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상업계 고등학교 가사실업계 특별과정의 효율적 운영 방안

A Plan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at the Business High School
저자
장명희 박윤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0-3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2.31
등록일
2000.12.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방법 5
Ⅱ. 가사실업계 특별과정의 도입 배경 7
   1. 가사실업계 특별과정 운영 지원 정책    7
   2. 실업계 고등학교의 가사실업계열 운영 실태  10
   3. 일본의 운영 사례 및 시사점    14
Ⅲ. 가사실업계 특별과정 운영 실태   21
   1. 특별과정 운영 현황    21
   2. 특별과정 운영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28
Ⅳ. 가사실업계 특별과정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실제   47
   1. 특별과정 교육과정 개발 모형 및 절차   47
   2. 특별과정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59
Ⅴ. 특별과정 운영 및 지원 방안  67
   1. 교육과정 운영 측면    67
   2. 교원의 확보 및 전문성 제고 측면   71
   3. 행·재정 지원 측면 73
참고문헌    77
ABSTRACT    81
부 록   91
  본 연구에서는 현재 상업계 고등학교에서 개설·운영하고 있는 가사실업계 특별과정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성과와 요구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위 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특별과정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실례를 제시하고, 운영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business high school's special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recipient of a financial support since 1998) and research the actual achievements and demands of the schools to present an effective operation plan.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its focus on presenting a systematic education process development model and case, in order to propose a detailed operation and support plan.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in order to reach the objectives of this thesis.  First, research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literary materials and data, research about present conditions, etc. were used to analyze the background in which the special household curriculum was adopted as well as to find out what present operational conditions are.   Second, a research analysis was performed on student and teacher satisfaction levels and demands, based on the operation status analysis data.  Third, existing research was studied to determine the various special curriculum education process models.  Thereafter, an actual adoptable model was developed and presented.  Fourth, an efficient operation plan for the business high school's special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was presen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problem studied for the research.   
...
<표 Ⅱ- 1> 1998~1999년 시?도별 특별과정 재정 지원 선정 학교현황	8
<표 Ⅱ- 2> 2000년 실업계 고등학교의 가사실업계 전공과 운영 현황	11
<표 Ⅱ- 3> 일본의 상업계 고등학교 총합학과 운영 사례	17
<표 Ⅲ- 1> 2000학년도 시?도별 가사실업계 특별과정 운영 현황 및 특성	24
<표 Ⅲ- 2> 학생의 일반적 특성	29
<표 Ⅲ- 3> 특별과정 교육과정의 특성	29
<표 Ⅲ- 4> 특별과정 선택 이유(중복응답)	32
<표 Ⅲ- 5> 특별과정 참여의 성과(중복응답)	33
<표 Ⅲ- 6> 참여한 특별과정 전반에 대한 만족도	34
<표 Ⅲ- 7> 개인 및 참여 교육과정 특성에 따른 특별과정에 대한 만족도 차이	35
<표 Ⅲ- 8> 특별과정의 수업 방법	36
<표 Ⅲ- 9> 특별과정 수업에 대한 이해 정도	37
<표 Ⅲ-10> 특별과정 수업에 대한 개선요구	38
<표 Ⅲ-11> 교사의 일반적 특성	39
<표 Ⅲ-12> 특별과정 교육과정의 특성	40
<표 Ⅲ-13> 특별과정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 형태	41
<표 Ⅲ-14> 특별과정 전공분야 결정 과정(중복응답)	42
<표 Ⅲ-15> 특별과정 운영의 성과(중복응답)	42
<표 Ⅲ-16> 특별과정에 대한 만족도	43
<표 Ⅲ-17> 특별과정 운영에 대한 요구	44
<표 Ⅲ-18> 특별과정 운영의 개선 사항	45
<표 Ⅳ- 1> 교육과정 설치기준의 적정성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가용 자료원	54
<표 Ⅳ- 2> 제과?제빵 분야의 직업활동 영역과 업체별 업무 특성	60
<표 Ⅳ- 3> 제과?제빵 과정의 Course Profile	64

[그림 Ⅳ- 1] 직업교육과정 개발의 체제적 접근	50
[그림 Ⅳ- 2] 직업교육과정 체제 개발 절차의 단계	51
[그림 Ⅳ- 3] 직업교육과정 개발 모형	52
[그림 Ⅳ- 4] 교육과정 계획에 있어서 의사결정	53
[그림 Ⅳ- 5] 특별과정 교육과정 개발 모형	5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상업계 고등학교 가사실업계 특별과정의 효율적 운영 방안 2000.07.01~200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