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불 자격제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fication Systems in France and Korea
저자
박태준 김덕기 AnnieBouder Jean-LouisKirsch
분류정보
기본연구(2000-2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프랑스자격연구센터(CEREQ)
발행일
2000.12.31
등록일
2000.12.31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문제의 틀	3
   3. 연구의 내용	5
   4. 연구 방법	9
   5. 관련 문헌 분석	12
Ⅱ. 한국의 자격제도	17
   1. 자격의 종류	17
   2. 국가기술자격	18
   3. 국가자격제도	44
   4. 민간자격제도	49
   5. 한국 자격의 국가간 상호 인정 현황	52
Ⅲ. 프랑스의 자격제도	63
   1. 자격의 종류	63
   2. 부처에서 발행하는 학위와 자격증 	64
   3. 공인 자격	73
   4. 산업부문 자격증-CQP	75
   5. 최근 변화 	77
   6. 프랑스 직업 자격법과 역사	78
   7. 직업 경험인정의 여러 가지 방법들	82
   8. 프랑스 자격제도의 문제점	85
Ⅳ. 자격제도에 있어서 한국과 프랑스의 차이	89
   1. 교육 중심의 자격제도와 기업 중심의 자격제도	89
   2. 노사 합의에 의한 자격제도와 정부 또는 전문가 집단 주도의 자격제도	91
   3. 자격 위주의 자격제도와 능력 위주의 자격제도	91
   4. 학위를 포함한 자격제도와 학위를 배제한 자격제도	92
   5. 학위 위주의 자격제도와 능력 위주의 자격제도	95
   6. 직업 경험의 사회적 가치 인정에 대한 연구와 제도 구축 	96
   7. 자격 및 직업교육훈련 연구 체제	98
   8. 입직 단계의 청소년을 위한 특수노동계약으로서의 자격계약	98
   9. 단순한 직업 전문학위제도와 다양한 직업 전문학위제도	101
   10. 노사 합의에 의한 자격 신설 과정과 정부 주도적 자격 신설 과정	104
참 고 문 헌	113
  한불 양국의 직업교육훈련 연구기관간의 협력 증진을 위해 최초로 시작한 공동연구인 이 연구의 목적은 한불 양국의 자격제도를 비교하고, 두 제도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This research has begun at first time with the cooperation of Korea and France for the close collaboration of th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research institution with a view to examine the difference with the comparison of the Qualification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Korea and France. 
  The frame of questions proposed to obtain this purpose are following. The result is  given with ease only because the Qualification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have definitely the common and the difference, however, such result has the high possibility showing the only surface difference. Every plan proposed from such result can be also  superficial and not applicable. The way to avoid it is to explain the Qualification System with relating it to the social and cultural institution.  
  It can be simply said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 of Korea and France is  the opposition between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the family security system. The opposition can be one level lying on the basis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middle level can be supposed to lie, performing the mediating role such as the confliction between education-centralism and industry-centralism, the conflict and the  agree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he confliction between the guarantee of the right of the individual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the opposition between learning and the job experience, and the opposition between upward decision and downward control. The question how the three levels have relation with each other in the complex structure with three levels, can be the frame of the question for the analysis and explanation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The Surface Level: the recherch cannot help taking notice of only one of a number of phenomena in the society, and this activity makes the direct objective come up to the surface so that the society, the very object of this research, at least in this research can be reconstructed centering on this surface level. The Middle Level: it can provide the existence basis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phenomenon of the surface level. This has so some flexibility that it requires the continuous searching in the process of the research. The Basis Level: it sets up the limitation on the application to the existence basis on the elements composing the phenomenon of the surface, however, it doesn't exert the influence on the surface level directly and strongly.
  With a view to obtain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six questions - first which tendency the two countries has  'Education-Centralism' or 'Industry-Centralism', second how the conflict or the agreement system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can be settled down in the Qualification System, third which devices the idea for the individual right has brought forth to the Qualification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fourth how far the Qualification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have admitted the job experience, fifth who and how will set up the qualification, and who and how will determine its condition, sixth with which tendency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the family security system the Qualification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can be in the culture and whether the possibility of the transfer can be or not and what its condition is - are raised and these are made concrete.
  As the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lification System in Korea and in France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ing.   
