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교과교육을 통한 환경교육 강화 방안 연구 : 초·중·고등학교의 실과 (기술·가정) 교과를 중심으로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Subject-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저자
이용순 박종성 서우석 최석진 이선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00-3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발행일
2000.12.31
등록일
2000.12.31
연구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방법  4
  4. 연구의 추진 절차 및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9
  1.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    9
  2. 환경교육의 교수·학습 및 교과별 접근    21
  3.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특성    27
Ⅲ. 제6차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 과정에서의 환경교육 실태    51
  1.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51
  2. 환경교육 실태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99
  3. 시사점 113
Ⅳ.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강화 방안  117
  1. 실과(기술·가정)    117
  2. 농업과학   146
  3. 공업기술   173
  4. 가정과학   185
Ⅴ. 요약 및 제언    215
  1. 요 약  215
  2. 제 언  225
참 고 문 헌 227
Abstract    233
부 록   243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교육의 목표 영역이 뚜렷하고 직업교육의 교양 교육적 성격을 띠고 있어 초·중등 학교에서 이수시키고 있는 실과(기술·가정) 과목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하위 목표는 첫째, 제 7 차 교육과정의 실과(기술·가정), 농업과학, 공업기술, 가정과학 교과목에서 환경교육 내용의 구체적인 조직 방안을 마련하고, 둘째, 이들 교과목에서의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안을 마련하며, 셋째, 이들 교과목들의 교과용 도서 개발자들이 교과서 집필시 반영해야 할 유의 사항 및 예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e up with methods to systematically organize and manage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ing on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which are relat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are taught as cultural subjects o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pecific sub-objectives are first, to prepare specific measures to systematically organiz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Agricultural Science, Industrial Technology and Home Science of the 7th curriculum, second, to prepare methods to teach, learn and evaluat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se subjects, and third, to present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authors develop textbooks and provide illustrative reference materi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review of reference materials, analy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in the 6th and 7th curriculum and textbooks, consultation with specialists council and questionnaire survey.
<표 Ⅰ- 1> 교과 교육에서의 환경교육 강화 방안에 대한 설문 조사 내용	6
<표 Ⅱ- 1> 환경교육의 목표 및 내용 	10
<표 Ⅱ- 2> KEDI의 환경교육의 영역과 내용 	18
<표 Ⅱ- 3> 최근에 추가되고 있는 환경교육 내용 영역	20
<표 Ⅱ- 4> 환경교육 목표 영역 구분이 뚜렷한 교과	25
<표 Ⅱ- 5> 환경교육의 각 목표 영역에 포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교과  	26
<표 Ⅱ- 6> 기술?가정 교과와 공업기술 과목의 관련 내용	41
<표 Ⅱ- 7> 실과(기술?가정)의 내용 체계	44
<표 Ⅱ- 8> 농업과학 과목의 내용 체계	46
<표 Ⅱ- 9> 공업기술 과목의 내용 체계	48
<표 Ⅱ-10> 가정과학 과목의 내용 체계	49
<표 Ⅲ- 1> 환경교육 목표 분석 준거	52
<표 Ⅲ- 2> 환경교육 내용 분석 준거	53
<표 Ⅲ- 3> 제6차 실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초등학교 3학년)	54
<표 Ⅲ- 4> 제6차 실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초등학교 4학년)	58
<표 Ⅲ- 5> 제6차 실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초등학교 5학년)	62
<표 Ⅲ- 6> 제6차 실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초등학교 6학년)	65
<표 Ⅲ- 7> 제6차 기술?산업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중학교 1학년)	69
<표 Ⅲ- 8> 제6차 기술?산업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중학교 2학년)	70
<표 Ⅲ- 9> 제6차 기술?산업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중학교 3학년)	71
<표 Ⅲ-10> 제6차 기술 과목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고등학교)	72
<표 Ⅲ-11> 제6차 가정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중학교 1학년)	74
<표 Ⅲ-12> 제6차 가정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중학교 2학년)	77
