력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의 개선점	114
<표 Ⅳ-82> 사업규모별 기업의 인력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개선점	115
<표 Ⅴ-1>  최근 1년 동안의 교육훈련 경험	118
<표 Ⅴ-2>  교육훈련 장소	118
<표 Ⅴ-3>  교육 이수 시간	119
<표 Ⅴ-4>  교육훈련 비용 부담	119
<표 Ⅴ-5>  교육훈련 성과	120
<표 Ⅴ-6>  직무 관련 지식과 기술 습득 방법	122
<표 Ⅴ-7>  OJT(현장훈련) 방법	123
<표 Ⅴ-8>  교육훈련 동기	124
<표 Ⅴ-9>  교육훈련 불참 이유	124
<표 Ⅴ-10> 교육훈련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법	12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업내 인력개발 활성화 방안 2000.03.01~200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