  - the Qualification System centering on education and on industry
  - the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labor-management agreement or led by the expert group. 
  - qualification-oriented Qualification System and ability-oriented Qualification System
  - the Qualification System including an academic degree or not
  - the research on the social value admittance of the job experience and the construction of its constitution 
  - the qualification contract as the special labour contract for the juvenility at the stage of entering the job
  - the qualification-creation course by the labor-management agreement and by the leading of the government 
  -  the qualification and the research system of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 simple professional vocation degree system and various professional vocation degree system

<표 Ⅰ- 1> 1970년 전후 자격과 능력의 비교	3
<표 Ⅱ- 1> 국가기술자격 기술?기능 분야 등급별 자격 종목 수(’00년 기준)	27
<표 Ⅱ- 2> 국가기술자격 서비스 분야 중 사업서비스 자격종목 수(’00년 기준)	28
<표 Ⅱ- 3> 주무부처별 종목 현황	29
<표 Ⅱ- 4> 국가기술자격 등급별 검정기준 	32
<표 Ⅱ- 5> 국가기술자격의 기술?기능 분야 자격검정 방법 및 합격 기준	33
<표 Ⅱ- 6> 국가기술자격의 서비스 분야 중 사업서비스의 검정 방법 	34
<표 Ⅱ- 7> 국가기술자격 검토 항목	37
<표 Ⅱ- 8> 기술사 면접시험 질문 항목	42
<표 Ⅱ- 9>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에 따른 학점인정	44
<표 Ⅱ-10> 주무부처별 국가자격의 종목 및 직종	45
<표 Ⅱ-11> 직무분야별 국가자격 직종 수	47
<표 Ⅱ-12> 건설기술자의 기술등급 및 인정 범위	59
<표 Ⅱ-13> 외국인 건설 분야 기술자의 인정 현황	60
<표 Ⅲ- 1> 단계별 신설 과정	67
<표 Ⅲ- 2> 자격 신설 과정	71
<표 Ⅲ- 3> 직무, 활동, 능력에 관한 준거	73
<표 Ⅲ- 4> 분야별 산업부분 자격의 운영 현황	77
<표 Ⅳ- 1> 생산 체제와 결정 체제에 의한 양국의 비교	90
<표 Ⅳ- 2> 프랑스 학위제도에 나타난 자격의 종류와 등급	91
<표 Ⅳ- 3> 각 학위 등급의 규정과 특징	91
<표 Ⅳ- 4> 한국 국가기술자격에 나타난 자격의 종류와 등급	92
<표 Ⅳ- 5> 프랑스의 특수 노동계약	97
<표 Ⅳ- 6> 자격계약 가능 대상자	98
<표 Ⅳ- 7> 프랑스의 자격 신설 과정	103
<표 Ⅳ- 8> 국가 학위에서 요구하는 직업활동 준거	104
<표 Ⅳ- 9> 국가 학위에서 요구하는 직업 활동 준거(의사소통 중심)	105
<표 Ⅳ-10> 직업 ‘바깔로레아’ 자동화 생산 체제 운영 분야에서 요구하는 검정 규칙	107
<표 Ⅳ-11> 학위 신설 각 과정에 관계하는 자	108

[그림 Ⅰ- 1] 문제의 틀: 세 가지 층으로 이루어진 복합적인 구조	4
[그림 Ⅰ- 2] 구조주의적 비교 방법	10
[그림 Ⅰ- 3] 상황적 비교 방법	11
[그림 Ⅱ- 1] 한국의 자격 체계	17
[그림 Ⅱ- 2] 국가기술자격의 등급 체계	25
[그림 Ⅱ- 3] 국가기술자격 응시 요건	31
[그림 Ⅱ- 4]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운영 체계도  	35
[그림 Ⅱ- 5] 검정시행 흐름도 	39
[그림 Ⅱ- 6] 민간자격 국가공인 운영 절차	52
[그림 Ⅲ- 1] 교육부의 학위 신설을 위한 평가 절차	66
[그림 Ⅲ- 2] 자격인정과 직업훈련에 대한 과정	71
[그림 Ⅳ- 1] 프랑스의 학위 신설 흐름도	10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불 자격제도 비교 연구(I) 2000.03.01~200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