<표 Ⅲ-13> 제6차 가정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중학교 3학년)	79
<표 Ⅲ-14> 제6차 가정 과목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고등학교)	81
<표 Ⅲ-15> 제6차 농업 과목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고등학교)	84
<표 Ⅲ-16> 제6차 공업 과목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고등학교)	94
<표 Ⅲ-17> 제6차 가사 과목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 체계분석(고등학교)	97
<표 Ⅲ-18>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 교사의 환경과 환경 관련 지식을 얻는 주된 출처	99
<표 Ⅲ-19>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 교사가 환경교육에 투자하는 시간	100
<표 Ⅲ-20>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효과	101
<표 Ⅲ-21>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환경교육의 목표 영역	102
<표 Ⅲ-22>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많이 지도하고 있는 환경교육의 목표 영역	102
<표 Ⅲ-23> 환경교육을 위해 기술 교과서와 가정 교과서에 많이 나오는 교수?학습 방법	103
<표 Ⅲ-24>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수?학습 방법	104
<표 Ⅲ-25>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환경교육을 위해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법	105
<표 Ⅲ-26>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환경교육에 이용하는 평가 방법	106
<표 Ⅲ-27>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환경교육을 위해 바람직한 평가 방법	107
<표 Ⅲ-28>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환경교육 내용 영역	108
<표 Ⅲ-29>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실제로 많이 가르치는 환경교육 내용 영역	109
<표 Ⅲ-30>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강조되어야 할 환경교육 내용 영역	110
<표 Ⅲ-31>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강화 방안	111
<표 Ⅲ-32>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환경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	112
<표 Ⅲ-33>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환경과 관련된 자료를 받아 본 정도	112
<표 Ⅲ-34>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에서 환경 관련 자료를 사용하는 정도	113
<표 Ⅳ- 1>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 및 상세화(5학년)	119
<표 Ⅳ- 2>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 및 상세화(6학년)	121
<표 Ⅳ- 3>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 및 상세화(7학년)	123
<표 Ⅳ- 4>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 및 상세화(8학년)	124
<표 Ⅳ- 5>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 및 상세화(9학년)	126
<표 Ⅳ- 6>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 및 상세화(10학년)	128
<표 Ⅳ- 7>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관련 목표 분석 결과	129
<표 Ⅳ- 8>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과정 내용의 전체 중영역 중 환경 관련 중영역의 수	132
<표 Ⅳ- 9>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결과	133
<표 Ⅳ-10> 목표 영역별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	135
<표 Ⅳ-11>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 종합	136
<표 Ⅳ-12> 환경교육에서의 평가 유형 분류	141
<표 Ⅳ-13> 제7차 농업과학 과목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 및 상세화	151
<표 Ⅳ-14> 제7차 농업과학 과목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관련 목표 분석 결과	159
<표 Ⅳ-15> 농업과학 과목 교육과정 내용의 전체 중영역 중 환경 관련 중영역의 수	162
<표 Ⅳ-16> 제7차 농업과학 과목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결과 	163
<표 Ⅳ-17> 농업과학 과목의 환경교육 목표 영역별 교수?학습 방법	164
<표 Ⅳ-18> 제7차 공업기술 과목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 및 상세화	175
<표 Ⅳ-19> 제7차 공업기술 과목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관련 목표 분석 결과	177
<표 Ⅳ-20> 공업기술 과목 교육과정 내용의 전체 중영역 중 환경 관련 중영역의 수	179
<표 Ⅳ-21> 제7차 공업기술 과목 교육과정에서의 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결과	180
<표 Ⅳ-22> 제7차 가정과학 과목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체계 분석 및 상세화	187
<표 Ⅳ-23> 제7차 가정과학 과목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관련 목표 분석 결과 	203
<표 Ⅳ-24> 가정과학 과목 교육과정 내용의 전체 중영역 중 환경 관련 중영역의 수	206
<표 Ⅳ-25> 제7차 가정과학 과목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결과  	20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교과교육을 통한 환경교육 강화 방안 연구 2000.04.01~200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